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7건

편성은 해금, 피리2, 장구, 북, 대금이다. 가음데에 중여음이 들어가있다. 교수님 한 학기동안 고생하셨어요 Ⅰ. 국악의 갈래 1. 역사적 분류 2. 연주법에 따른 분류 Ⅱ. 한국의 기보법 1. 정간보(井間譜) 2. 오음약보(五音略譜)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0.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오음약보와 16정간보라는 새로운 기보법에 의하여 악보가 편찬되었으니 세조실록 권48과 권49에 전하는 세로실록악보가 바로 그것이다. 세조실록악보에 전하는 보태평과 정대업은 본래 세종 때 회례연에 쓰기 위하여 창제되었던 것을 종묘제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오음약보 - 세종이 창안한 정간보는 1행이 32정간이나, 세조가 개량한 오음약보는 1행이 16정간 4-4. 성종 때의 음악 (1) 악학궤범 찬정 - 세종 때 이룩한 업적을 손실시키지 않고, 음악문화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찬정 (2) 당악의 향악화 - 성종 이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오음약보 등과 함께 쓰인다. 그래서 세종 대에는 정간보에 율자보를 함께 사용했지만, 세조 이후의 정간보에는 세조가 직접 창안한 오음약보를 적어 음고를 나타내었다. 1. 타령 (음악 6 외) 2. 판소리 (음악 6, P.23) 3. 창극 (음악6, p. 23)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10.05.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악기의 소리를 흉내내어 적은 구음보(구음보) ·합자보: 율명을 쓰지 않고 연주법을 여러 약자로 표기한 악보 ·정간보: 한국의 대표적인 악보로 음의 높이와 길이를 알 수 있음 ·오음약보: 12율을 쓰지 않고 중심음에 위(上一, 上二), 아래(上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03.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논문 1건

業)의 11곡에 맞추어 각각 변화가 다양하여 특색 있는 춤을 추었다. 다시 말하면 조선 전기에 쓰던 무보는 오음약보로 기보한 보태평과 정대업의 악보와 병행하여 춤사위의 변화가 있었다. 일무는 세조 때 조선왕조의 역대 군왕(君王)의 위패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발행일 2010.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발행기관
  • 저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