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융의 심리 유형 이론 개관
1) 네 가지 선호경향(Preference)
2) 16가지 성격유형
2. MBTI의 선호경향
3. MBTI의 용도
1) 교육에서
2) 상담에서
3) 진로 지도 및 직업 선택
4) 협동 및 공동 작업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5) 커뮤니케이션을 할 때
1) 네 가지 선호경향(Preference)
2) 16가지 성격유형
2. MBTI의 선호경향
3. MBTI의 용도
1) 교육에서
2) 상담에서
3) 진로 지도 및 직업 선택
4) 협동 및 공동 작업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5) 커뮤니케이션을 할 때
본문내용
있기 때문이다. 종종 특출한 재능을 발휘하는 사람 중에는 그 분야에 드문 유형의 사람들이 있다. 가령 병원의 의료팀에서 ENTP는 분쟁 해결사 노릇을 할 것이고. SJ의료진은 무리없이 수술 과정을 잘 진행할 것이다.
(2) MBTI 각 선호도별로 본 직업선택에 대한 기대
외향성 : 사람들과 협력하여 일하고 책상 앞에서 하는 일보다는 사무실 바깥에서 활동할 수 있는 일을 좋아한다.
내향성: 혼자서 조용히 집중 할 수 있는 일을 원한다.
감각형: 세밀하게 주의와 관찰을 요하는 일을 잘한다.
직관형: 새로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일을 좋아한다.
사고형: 논리적 질서, 사상, 숫자, 물리적 대상과 관련된 일을 좋아한다.
감정형: 사람들에게 봉사하고 작업환경이 조화롭고 마음에 드는 일을 원한다.
판단형: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일을 좋아한다.
인식형: 변화하는 상황에 적응해 나가고, 상황을 다루기보다는 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일을 좋아한다.
(3) 직업과 MBTI 선호도
<외향성-내향성의 일처리 경향>
외향성의 사람들
내향성의 사람들
변화와 행동을 좋아함
급하게 일을 처리하는 경향이 있으며 복잡한 절차의 일을 싫어함(ES)
인사를 쉽게 잘함(EF)
길고 느리게 진행되는 일들을 못참음
다른 사람들이 일한 결과와 어떻게 일하는지에 관심이 많음
전화응답을 업무방해로 여기지 않음(EF)
때로 미리 생각하지 않고 재빨리 행동함
주위에 사람들이 있는 것을 좋아함(EF)자유롭게 의사소통을 함(EF)
집중을 위해 조용한 분위기를 좋아함
꼼꼼하게 주의깊게 일을 처리하는 경향이 있으며 대략적인 진술을 싫어함(IS)
이름과 얼굴을 기억하기 힘들어함(IT)
방해없이 오랜 시간동안 한가지 일을 수행함
일 뒤에 존재하는 관념에 관심이 많음
업무시 전화 방해를 싫어함(IT)
행동하기 전에 많이 생각함
때론 행동없이 생각만 함
혼자 만족해하며 일을 함(IT형)
의사소통하는 데 불편함(IT)
<감각형과 직관형의 일처리 경향 >
SN 선호도는 직업 선택에서 특히 중요하게 여겨진다. 왜냐하면 SN선호지표는 어떤 일의 동기를 부여하고 관심을 기울이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실제적인 경험을 통한 일에 흥미를 느끼는 사람은 이론적인 것에 관계된 일(핵물리학)보다는 이러한 응용가능한 직업 영역에서 일하고 싶어할 것이다.(예, 토목공학)
감각형의 사람들
직관형의 사람들
기준화된 해결법이 없는 새로운 문제를 싫어함
만들어진 순서에 맞게 일하기를 좋아함(SJ)
새로운 기술보다는 이미 배운 기술을 사용하기를 즐긴다.
얼마나 시간이 걸리느냐의 현실적인 생각을 가지고 꾸준하게 일한다.(IS)
단계적으로 결론에 도달한다.(IS)
틀에 박힌 세세한 일들을 잘 견딘다.(ISJ)
일이 복잡해지는 것을 못 견딘다(ES)
영감이라는 것을 별로 탐탁하지 않게 여김
사실에 대해 실수하는 일이 거의 없다.
정확성을 요하는 일을 잘한다.(IS)
새로운 문제를 푸는 것을 좋아함
똑같은 방법으로 반복적으로 일하는 것을 싫어함(NP)
사용하지 않은 새로운 기술을 배우기를 즐김
그때그때에 따라 솟아오르는 열정과 에너지로 일 처리를 한다(EN)
신속하게 결론에 도달한다.(EN)
틀에 박힌 세밀한 일들을 못견딘다(ENP)
복잡한 상황을 잘 견딘다.(IN)
상황에 적절하든, 적절하지 않든 영감을 따름
종종 사실에 대해 실수를 한다.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시간 쓰는 것을 싫어한다.(EN)
<사고형과 감정형의 일처리 경향>
대부분의 직업은 기술적/과학적 요소와 의사소통적 / 대인관계적 요소를 지니고 있다. 유형이론에서는 기술적/과학적 측면은 사고형에게, 의사소통적 / 대인관계적 측면은 감정형에게 더 중요하다고 본다. 하지만 많은 전문직 특히 전문의료진의 사람들에게 기술적인 지식이 요구되듯이 기술적인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도 좋은 인간관계를 위한 능력이 필요하다. 사고형들은 논리적으로 합당하다고 지각되면 인간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할 것이다. 또 타인을 돕고자 할 때 기술적인 지식이 필요하다면 감정형들도 기꺼이 이를 위해 노력을 하게 될 것이다.
사고형의 사람들
감정형의 사람들
쉽게 감정을 드러내지 않으며, 사람들의 감정을 다루기 불편해 함(IT)
의식하지 못하고 사람의 감정을 상하게 할 수 있음
분석하고 사물을 논리적 순서대로 놓는 것을 좋아함, 조화없이 지낼 수 있음
비개인적으로 결정을 내리는 경향이 있으며 때때로 사람들의 요구에 충분히 관심가지지 않음
공평하게 대우받기를 원함
필요에 따라 사람들을 훈육하고 해고할 수 있음
사람들의 생각에 보다 논리적으로 쉽게 반응함(IT)
의지력이 강한 경향이 있음
사람과 사람의 감정을 잘 아는 경향이 있음(EF)
별로 중요하지 않은 상황 속에서도 남의 기분을 맞추는 것을 즐김
조화를 좋아함. 사무실내의 불화로 인해 작업능률이 저하될 수 있음
결정을 내리는데 있어서 때때로 개인적인 좋고 싫음에 영향을 받음
때때로 칭찬이 필요함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을 이야기하기 싫어함
사람들의 가치에 보다 쉽게 반응함
동정적인 경향이 있음
4) 협동 및 공동 작업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집단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각자가 가진 성격 유형에 따른 능력을 활용할 수 있다.
집단 구성원들이 가진 각 성격 유형을 이해하고 존중함으로써 각 유형이 가진 장점을 활용할 수 있다.
상대방이 가진 장점과 기술을 서로 배움으로써 집단성원들로 하여금 자기 발전을 꾀하게 할 수 있다.
각 유형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모임이나 회의를 가질 수 있다.
전에는 서로 오해와 갈등과 장애로 작용했던 성격상의 차이를 서로 이해하고 존중케함으로써 기쁨과 흥미를 느끼게 하고 강점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5) 커뮤니케이션을 할 때
각 유형마다 서로 일치와 협조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성격 유형에 따른 각자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을 이해함으로써 오해와 갈등을 줄이고 서로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건전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배울 수 있다.
성격 유형상의 차이를 문제로 보기보다는 흥미있고 가치있는 것으로 여길 수 있게 한다.
(2) MBTI 각 선호도별로 본 직업선택에 대한 기대
외향성 : 사람들과 협력하여 일하고 책상 앞에서 하는 일보다는 사무실 바깥에서 활동할 수 있는 일을 좋아한다.
내향성: 혼자서 조용히 집중 할 수 있는 일을 원한다.
감각형: 세밀하게 주의와 관찰을 요하는 일을 잘한다.
직관형: 새로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일을 좋아한다.
사고형: 논리적 질서, 사상, 숫자, 물리적 대상과 관련된 일을 좋아한다.
감정형: 사람들에게 봉사하고 작업환경이 조화롭고 마음에 드는 일을 원한다.
판단형: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일을 좋아한다.
인식형: 변화하는 상황에 적응해 나가고, 상황을 다루기보다는 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일을 좋아한다.
(3) 직업과 MBTI 선호도
<외향성-내향성의 일처리 경향>
외향성의 사람들
내향성의 사람들
변화와 행동을 좋아함
급하게 일을 처리하는 경향이 있으며 복잡한 절차의 일을 싫어함(ES)
인사를 쉽게 잘함(EF)
길고 느리게 진행되는 일들을 못참음
다른 사람들이 일한 결과와 어떻게 일하는지에 관심이 많음
전화응답을 업무방해로 여기지 않음(EF)
때로 미리 생각하지 않고 재빨리 행동함
주위에 사람들이 있는 것을 좋아함(EF)자유롭게 의사소통을 함(EF)
집중을 위해 조용한 분위기를 좋아함
꼼꼼하게 주의깊게 일을 처리하는 경향이 있으며 대략적인 진술을 싫어함(IS)
이름과 얼굴을 기억하기 힘들어함(IT)
방해없이 오랜 시간동안 한가지 일을 수행함
일 뒤에 존재하는 관념에 관심이 많음
업무시 전화 방해를 싫어함(IT)
행동하기 전에 많이 생각함
때론 행동없이 생각만 함
혼자 만족해하며 일을 함(IT형)
의사소통하는 데 불편함(IT)
<감각형과 직관형의 일처리 경향 >
SN 선호도는 직업 선택에서 특히 중요하게 여겨진다. 왜냐하면 SN선호지표는 어떤 일의 동기를 부여하고 관심을 기울이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실제적인 경험을 통한 일에 흥미를 느끼는 사람은 이론적인 것에 관계된 일(핵물리학)보다는 이러한 응용가능한 직업 영역에서 일하고 싶어할 것이다.(예, 토목공학)
감각형의 사람들
직관형의 사람들
기준화된 해결법이 없는 새로운 문제를 싫어함
만들어진 순서에 맞게 일하기를 좋아함(SJ)
새로운 기술보다는 이미 배운 기술을 사용하기를 즐긴다.
얼마나 시간이 걸리느냐의 현실적인 생각을 가지고 꾸준하게 일한다.(IS)
단계적으로 결론에 도달한다.(IS)
틀에 박힌 세세한 일들을 잘 견딘다.(ISJ)
일이 복잡해지는 것을 못 견딘다(ES)
영감이라는 것을 별로 탐탁하지 않게 여김
사실에 대해 실수하는 일이 거의 없다.
정확성을 요하는 일을 잘한다.(IS)
새로운 문제를 푸는 것을 좋아함
똑같은 방법으로 반복적으로 일하는 것을 싫어함(NP)
사용하지 않은 새로운 기술을 배우기를 즐김
그때그때에 따라 솟아오르는 열정과 에너지로 일 처리를 한다(EN)
신속하게 결론에 도달한다.(EN)
틀에 박힌 세밀한 일들을 못견딘다(ENP)
복잡한 상황을 잘 견딘다.(IN)
상황에 적절하든, 적절하지 않든 영감을 따름
종종 사실에 대해 실수를 한다.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시간 쓰는 것을 싫어한다.(EN)
<사고형과 감정형의 일처리 경향>
대부분의 직업은 기술적/과학적 요소와 의사소통적 / 대인관계적 요소를 지니고 있다. 유형이론에서는 기술적/과학적 측면은 사고형에게, 의사소통적 / 대인관계적 측면은 감정형에게 더 중요하다고 본다. 하지만 많은 전문직 특히 전문의료진의 사람들에게 기술적인 지식이 요구되듯이 기술적인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도 좋은 인간관계를 위한 능력이 필요하다. 사고형들은 논리적으로 합당하다고 지각되면 인간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할 것이다. 또 타인을 돕고자 할 때 기술적인 지식이 필요하다면 감정형들도 기꺼이 이를 위해 노력을 하게 될 것이다.
사고형의 사람들
감정형의 사람들
쉽게 감정을 드러내지 않으며, 사람들의 감정을 다루기 불편해 함(IT)
의식하지 못하고 사람의 감정을 상하게 할 수 있음
분석하고 사물을 논리적 순서대로 놓는 것을 좋아함, 조화없이 지낼 수 있음
비개인적으로 결정을 내리는 경향이 있으며 때때로 사람들의 요구에 충분히 관심가지지 않음
공평하게 대우받기를 원함
필요에 따라 사람들을 훈육하고 해고할 수 있음
사람들의 생각에 보다 논리적으로 쉽게 반응함(IT)
의지력이 강한 경향이 있음
사람과 사람의 감정을 잘 아는 경향이 있음(EF)
별로 중요하지 않은 상황 속에서도 남의 기분을 맞추는 것을 즐김
조화를 좋아함. 사무실내의 불화로 인해 작업능률이 저하될 수 있음
결정을 내리는데 있어서 때때로 개인적인 좋고 싫음에 영향을 받음
때때로 칭찬이 필요함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을 이야기하기 싫어함
사람들의 가치에 보다 쉽게 반응함
동정적인 경향이 있음
4) 협동 및 공동 작업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집단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각자가 가진 성격 유형에 따른 능력을 활용할 수 있다.
집단 구성원들이 가진 각 성격 유형을 이해하고 존중함으로써 각 유형이 가진 장점을 활용할 수 있다.
상대방이 가진 장점과 기술을 서로 배움으로써 집단성원들로 하여금 자기 발전을 꾀하게 할 수 있다.
각 유형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모임이나 회의를 가질 수 있다.
전에는 서로 오해와 갈등과 장애로 작용했던 성격상의 차이를 서로 이해하고 존중케함으로써 기쁨과 흥미를 느끼게 하고 강점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5) 커뮤니케이션을 할 때
각 유형마다 서로 일치와 협조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성격 유형에 따른 각자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을 이해함으로써 오해와 갈등을 줄이고 서로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건전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배울 수 있다.
성격 유형상의 차이를 문제로 보기보다는 흥미있고 가치있는 것으로 여길 수 있게 한다.
추천자료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성격
조직행동(위)론의 연구와 그 성격 탐구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성격장애
사회복지사와 심리상담가(임상심리상담 등)과 정신과의사의 역할구분
전통교육 서당의 기원과 발달, 교육방법 교재 유형
상담이론에관한주요상담가의관점
진로상담이론
관광마케팅 조사의 개념 및 유형과 조사의 절차
여가활동과 가족관계, 가족 여가활동의 유형
상담수업지도안
[업무특성(직무특성)]업무특성(직무특성)의 유형, 업무특성(직무특성)의 특징, 업무특성(직무...
[직무수행]직무수행(업무수행)의 의미, 직무수행(업무수행)의 만족, 직무수행(업무수행)의 성...
[화행, 화행 개념, 화행 의의, 화행 진술방식, 화행 텍스트 유형, 화행 유아발달규칙, 화행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노년기 발달 특성 - 노인의 개념, 신체적 발달, 심리적 발달, 사회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