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의 이해와 감상 - 국악의 갈래, 정간보, 오음 악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악의 이해와 감상 - 국악의 갈래, 정간보, 오음 악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악의 갈래

1. 역사적 분류

2. 연주법에 따른 분류

Ⅱ. 한국의 기보법

1. 정간보(井間譜)

2. 오음약보(五音略譜)

본문내용

수에 따라 화(13관)·생(17관)·우(36관) 등으로 구분하였으나, 조선 후기부터 17관의 생황이 주로 쓰이는데, 관 하나는 윤관(閏管)이라 소리내지 않으므로, 그 음역은 12율4청성이다.
삼국시대에 고구려와 백제음악에 사용된 기록이 보이며, 상원사 동종의 부조에도 보인다. 기록에 의하면 고려와 조선 초기에는 중국에서 들여오기도 하였으나, 세종 때에는 국내에서 제작하기도 하였다.
조선 전기에는 궁중의 제례의식에 사용되었고, 조선 후기에는 가곡 등의 반주에도 쓰였으나, 오늘날에는 독주악기로 사용되지 못하고 단소와의 2중주에 주로 쓰인다.
태평소
겹서(double reed)를 관에 꽂아 부는 관악기의 하나. 악기의 구조나 취법으로 보아 피리계통의 악기이다. 조선 초기부터 궁중 의식음악에 부분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대취타(大吹打)·농악·불교음악에 편성되었다. 관은 오매(烏梅)·산유자·대추나무·황상(黃桑)·황양(黃楊) 등 단단한 나무를 쓰고, 길이는 30㎝ 미만이며, 위는 좁고 아래로 갈수록 굵게 만든다. 지공(指孔)은 모두 8개인데, 위로부터 두 번째 지공은 뒤편에 있다. 갈대로 만든 작은 서(舌)을 꽂고, 반대편 끝은 나발 모양의 동팔랑(銅八郎)을 붙인다.
판소리
1964년 12월 24일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었으며, 2003년 11월 7일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세계무형유산걸작'으로 선정되어 세계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판소리는 조선 중기 이후 남도지방 특유의 곡조를 토대로 발달한, 창을 하는 사람 한 명이 고수(鼓手) 한 명의 장단에 맞추어 일정한 내용을 육성(肉聲)과 몸짓을 곁들여 창극조(唱劇調)로 두서너 시간에 걸쳐 부르는 민속예술형태의 한 갈래이다.남도의 향토적인 선율을 토대로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휘모리·엇모리·엇중모리 등 일곱 가지 장단에 따라 변화시키고, 또 아니리(白:말)와 발림(科:몸짓)으로 극적인 효과를 높이는데, 이 때의 대사만을 가리켜 극가(劇歌)라고 한다.
민요
한 민족의 마음을 솔직하고 소박하게 털어놓은 서민노래 그 민족의 공통의 생활감정, 종교, 희망 등이 표현, 민요는 토속민요, 통속민요 두 가지로 나눌수있다. 토속민요는 국한된 지방에서 불리우던 것이고, 통속민요는 토속민요였던 것이 직업적인 소릿군에 의하여 불리면서 소박성을 잃고 세련되어져 여러지방에 전파되는 것이다.
민요(民謠)는 한 겨레의 인정, 풍속, 생활 감정 따위를 나타내어 민간에 전하여 오는 순박한 노래이다.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유난히 춤추고 노래하고 술마시며 놀기를 좋아했던 민족이다. 민요는 민중 가운데 생성되고 향유되며 전승되어 온 노래이다. 민요는 특별할 재주나 기교가 없이도 이 땅의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만들고 부를 수 있었으며, 그것을 즐기는데도 특별한 격식이 필요한 것이 아니었다. 민요는 집단적 익명성을 바탕으로 생성 유지되어 온 민(民)의 노래(謠)인 것이다. 곧 민요는 지배자의 노래가 아닌 피지배자의 노래이다. 전라북도는 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벼농사를 재배할 만큼 예로부터 드넓은 농경지와 따뜻한 기온과 풍부한 일조량 그리고 충분한 강우량으로 농경사회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다. 논농사는 무엇보다도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이렇게 많은노동이 필요로 하는 자리에서 서로의 호흡을 맞추고 노동의 능률을 올리기 위해 많은 노동요가 불리워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따라서 전라북도에는 서부평야지역을 중심으로 수많은 도작농업노동요가 불려져 왔으며, 해안과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어업노동요, 그리고 동부 산악지역을 중심으로 답작노동요가 불려졌었다.
삼현육각
피리 2, 대금 1, 해금 1, 장구 1, 북 1의 6개 악기로 이루어진 편성이다. 대개 관악영산회상·염불·타령·굿거리 같은 무용음악에 쓰이며, 길군악·길타령·길염불과 같은 행악, 양주별산대놀이·봉산탈춤·은율탈춤과 같은 가면극에도 쓰인다.
삼현삼죽
거문고[玄琴] ·가야금(伽倻琴) ·향비파(鄕琵琶)를 삼현, 대금(大) ·중금(中) ·소금(小)을 삼죽 또는 삼금(三)이라고 한다. 악곡에는평조(平調) ·월조(越調) ·출조(出調) ·준조(俊調) ·황종조(黃鐘調) ·이아조(二雅調) ·반섭조(般涉調) 등 칠조(七調)가 쓰였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대금곡 324, 중금곡 245, 소금곡 298개가 각각 전하지만 어떤 성격의 악곡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가곡
5장으로 나뉘었고 가곡악기의 편성은 해금, 피리2, 장구, 북, 대금이다.
가음데에 중여음이 들어가있다.
교수님 한 학기동안 고생하셨어요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1.17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52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