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래
2. 형태
3. 연주법
4. 음역, 음색
5. 편경이 쓰이는 곡
2. 형태
3. 연주법
4. 음역, 음색
5. 편경이 쓰이는 곡
본문내용
문묘제례악, 종묘제례악과 관악합주인 보허자, 낙양춘, 유황곡, 정동방곡, 여민락만, 본령, 해령 등에 편성되는데 어떠한 음악에서든지 편종과 편경은 반드시 함께 편성된다. 편경은 편종과 마찬가지로 악기의 특수성 때문에 쉽게 제작할 수도 없고, 몇몇 연주단 이외에는 보유하고 있는 곳도 드물어 쉽게 활용할 수가 없다고 한다.
현재의 편경
춘추전국시대의 편경
현재의 편경
춘추전국시대의 편경
추천자료
강은일의 오래된 미래'를 다녀와서
김훈의 '칼의 노래, 현의 노래' 독후감
가야금 연주 감상문
전통음악 문묘제례악
18세기 종묘제례악 고음악연주회를 본 후
[구비문학]수궁가관람기
한국음악통사
조선시대(세종시대)의 음악
[풍물굿][풍물놀이][농악]풍물굿(풍물놀이)의 개념, 풍물굿(풍물놀이)의 특성, 풍물굿(풍물놀...
[농악][농악놀이][풍물][굿]농악(농악놀이, 풍물, 굿) 유래, 농악(농악놀이, 풍물, 굿) 종류,...
음악교육과정(음악과교육과정)의 특성과 목적, 음악교육과정(음악과교육과정)의 개정중점, 음...
한국음악사
우리의 소리, 농악
앙상블 사랑과 나눔 음악회 감상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