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식·제사에 대한 이해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례식·제사에 대한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장례식
1. 장례절차
2. 장례 중 제상의 종류
3. 제례의 기원
5. 제례와 한민족

Ⅱ. 제사
1. 제례절차
2. 제수진설법
3. 지역별 제상차림
4. 제수의 종류
5. 제수의 의미
6. 조문객 접대음식(공반)
7. 장지음식
8. 제기의 종류
9. 제구의 종류

Ⅲ. 국가별 장례문화

본문내용

◑ 현대식 : 유교식의 절차와 비슷하며 보통 3일제를 기준으로 발인하며 삼우제나 49제. 백일제를 끝으로 탈상한다.
◑ 천주교식 : 천주교에서는 성교예규(聖敎例規)에 의해 장례를 치루나 신자로서의 정신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우리나라 풍습과 장례의식을 존중하여 병행하기도 하며 임종에 해당하는 종부성사로 시작하여 연미사(3일)-우제-를 끝으로 탈상한다.
◑ 기독교식 : 기독교식 장례는 사람이 운명한 다음, 시신의 수시(收屍)로부터 하관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의식과 절차가 목사의 집례(執禮) 아래 이루어진다.
초종 중에는 매일 기도회를 갖고, 유가족은 빈소에서 찬송이 끊이지 않게 한다. 일반 상례와 다른 점은 곡을 하지 않고 음식도 차리지 않으며 절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 조석으로 전을 올리거나 상식을 올리지 않으며, 염습할 때 매장포로 묶지도 않는다. 장례식 전날 염습을 마치고 목사가 반드시 참석한 가운데 예배를 본다. 염습 등도 신도들이 한다.
장례식은 영구를 교회 안에 안치 하여 교회 에서 하는 경우도 있고, 상가
(喪家)에서 간단히 하기도 한다.
◑ 불교식 : 불교에서는 장례식을 다비식이라하는데 ‘다비’란 불에 태운다는 뜻으로 화장을 일컫는 말이다. 임종에서 입관까지 일반 장례식과 거의 비슷하지만 영결식 만은 다비에 의한 순서로 한다.
  • 가격600
  • 페이지수37페이지
  • 등록일2010.01.03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5708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