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악의 정비시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절 역사적 배경과 시대 개관

제 2절 조선 전기의 왕립 음악기관
1. 아악서와 전악서
2. 악학과 관습도감
3. 장악서와 악학도감
4. 장악원의 직제와 활동범위

제 3절 조선 전기의 아악정비
1. 건국 초기의 악가제정
2. 세종초의 율관 및 악기 제작
3. 세종조의 아악제정
4. 아악의 이론과 음악양식

제 4절 조선 전기의 향악과 민속악
1. 향악기와 향악곡 개관
2. 향악의 음악양식
3. 향악정재와 민속악

제 5절 조선 전기의 당악과 고취악
1. 당악과 당악정재의 전통
2. 당악의 음악양식
3. 조선 전기의 고취악

제 6절 조선 전기의 악서와 기보법
1. 악보와 악서 편찬
2. 새 기보법 창안

본문내용

당악의 향악화 : 당악이 조선 전기에 이르러 향악화되기 시작한 원인은 두가지 측면에서 조명해 볼 수 있다. 하나는 당악의 전통을 이러갈 우리나라의 악공들은 있었으나, 당악을 올바르게 이어갈 송의 교방악사들이 조선 왕조의 건국 이후에는 없었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그 당시 음악문화정책의 대세라는 관점에서이다. 향악과 당악에 공통적으로 쓰인 당악기는 박, 교방고, 장고, 당비피, 아쟁, 태평소이며 박 교방고 장고는 모두 향악정재와 당악정재의 연주 때 사용되었고, 태평소는 행진음악, 다쟁은 당악에만 쓰였으나 성종이후 향악에 쓰이게 되었다.
2) 악학궤범 당악기의 산형 ; 당악기의 산형은 율자보와 공척보로 표시되어 있는데, 율자보는 앞에서 이미 설명되었고 공척보는 글자로 음의 높낮이를 표시하는 문자기보법의 일종이다. 공척보는 고려 때 처음우리나라에 소개 되었으며, 세종실록, 세조실록, 악학궤범 등에 그 기록이 소개 되어있다. 당악곡의 하나로 대악후보에 전하는 보허자의 음악양식은 음계에 있어서 향악화되었으나, 당악의 모습을 잘 보전하고 있다고 하겠다. 보허자는 일자일음식의 4박자 리듬으로 되어있고 선법은 6음 음계의 중려궁이며, 형식은 환입형식으로 되었다. 조선 전기에 이미 향악화된 보허자는 조선 후기에 이르러 더욱 향악화의 변천과정을 밟게 되는데, 이점은 다음 장에서 다루기로 한다.
3. 조선 전기의 고취악 : 조선 전기의 고취악이 고려의 전통을 전승하여 그 바탕 위에 새롭게 정비됨으로써 새 시대의 고취악 전통을 이루었다. 새로운 고취악의 전통이 어떤 경우에 어떻게 전승되었고, 연주된 고취악의 음악적 특징이 무엇인지를 차례로 살피도록 한다.
1) 고취의 종류와 악기 편성 : 성종 때 연주되었던 고취의 종류는 악학궤범에 의하면 전정고취, 전후고취, 전부고취, 후부고취, 이상 네 가지였다. 전정고취는 악사 2명과 악공 50명, 전후고취는 악사1명과 악공18명, 전부고취와 후부고취는 각각, 악사 1명과 악공 50명으로 이루어 졌다.
2) 고취악의 음계와 선법 : 발상 11곡의 음계는 5음음계, 6음음계, 7음음계 이상 세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5음음계의 악곡들은 희광 순우 정희강보 응명 이상 다섯 곡이고, 창부와 영격은 6음음계로 되었으며 신계 헌휴 가서 화성 이상 네 곡은 7음 음계로 되어있다.
제 6절 조선 전기의 악서와 기보법
악서는 문자 그대로 음악에 관한 책 이라고 하겠는데, 그 용어의 정의는 넓은 뜻과 좁은 뜻으로 나누어 진다. 넓은 뜻의 악서는 음악의 이론과 역사에 관한 모든 문헌사료, 좁은 뜻의 악서는 음악문헌이다. 여기서는 좁은뜻의 악서와 악보로 나누어 개관해 보고자 한다.
1. 악보와 악서 편찬
1) 세종조와 세조조의 악보 편찬 : 세종조의 악보 편찬에 이어서 세조 때 다시 오음약보와 16정간보라는 새로운 기보법에 의하여 악보가 편찬되었으니 세조실록 권48과 권49에 전하는 세로실록악보가 바로 그것이다. 세조실록악보에 전하는 보태평과 정대업은 본래 세종 때 회례연에 쓰기 위하여 창제되었던 것을 종묘제례악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개작된 것이었다고 앞에서 이미 지적하였다. 세조조의 악보편찬도 역시 새로운 기보법을 창안하여 악보로 남김으로써 현행 종묘제례악 연구에 귀한 음악사료이므로, 음악사적인 견지에서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2) 악학궤범의 편찬 : 악학궤범은 조선 후기에 중요한 악서로 활용되었을 뿐만아니라 현재에도 음악사 연구를 포함한 한국문화 연구에 귀중한 문헌 사료로 인정받고 있다. 그런데 1493년에 초간된 악학궤범은 불행히도 우리나라에 현존하지 않고,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반출된 이후 현재까지 나고야 조재의 봉좌문고에 보존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 보존된 가장 오랜 것은 1610년 판이다. 초간된 악학궤범과 임진왜란 이후의 것을 비교할 때 약간 다른 부분이 발견되어 지적된 바 있으며, 여러 가지 영인본이 출간 되었다.
3) 조선 전기의 악보 개관 ; 조선 전기의 음악을 담은 악보는 세종실록악보와 세조실록악보, 시용향악보와 대악후보, 금합자보 이상 다섯 가지이다.
2. 새 기보법 창안 : 정간보, 오음약보, 합자보는 조선 전기에 창제되어 여러 악곡들을 기보하여 후세에 남겨주는 데 공헌한 기보법들이었다. 따라서 하나씩 개관해 보도록 한다.
1) 정간보의 창안 ; 정간보는 우리나라 최초의 유량악보이며, 세종과 세조 때 창안 되었다.
정간보는 1행이 32정간으로 구성 되었으며, 본 교재의 악보 11에 보면 율자보가 사용되었는데 율자보는 정간보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함께 기보 된 것이다. 세조는 세종의 정간보를 개량 할 때 1행을 16정간으로 만들고, 16정간을 육대강으로 만들었으며 율자보 대신에 오음약보를 사용하였다.
2) 5음약보의 창안 : 세조가 32정간의 정간보를 개량하여 16정간보를 창안했을 때 음의 높낮이를 표시하기 위한 새 기보법이 오음약보이다. 이 기보법은 음의 높낮이를 눈으로 쉽게 구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졌지만, 궁의 높이를 표시할 수 없다는 단점과 음과 음 사이의 음정을 제대로 나타낼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세조실록악보에 그 골격이 잘 나타나있으나, 조선 후기에 이르러 제대로 활용되지 못했으므로 곧 소멸되고 말았다.
3) 합자보의 등장 : 합자보는 말 그대로 글자를 모아서 기록하는 기보법이다. 주로 거문고 가야고 당비파 향비파를 위한 악보로 많이 쓰였고, 이것 또한 조선 전기에 많이 쓰여지지 않은 악보이다. 이 악보의 단점은 각 음의 시가를 표시할 수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금합자보 같은 악보가 함께 사용되었다.
4) 육보와 기타 기보법 : 육보는 향악기의 소리를 흉내내어 소리나는 대로 적은 구음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육보 또한 음의 시가를 나타낼 수 없는 단점을 지녔으므로 육보는 조선 전기에 합자보의 보조로 금합자보에서 사용되었고, 조선 후기에도 그 기보법은 합자보와 함께 계속 사용되면서 변천과정을 밟게 되었던 것이다. 육보 이외 조선 전기에 쓰인 기보법은 율자보 공척보이다. 율자보와 공척보도 음의 높낮이만을 표시할 수 있었고, 음의 시가를 나타낼 수 없는 악보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7.09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99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