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국악분석(짜임새)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민속음악의 짜임새

2. 불교음악의 짜임새

3. 정악의 짜임새

4. 한국 창작음악의 짜임새

본문내용

phony라고 함
권오성:어떤때는 같이 가다가(unison), 또 어떤때는 각기가는(heterophony)것 같은 짜임새의 복잡성을 설명.
최종민: 폴리포니와 호모포니 어디에도 해당되지 않음
이성천: 각 선율이 주종관계가 없으며 각기 독립적 선율을 모아서 조화롭게 되는 것이며mehrstimmig Music의 조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함
윤지영:국악은 선율구조에 있어서 수직적 이라기보다 수평적 형성이므로, 서양음악에 있어서 선율의 충돌이나 모방등에 의하여 형성되는 음정의 울림이 다성음악으로서의 선적 대위법으로 내재됨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예가 아악의 가곡과 민속악의 시나위에서 나타남을 볼수이다.
<한국음악의 짜임새 >
Homophony Texture
반주-선율 짜임새 :하나의 주제선율에 다른 성부가 반주 역할을 맡는 짜임새 (이강덕의 '송춘곡', '염불 주제에 의한 환상곡', 이해식의 ' 바람의 말')
Chordal Texture : 거의 쓰이지 않음
Heterophony (이강덕의 '송춘곡' 김기수의 '5월의 노래', 김용진의' 대금 7중주'
Polyphony Texture (이강덕의'송춘곡' , 김용진의 '대금 7중주', 김요섭의 '세령산 주제에 의한 새풍류', 이건용의 '태주로부텨의 전주걱', 김기수의 '아시온 서울' , 백대웅의 ' 회온례를 위한 시나위'등에서 다양한 모방형식 즉, 엄격모방,자유모방, 푸가형식 등을 통해 나타남. 이상과 같이 한국의 전통음악은 대부분이 모노포니나 헤테로포니의 짜임새로 설명되어지고 있는데, 비해 한극 창작음악은 헤테로포니, 호모포니, 폴리포니의 다양한 짜임새를 이룸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9.22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38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