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단원명
Ⅱ. 단원의 개관
Ⅲ. 단원의 학습 목표
Ⅳ. 단원의 학습 계열
Ⅴ. 단원의 지도 계획
Ⅵ. 단원 지도상의 유의점
Ⅶ. 주제 해결을 위한 교재연구
Ⅷ. 지도의 실제
Ⅸ. 수행평가 계획
Ⅹ. 교과서 문제점 및 대안
ⅩⅠ. 학습지
Ⅱ. 단원의 개관
Ⅲ. 단원의 학습 목표
Ⅳ. 단원의 학습 계열
Ⅴ. 단원의 지도 계획
Ⅵ. 단원 지도상의 유의점
Ⅶ. 주제 해결을 위한 교재연구
Ⅷ. 지도의 실제
Ⅸ. 수행평가 계획
Ⅹ. 교과서 문제점 및 대안
ⅩⅠ. 학습지
본문내용
관찰을 통하여 지렁이에 관해 알아봅시다.
판서
PPT 자료
T 지렁이를 채집했던 일이나 관찰했던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 해 봅시다.
T 이번 시간에 관찰하게 될 우리 모둠의 지렁이의 이름을 붙여 봅시다.
S1 비 오는 날에 지렁이가 기어 다니는 것을 보았습니다.
S2 부모님과 함께 낚시를 갔을 때 미끼로 지렁이를 사용하셨습니다.
S1 우리 모둠은 지렁이의 이름을 꼬물이로 정했습니다.
S2 우리 모둠은 미끈이로 정했습니다.
단계
(시간)
학습
내용
교수 학습활동
자료 및 유의점
교사
학생
자유
탐색
(5‘)
관찰
T 모둠의 지렁이를 조원들과 함께 관찰해 봅시다.
지렁이를 모둠별로 자유롭게 관찰.
모둠별 지렁이 및 관찰도구
타이머 프로그램으로 시간 통제
탐색
결과
발표
(5‘)
관찰
결과
발표
T 관찰한 내용을 발표해 봅시다.
(생김새, 색깔, 촉감, 움직임 등)
S1 지렁이는 길이가 길고 가늘게 생겼습니다.
S2 몸 앞부분에 흰색의 띠가 있습니다.
S3 몸에는 주름이 있습니다.
S4 지렁이는 한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교사의
인도에
탐색
(15‘)
모둠
관찰
T 지렁이의 생김새에 대해 함께 알아봅시다.
(부위별 명칭, 색깔, 촉감 등)
T 지렁이의 움직임에 대해 함께 알아봅시다.
T 지렁이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봅시다.
T 모둠별로 지렁이를 관찰해 보고 관찰 내용을 학습지에 적어 봅시다.
T 관찰한 내용을 발표해 봅시다. 생김새는 어떠했습니까?
T 색깔과 촉감은 어땠습니까?
교사와 함께 PPT를 통해 학습
관찰 및 학습지 작성
S1 몸은 가늘고 길며 여러 개의 고리모양으로 된 마디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S2 몸 앞부분에 흰색의 띠가 있습니다.
S1 전체적으로 갈색이며 배 부분은 색이 조금 연합니다.
S2 몸은 축축하고 끈적끈적하며 차갑습니다.
PPT 자료
모둠별 지렁이 및 관찰도구, 학습지
타이머 프로그램으로 시간 통제
정리
(5‘)
T 수업을 통해 알게 된 내용을 함께 정리해 봅시다.
T 이제 지렁이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 수 있겠나요?
PPT를 통해 발표 및 정리
S1 몸을 움츠렸다 폈다 하면서 앞으로 움직입니다.
PPT 자료
Ⅸ. 수행평가 계획
단 원
9. 작은 생물
교과서
(쪽수)
86~87
영 역
관찰탐구협동 과정
평가 주제
지렁이에 대해 알기.
준비물
살아있는 지렁이, 돋보기, 유리판, 종이,
핀셋, 학습지, ppt자료.
평가 목표
관찰을 통해 지렁이에 대하여 알 수 있다.
평가 방법
관찰을 통해 지렁이의 생김새 및 움직임 등에 대해 알아보고, 학습지에 기록한 내용을 바탕으로 평가한다.
평가 유형
관찰 및 지필평가
1) 평가 상의 유의점
① 지렁이는 살아가면서 유기물을 분해하여 땅을 기름지게 하고, 그 몸은 화장품의 원료로 쓰이 는 등 유익한 생물임을 인식시켜 거부감을 가지지 않도록 한다.
② 지렁이를 다룰 때 핀셋보다는, 직접 손으로 하여 지렁이와 친숙해질 수 있도록 지도하고, 안 내하여야 한다.
③ 생명의 소중함을 생각하며, 관찰이 끝난 후에는 지렁이가 생활하는 곳으로 돌려보낼 수 있도 록 지도한다.
2) 평가 관점
평 가
관 점
적극적으로 관찰활동에 임하며, 학습지에 정확히 기록 하는가?
평 가
기 준
지렁이의 생김새 및 움직임, 이로운 점에 대해 정확히 기록할 수 있는가?
평 가
척 도
상 : 학습 활동이 적극적이며, 학습지를 잘 기록한다.
중 : 보통이다.
하 : 학습 활동이 소극적이며, 학습지를 잘 기록하지 못한다.
Ⅹ. 교과서 문제점 및 대안
본 차시는 초등학교 과학 5학년 1학기 중 <9. 작은 생물>로써, 지렁이를 통해 땅 속에 사는 작은 생물을 알아보는 수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수업에서 문제 되는 것은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지렁이에 대해 혐오감과 거부감을 갖지 않고서 적극적으로 관찰 활동에 임하도록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하는 일이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이 거부감 없이 지렁이를 대함으로써 활발한 실험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 같다.
또한, 달팽이와 쥐며느리는 땅 속 생물로 분류되기에는 다소 애매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심화과정을 구성하는 것에는 문제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과 학 학 습 지 -
( ) 조 이 름 :
단 원
9. 작은 생물
일 시
2008. 11. 18 (2교시)
학습주제
지렁이의 생김새와 움직임에 대하여 알아보자.
쪽 수
과학책 86~87쪽, 실험관찰 63쪽
학습목표
관찰을 통하여 지렁이에 관해 알아봅시다.
우리 모둠의 지렁이를 한번 그려봅시다~!!
판서
PPT 자료
T 지렁이를 채집했던 일이나 관찰했던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 해 봅시다.
T 이번 시간에 관찰하게 될 우리 모둠의 지렁이의 이름을 붙여 봅시다.
S1 비 오는 날에 지렁이가 기어 다니는 것을 보았습니다.
S2 부모님과 함께 낚시를 갔을 때 미끼로 지렁이를 사용하셨습니다.
S1 우리 모둠은 지렁이의 이름을 꼬물이로 정했습니다.
S2 우리 모둠은 미끈이로 정했습니다.
단계
(시간)
학습
내용
교수 학습활동
자료 및 유의점
교사
학생
자유
탐색
(5‘)
관찰
T 모둠의 지렁이를 조원들과 함께 관찰해 봅시다.
지렁이를 모둠별로 자유롭게 관찰.
모둠별 지렁이 및 관찰도구
타이머 프로그램으로 시간 통제
탐색
결과
발표
(5‘)
관찰
결과
발표
T 관찰한 내용을 발표해 봅시다.
(생김새, 색깔, 촉감, 움직임 등)
S1 지렁이는 길이가 길고 가늘게 생겼습니다.
S2 몸 앞부분에 흰색의 띠가 있습니다.
S3 몸에는 주름이 있습니다.
S4 지렁이는 한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교사의
인도에
탐색
(15‘)
모둠
관찰
T 지렁이의 생김새에 대해 함께 알아봅시다.
(부위별 명칭, 색깔, 촉감 등)
T 지렁이의 움직임에 대해 함께 알아봅시다.
T 지렁이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봅시다.
T 모둠별로 지렁이를 관찰해 보고 관찰 내용을 학습지에 적어 봅시다.
T 관찰한 내용을 발표해 봅시다. 생김새는 어떠했습니까?
T 색깔과 촉감은 어땠습니까?
교사와 함께 PPT를 통해 학습
관찰 및 학습지 작성
S1 몸은 가늘고 길며 여러 개의 고리모양으로 된 마디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S2 몸 앞부분에 흰색의 띠가 있습니다.
S1 전체적으로 갈색이며 배 부분은 색이 조금 연합니다.
S2 몸은 축축하고 끈적끈적하며 차갑습니다.
PPT 자료
모둠별 지렁이 및 관찰도구, 학습지
타이머 프로그램으로 시간 통제
정리
(5‘)
T 수업을 통해 알게 된 내용을 함께 정리해 봅시다.
T 이제 지렁이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 수 있겠나요?
PPT를 통해 발표 및 정리
S1 몸을 움츠렸다 폈다 하면서 앞으로 움직입니다.
PPT 자료
Ⅸ. 수행평가 계획
단 원
9. 작은 생물
교과서
(쪽수)
86~87
영 역
관찰탐구협동 과정
평가 주제
지렁이에 대해 알기.
준비물
살아있는 지렁이, 돋보기, 유리판, 종이,
핀셋, 학습지, ppt자료.
평가 목표
관찰을 통해 지렁이에 대하여 알 수 있다.
평가 방법
관찰을 통해 지렁이의 생김새 및 움직임 등에 대해 알아보고, 학습지에 기록한 내용을 바탕으로 평가한다.
평가 유형
관찰 및 지필평가
1) 평가 상의 유의점
① 지렁이는 살아가면서 유기물을 분해하여 땅을 기름지게 하고, 그 몸은 화장품의 원료로 쓰이 는 등 유익한 생물임을 인식시켜 거부감을 가지지 않도록 한다.
② 지렁이를 다룰 때 핀셋보다는, 직접 손으로 하여 지렁이와 친숙해질 수 있도록 지도하고, 안 내하여야 한다.
③ 생명의 소중함을 생각하며, 관찰이 끝난 후에는 지렁이가 생활하는 곳으로 돌려보낼 수 있도 록 지도한다.
2) 평가 관점
평 가
관 점
적극적으로 관찰활동에 임하며, 학습지에 정확히 기록 하는가?
평 가
기 준
지렁이의 생김새 및 움직임, 이로운 점에 대해 정확히 기록할 수 있는가?
평 가
척 도
상 : 학습 활동이 적극적이며, 학습지를 잘 기록한다.
중 : 보통이다.
하 : 학습 활동이 소극적이며, 학습지를 잘 기록하지 못한다.
Ⅹ. 교과서 문제점 및 대안
본 차시는 초등학교 과학 5학년 1학기 중 <9. 작은 생물>로써, 지렁이를 통해 땅 속에 사는 작은 생물을 알아보는 수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수업에서 문제 되는 것은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지렁이에 대해 혐오감과 거부감을 갖지 않고서 적극적으로 관찰 활동에 임하도록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하는 일이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이 거부감 없이 지렁이를 대함으로써 활발한 실험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 같다.
또한, 달팽이와 쥐며느리는 땅 속 생물로 분류되기에는 다소 애매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심화과정을 구성하는 것에는 문제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과 학 학 습 지 -
( ) 조 이 름 :
단 원
9. 작은 생물
일 시
2008. 11. 18 (2교시)
학습주제
지렁이의 생김새와 움직임에 대하여 알아보자.
쪽 수
과학책 86~87쪽, 실험관찰 63쪽
학습목표
관찰을 통하여 지렁이에 관해 알아봅시다.
우리 모둠의 지렁이를 한번 그려봅시다~!!
추천자료
초등 4학년 과학 7 강과 바다 - 발견학습 수업모형 지도안
초등학교 3학년 과학 지도안
초등학교 과학 3,6학년 자석놀이, 전자석 단원 분석
초등학교 도덕 세안 (4학년 1학기 5단원)
초등 3학년 과학과 지도안 (약안)
도덕과교육(바른생활교육)의 성격과 목표, 초등학교1학년 바른생활교육평가, 초등학교2학년 ...
초등학교 3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도덕과(도덕교육), 사회과(사회과교육), 초등학교 3학년 ...
초등학교 6학년 교육목표와 수준별교육과정, 초등학교 6학년 국어과와 영어과 교육과정, 초등...
초등학교 영어과 노래, 국어과 부진아 지도자료(교육자료), 초등학교 수학과 이러닝, 과학과 ...
초등교육(초등학교교육)의 7계명, 초등교육(초등학교교육)의 권리보장, 초등교육(초등학교교...
초등 과학 4학년 3. 열 전달과 우리 생활 (6/10) 6차시 지도안
초등5)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5/5차시), 실험관찰 48쪽> 7. 식물의 잎이 하는 ...
초등5)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세안} (5/5) 과학:67~68, 실&#8228;관:46~48/ 발견...
초등5)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세안} (9/12) 과학 116, 117p, 실험관찰 64. 65p/ 발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