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에 대해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와인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와인의 보관
2. 와인의 테스트
1) 색깔보기(sight)
2) 향(smell)
3) 맛(taste)
4) 총체적인 평가(overall quality)
3. 와인 용어
4. 와인 라벨
5. 와인 리스트
1) 프랑스 와인 라벨
2) 이탈리아 와인 라벨
3) 독일 와인 라벨
4) 미국 와인 라벨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뜻으로 보면 된다. http://blog.naver.com/블로그- 쩡정의 세상 바라보기중 와인 라벨 읽기
대부분 화이트 와인을 생산하고 있는 독일은 다른 나라에 비해 라벨이 가장 정교하게 구성되어 있다. 품질 등급, 포도 품종, 재배 지역명, 와인 생산자명, 빈티지등이 기재되어진다.
QMP(고급), Qualitatswein(중급), Tafelwein(저급) 으로 분류된다.
고급 등급인 QMP 등급은 구체적인 등급과 품종이 기재된다.
독일 와인에서 자주 볼수 있는 용어
트로켄(Trocken) : 단맛이 없는
할프트로켄(Halbtrocken) : 단맛이 약간 있는
밀트(Mild) : 단맛이 많은
쉬스(Suss) : 단맛이 많은
리블리히(Lieblich) :단맛이 많은
바이스 (Weiss) : 화이트 와인
로트(Rot) : 레드 와인
바인구트( Weingut) : 자체 농장이 있는 와인공장
바인켈러라이( Weinkellerei) :자체 공장이 없이 다른 와인 공장에서 와인을 구입하여 팔거나 병입하여 파는 회사
섹트(Sekt) : 스파클링 와인 http://blog.naver.com/블로그 - 남겨진 이야기 중 와인라벨 읽는 법 -독일
4) 미국 와인 라벨 읽는 법
(1) 상표 : 소유주의 이름을 쓰는 경우도 있으나 대개 포도원 명칭을 사용한다.
(2) 빈티지 : 빈티지가 표기되면 포도의 95% 이상이 명시된 해에 재배된 것을 의미한다.
(3) 생산지 : 캘리포니아를 상표에 명시하기 위해서는 포도 100%가 캘리포니아에서 수확되어야 한다. 연방정부에서 지정한 포도재배지역(AVA) 명칭을 사용하려면 포도의 89%가 그 지역에서 수확되어야 한다.
(4) 포도품종 : 그 포도품종이 75% 이상 와인 생산에 사용되어야 한다.
(5) 특징
(6) 제조업체 : 제조업체명과 그 지명이 명시되어야 한다.
(7) 알콜 함유량 http://blog.naver.com/블로그 - 실버의 향기 톡톡 중 와인라벨 읽는 법
미국은 유럽과 같이 복잡한 원산지 호칭 규제는 없지만,
소비자 보호차원에서 와인에 관하여 정확한 정보 제공을 의무화한 행정법이 있다.
그 중에서도 산지명, 포도 품종면, 수확년도, 알콜도수 등을 라벨에 표시할 경우에 대해서는 엄격한 규정을 정해놓고 있다.
미국 와인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용어
드라이 (Dry) : 단맛이 없는
세미 드라이 (Semi dry) : 약간 단맛이 없는
세미 스위트 (Semi sweet) : 단맛이 약간 있는
스위트 (Sweet) : 단맛이 많은 http://blog.naver.com/블로그 - 남겨진 이야기 중 와인라벨 읽는 법 -미국
5. 와인 리스트
레스토랑 와인 리스트가 갖는 첫 번째 목적은 와인 셀러에 보관하고 있는 와인의 종류를 고객에게 알리는 것이다. 와인 리스트를 만드는 데는 두 가지 접근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보유하고 있는 셀러의 크기와 와인의 다양성에 중점을 두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그 레스토랑의 스타일에 맞추는 것이다.
와인 리스트는 종이 위에 손이나 타이프로 쓸 수도 있으며 또는 팜플렛의 형태를 갖추기도 한다. 그러나 훌륭한 와인 리스트들은 모두 그 디자인이 심플하거나 화려한 것에 상관없이 공통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이해하기 쉽도록 잘 정돈되어 있고 와인 명이나 산지, 빈티지, 가격에 대한 에러가 없으며 각 와인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좋은 와인 리스트라면 정기적으로 업데이트 되어진다. 많은 레스토랑이 최신 빈티지 와인이 도착하는 봄과 대부분의 숙성 와인을 구입하는 가을에 리스트를 수정한다.
와인 리스트를 컴퓨터로 관리하면 정기적으로 수정하거나 필요시에 다시 인쇄할 경우 편리하다. 어떤 리스트는 각 와인마다 번호를 매기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효과적인 방법이긴 하지만 중식당의 분위기를 풍길 수도 있을 것이다. 방법이 어떻든 보유하고 있는 와인에 대해 정확하고 신속하게 기록할 필요가 있다. 와인 애호가가 자신이 좋아하는 와인이 리스트에 없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는, 그런 곤란한 일이 없도록 레스토랑은 잘 관리해야 할 것이다. 와인 리스트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식사 순서에 따라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 Dry sparkling wines
- Rose wines
- White wines
- Red wines
- Dessert wines
그리고 리스트의 크기에 따라 국가별, 산지별 또는 특정 지역별, 그리고 와인 종류나 포도 종에 따라 구분 지을 수 있다. 보통 외국산 와인에 앞서 국내산 와인을 먼저 소개한다. 어떤 리스트는 기본적인 정보 외에도, 라벨이나 지도, 사진 등의 이미지와 함께 포도원이나 재배지, 그리고 와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을 포함하기도 한다. 특별히 잘 만든 리스트의 경우는 고객들이 기념으로 요구하기도 한다. 여분의 리스트를 만드는 것은 비용이 들기는 하지만, 레스토랑과 와인을 홍보하는 데에 있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http://www.italianwineguide.co.kr이탈리안 와인 가이드
Ⅲ. 결론
와인의 보관, 테스트, 용어, 라벨, 리스트를 조사하면서 와인에 대해서 좀 더 다가갈 수 있었다. 와인의 보관방법에 따라서도 코르크를 딴 후로 짧게는 1~2일 길게는 1주일이상 보관할 수 있는 방법도 알게 되었으며 와인은 제조하는 나라의 문화라던가 기후 등의 풍습 및 특성을 잘 반영하는 것 같았다. 말 그대로 와인을 보면 그 나라의 흐름을 엿 볼 수 있다. 서양에서는 와인이 일반화 되어 식사 시에 간단히 한잔하면서 음식의 맛을 좀 더 좋게 한다. 이와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와인이 고급스러운 주류로 분위기를 잡을 때 접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에서도 와인이 고급스러운 주류가 아닌 언제든지 함께 할 수 있는 그런 날이 오길 바란다.
<참고문헌>
김준철, 김영주(2005) 와인의 발견, 명상출판사
원융희(2004) 음료 주장관리, 형설출판사
http://kin.naver.com/open100
http://cafe.naver.com 와인을 마시는 방법
http://blog.naver.com
http://www.italianwineguide.co.kr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01.14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42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