중이염 간호과정(아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사례>>
<<문헌고찰>>
<<간호과정>>

본문내용

속적인 정서교감을 하였다.
* 결과: 퇴원 때까지 가족들은 환아의 간호에 적극적인 참여와 지지를 하였다.
#6. 수술부위 노출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주관적, 객관적 자료
단서/추론
* 단서: 드와이트는 5일안으로 수술을 할 예정이다.
* 추론: 고막을 절개하여 튜브를 삽입하는 수술(고막절개술)로 계속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감염의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다.
목표 및 기대결과
단기: 퇴원 전까지 환아 에게 감염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장기: 중이염이 완치될 때까지 환아에게 감염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간호지시 및
간호계획
- 환아의 활력징후를 2~4시간마다 측정한다.
- 분비물의 양상(색깔, 냄새, 양)을 사정한다.
- 백혈구 수, 적혈구 침강속도, C반응 단백의 검사결과를 사정한다.
- 수술부위 및 외이도 주변을 건조한 상태로 유지시킨다.
- 수술부위에 머리카락이 낳지 않도록 핀 등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 외이도가 충혈 되고 통증이 있으면 귀 아래쪽에 냉찜질을 해준다.
- 환아의 손을 자주 씻도록 하고 상처부위를 만지지 않도록 한다.
- 상기도 감염환아나 방문객의 출입을 제한한다.
- 필요시 항생제를 쓴다.
간호수행
- 활력징후를 4시간마다 측정하였고, 분비물의 양상을 사정하였다.
- 수술부위 및 외이도 주변을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였다.
- 수술부위에 머리카락이 닿지 않도록 하였고, 환아가 상처부위를 만지지 않도록 계속해서 관찰하였다.
- 수술 후 냉찜질을 적용해 주었다.
합리적 근거
- 다량의 악취 나는 분비물은 감염발생을 나타낸다.
- 감염 시 백혈구 수와 적혈구 침강속도가 증가하며 C반응 단백이 출현한다.
- 젖은 부위에 세균성장의 가능성이 크다.
- 냉찜질의 적용은 통각감수체에서 구심신경으로 통각정보가 전도되는 것을 차단하며, 염증 진행속도를 늦춰줄 수 있다.
평가
* 구조: 담당간호사는 환아의 활력징후와 감염증상여부를 계속해서 관찰하였고, 냉찜질을 위해 아이스 팩을 제공해주었다.
* 과정: 환아의 부모는 환아가 상처부위를 만지지 않도록 계속해서 관찰 하였다.
* 결과: 퇴원 전까지 환아 에게 감염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7. 중이의 삼출물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위험성
주관적, 객관적 자료
단서/추론
* 단서: 드와이트는 중이염이 재발한 에피소드를 가지고 있으며 드와이트의 중이염 과거력에 따라, 그의 담당의는 튜브삽입술을 하는 것에 대하여 그의 부모님께 제안하였다.
* 추론: 드와이트는 중이염이 재발한 상황이고, 튜브삽입(고막절개술)을 하는 것으로 보아 삼출성중이염일 것이다.
목표 및 기대결과
단기 : 환아는 퇴원 전까지 중이의 삼출물로 인한 피부손상이 없을 것이다.
장기: 환아는 완치판정을 받을 때까지 중이의 삼출물로 인한 피부손상이 없을 것이다.
간호지시 및
간호계획
- 환아의 외이 주변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 귀심지(Packing gauze)를 느슨하게 막는다.
- 귀심지를 자주 교환하고 깨끗하게 유지한다.
- 환측으로 눕도록 한다.
- 배출 물을 잘 닦아주고 반드시 건조시킨 후 필요시 피부 보호제(Aloe, vesta, proshield jelly를 )를 바른다,
- 손을 자주 씻도록 한다.
간호수행
- 환아의 외이 주변의 피부상태를 사정하였다.
- 환아를 환측으로 눕도록 도와주었다.
- 깨끗한 면봉이나 과산화수소에 적신 거즈로 외이도를 청결하게 유지시켜 주었다.
- 배출 물을 닦아주고 건조시킨 뒤, 피부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Aloe 로션을 발라주었다.
합리적 근거
- 환측으로 눕는 것은 삼출물의 배액을 촉진시켜 준다.
- 배출 물을 잘 닦아주고 반드시 건조시킨 후 필요시 피부 보호제를 바르는 것으로 삼출물에 의한 주변 피부의 자극을 줄일 수 있다.
- 손 씻기를 통해 손에 의한 이차적인 오염을 막아줄 수 있다.
평가
* 구조: 담당간호사는 하루 3번씩 환아의 피부상태를 사정하였고, 귀심지, 면봉, Aloe로션 등을 이용해 피부손상의 가능성을 최소화하였다.
* 과정: 환아의 부모는 환아의 피부상태를 계속해서 관찰하였고, 귀심지를 갈아주거나 환아의 자세를 바르게 바꿔주었다.
* 결과: 퇴원 전까지 환아 에게 피부손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8. 동년배로부터의 격리와 관련된 사회적응 장애 위험성
주관적, 객관적 자료
단서/추론
* 단서: 드와이트가 3살 때, 부모님은 그가 다른 유치원생들과 상호작용하고 관계를 맺을 기회를 주기 위해 유치원에가게 되었고,
드와이트는 유치원에 가는 것을 매우 좋아했다.
* 추론: 환아의 나이 4세는 사회적인 인식이 나타나는 시기이며 다른 사람들과의 놀이 활동을 통해 사회성을 기를 수 있는 시기로, 유치원에서 또래와의 활동을 통해 사회성에 적응하던 환아 에게 친구들과의 격리는 스트레스를 주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격리로 인해 사회적응의 위험성이 있을 수도 있다고 추론하였다.
목표 및 기대결과
단기: 환아는 입원기간 안에 격리의 이유를 말할 수 있다.
장기: 환아는 퇴원 후, 유치원으로 돌아갔을 때 친구들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간호지시 및
간호계획
- 간호사는 늘 자신을 아동에게 소개한다.
- 오락 활동을 제공한다.
- 입원동안 부모를 환자와 함께 남도록 격려한다.
- 전화로 친구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 친구가 환아를 수용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간호수행
- 간호사는 늘 자신을 아동에게 소개했다.
- 입원동안 부모가 환자와 함께하였다.
- 유치원 친구와 친구의 부모님께 환아의 상태에 대해 알리고,
원하면 유치원 친구와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환아가 좋아하는 놀이활동을 통해 환아와 놀이시간을 가졌다.
합리적 근거
유치원에서 또래와의 활동을 통해 사회성에 적응하던 환아에게 친구들과의 격리는 스트레스를 주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환아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돕고 친구들과 교감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환아의 치료와 발달을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다.
평가
* 구조: 환아가 좋아하는 자동차, 장난감을 이용해 환아의 놀이 활동을 증진시켜 주었다.
* 과정: 입원기간동안 환아가 원할 때에 유치원 친구와 전화통화를 할 수 있었다.
* 결과: 환아는 자신이 격리된 이유를 말할 수 있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12.31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08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