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성은 해금, 피리2, 장구, 북, 대금이다.
가음데에 중여음이 들어가있다.
교수님 한 학기동안 고생하셨어요 Ⅰ. 국악의 갈래
1. 역사적 분류
2. 연주법에 따른 분류
Ⅱ. 한국의 기보법
1. 정간보(井間譜)
2. 오음약보(五音略譜)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0.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오음약보와 16정간보라는 새로운 기보법에 의하여 악보가 편찬되었으니 세조실록 권48과 권49에 전하는 세로실록악보가 바로 그것이다. 세조실록악보에 전하는 보태평과 정대업은 본래 세종 때 회례연에 쓰기 위하여 창제되었던 것을 종묘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오음약보
- 세종이 창안한 정간보는 1행이 32정간이나, 세조가 개량한 오음약보는 1행이 16정간
4-4. 성종 때의 음악
(1) 악학궤범 찬정
- 세종 때 이룩한 업적을 손실시키지 않고, 음악문화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찬정
(2) 당악의 향악화
- 성종 이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오음약보 등과 함께 쓰인다. 그래서 세종 대에는 정간보에 율자보를 함께 사용했지만, 세조 이후의 정간보에는 세조가 직접 창안한 오음약보를 적어 음고를 나타내었다. 1. 타령 (음악 6 외)
2. 판소리 (음악 6, P.23)
3. 창극 (음악6, p. 23)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10.05.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악기의 소리를 흉내내어 적은 구음보(구음보)
·합자보: 율명을 쓰지 않고 연주법을 여러 약자로 표기한 악보
·정간보: 한국의 대표적인 악보로 음의 높이와 길이를 알 수 있음
·오음약보: 12율을 쓰지 않고 중심음에 위(上一, 上二), 아래(上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03.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