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제목
실험목적
실험 이론
실험 방법
기구 및 시약
실험결과
토의 및 결과
결론
참고문헌
실험목적
실험 이론
실험 방법
기구 및 시약
실험결과
토의 및 결과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었다. 고체배지와 액체배지와의 차이를 육안으로도 크게 식별이 가능하다.
5. Conclusion
고체 배지에서의 실험 결과 미생물 집락 형태를 보면 처음 생각한 대로 형성되지 않았다. 미생물 접종 시 3개의 구획으로 나누어 백금이로 도말 함으로써 처음 백금이를 통해 접종한 선에는 미생물 군락이 밀집되게 형성되고, 두 번째, 세 번째 구획에서는 그 밀집 정도가 옅어지면서 세 번째 구획에서 의도한 미생물의 순수 colony가 반점 형태로 형성될 것이라 예상했는데 대부분 두 번째에서 바로 조금씩의 colony가 형성되어 버렸다. 이는 미생물 접종 도말이 고르게 잘 이루어지지 않았던거 같다. 그리고 획선배양법으로 얻은 다음 실험결과를 보고 과연 이것이 의도한 순수 미생물만으로 이루어진 colony들인지 궁금해진다.
액체 배지에서의 결과는 실험 전에 고체배지와 별 차이가 없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혼탁한 하나의 침전물과 같은 colony의 형성이 이뤄졌다는 점이 생각했던거와는 다른 결과를 얻었다. 그 원인에 대해서는 더 집중적으로 공부해야겠다고 느꼈다. 실험을 통해 미생물을 순수 분리하여 직접 배지에 접종, 배양해 보고, 그 집락 형태를 관찰해 볼 수 있었다.
5. Conclusion
고체 배지에서의 실험 결과 미생물 집락 형태를 보면 처음 생각한 대로 형성되지 않았다. 미생물 접종 시 3개의 구획으로 나누어 백금이로 도말 함으로써 처음 백금이를 통해 접종한 선에는 미생물 군락이 밀집되게 형성되고, 두 번째, 세 번째 구획에서는 그 밀집 정도가 옅어지면서 세 번째 구획에서 의도한 미생물의 순수 colony가 반점 형태로 형성될 것이라 예상했는데 대부분 두 번째에서 바로 조금씩의 colony가 형성되어 버렸다. 이는 미생물 접종 도말이 고르게 잘 이루어지지 않았던거 같다. 그리고 획선배양법으로 얻은 다음 실험결과를 보고 과연 이것이 의도한 순수 미생물만으로 이루어진 colony들인지 궁금해진다.
액체 배지에서의 결과는 실험 전에 고체배지와 별 차이가 없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혼탁한 하나의 침전물과 같은 colony의 형성이 이뤄졌다는 점이 생각했던거와는 다른 결과를 얻었다. 그 원인에 대해서는 더 집중적으로 공부해야겠다고 느꼈다. 실험을 통해 미생물을 순수 분리하여 직접 배지에 접종, 배양해 보고, 그 집락 형태를 관찰해 볼 수 있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식품미생물학] 미생물이 유전물질을 교환하는 방법에 대해
미생물의 식세포이론, 미생물의 산소별 특징, 미생물의 독소, 미생물과 오염미생물, 미생물과...
[일반생물학실험] 원생동물의 관찰 - 원생동물을 관찰하고 각각의 차이점을 알 수 있다.
손톱 미생물 수 확인 - PCA 배지 만들기, 손의 위생상태 확인하기, 손톱에 있는 미생물이 희...
[생물학 보고서] 효소의 활성 측정
[병원미생물, 병원체, 병원미생물 정의, 병원미생물 분리]병원미생물(병원체)의 정의, 병원미...
[생물바이러스(바이러스)]생물바이러스(바이러스)의 의미, 생물바이러스(바이러스)의 역사, ...
[생물학 실험] 온도, pH가 효소반응에 미치는 영향
생물학 실험보고서 - 원생생물 관찰
생물학 실험 - 현미경 사용법과 동식물 세포관찰
[일반생물학실험] Exp1 미시세계로 통하는 문, 현미경
[일반생물학실험] Exp2 양파표피세포 관찰
[일반생물학실험] Exp5 원핵세포 배양 및 관찰
[일반생물학 및 실험 Ⅱ] 원생동물 및 곰팡이 관찰 : 원생생물 및 곰팡이를 관찰하고 특징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