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국악의 의의
1. 국악의 의의
2. 국악의 분류
가. 속악과 아악
Ⅱ. 우리민요에 대하여
1. 민요의 유래
2. 민요의 종류
3. 민요의 창법
4. 각 지방 민요의 특색
가. 경기민요
나. 서도민요
다. 남도민요
5. 민요의 실제연습
가. 뱃노래, 자진 뱃노래
나. 자진 뱃노래
다. 신고산 타령
라. 오봉산타령
마. 닐니리야
바. 몽금포 타령
사. 사설 난봉가
아. 진도아리랑
자. 한오백년
차. 밀양아리랑
6. 민요의 장단
1. 국악의 의의
2. 국악의 분류
가. 속악과 아악
Ⅱ. 우리민요에 대하여
1. 민요의 유래
2. 민요의 종류
3. 민요의 창법
4. 각 지방 민요의 특색
가. 경기민요
나. 서도민요
다. 남도민요
5. 민요의 실제연습
가. 뱃노래, 자진 뱃노래
나. 자진 뱃노래
다. 신고산 타령
라. 오봉산타령
마. 닐니리야
바. 몽금포 타령
사. 사설 난봉가
아. 진도아리랑
자. 한오백년
차. 밀양아리랑
6. 민요의 장단
본문내용
내몸 끝없이 한없이 가잔다
마. 닐니리야
(후렴) 닐니리야 닐니리야 니나노난실로 내가 돌아간다.
닐닐 닐닐닐 닐니리야
① 청사초롱 불 밝혀라 잊었던 그 님이 다시 돌아온다.
닐 -닐 닐리닐 닐리리야
② 왜 왔던가, 왜 왔던가 울리고 갈 길을 왜 왔던가 닐 리 닐닐닐 닐리리야
③ 산은 첩첩천봉이요 물은 잔잔 백곡이라 닐 - 닐 닐닐닐 닐니리야
④ 창해유수 흐르는 물 다시 오기 어여워라 닐 -닐 닐닐닐 닐니리야
바. 몽금포 타령
(후렴) 에헤요, 어헤요, 에헤야 임만나 보겠네
o장산곳 마루에 북소리 나더니 금일도 상봉에 임만나 보겠네
o갈 길은 멀구용, 행선은 더디니 늦바람 볼라고 성황님 조른다
o바람새 좋다고 돛달지 말고요 몽금이 개암포 들렀다 가소래
사. 사설 난봉가
(후렴) 에헤 에헹 어허야 어야- 야 듸야 내 사랑아
o 에헤-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
※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
이십리 못 가서 불한당 만나고 삼십리 못 가서 되돌아 오누가 에헹 어야 어야 더 -허야 내 사랑아
o 에헹 - 물 길러 간다고 강짜를 말고 부뚜막 우에다가 우물을 파렴
※ 물 길러 간다고 강짜를 말고 부뚜막 우에다 우물을 파렴아 에헹 어야 어야 더허 - 야 내 사랑아
아. 진도아리랑
(후렴)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릴랑 아라리가 났내에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
o문경새재는 웬 고개인고 곱이야 굽이굽이 눈물이 난다.
o세월아 봄철아 오고가지 마라 아가운 청춘이 다 늙어간다.
o가지 많은 나무는 바람잘 날 없고 자식 많은 우리부모 속 편할 날 없네
o해당화 한 송이를 와자지끈 꺾어 우리 님 머리 위에다 꽂아나 줌세
o만경 창파에 둥둥둥 뜬배 어기여차 어야듸야 노를 저라
자. 한오백년
(후렴) 아무렴 그렇지 그렇고 말고 한오백년 살자는데 웬 성화요
o한 많은 이 세상 야속한 임아 정을 두고 몸만 가니 눈물이 나네
o꽃 답던 내청춘 절로 늙어 남은 반생을 어느 곳에다 뜻 붙일꼬
o백사장 세모래밭에 칠성단을 모으고 임생겨 달라고 비나이다.
차. 밀양아리랑
(후렴)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 아리랑 아라리가 났네 - 에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o염남루 명승을 찾아가니 아랑의 애호가 전해 있네
o밀양의 아랑각은 아랑넋을 위로 코 진주의 의암은 논개 충절 빛내네
o영남루 비친달 빛 교교한데 남천강 말없이 흘러만 간다.
6. 민요의 장단
민요(소리)의 장단에 대하여 간략하에 우리의 민요는 거의 세마치, 굿거리, 자진모리로 되어있다.
가. 세마디 : 세박장단(아리랑, 밀양아리랑, 진도아리랑, 양산도, 방아타령, 도라지타령, 몽금포타령)
구음 : 덩 덩 따 궁 따
기호 :
나. 굿거리 : 네박장단(창부타령, 닐리리야, 청춘가, 한강수타령, 오봉산타령, 뱃노래, 태평가, 매화타령, 천안삼거리)
구음 : 덩 기닥 더라라 덩 기닥궁 따
기호 :
다. 자진모리 : 빠른 네박장단(신고산 타령, 자진뱃노래, 강원도 아리랑, 군밤 타령, 자진방아 타령, 사설 난봉가, 쾌지나칭칭나네, 옹헤야)
구음 :덩따 궁따 덩따궁따
기호 :
마. 닐니리야
(후렴) 닐니리야 닐니리야 니나노난실로 내가 돌아간다.
닐닐 닐닐닐 닐니리야
① 청사초롱 불 밝혀라 잊었던 그 님이 다시 돌아온다.
닐 -닐 닐리닐 닐리리야
② 왜 왔던가, 왜 왔던가 울리고 갈 길을 왜 왔던가 닐 리 닐닐닐 닐리리야
③ 산은 첩첩천봉이요 물은 잔잔 백곡이라 닐 - 닐 닐닐닐 닐니리야
④ 창해유수 흐르는 물 다시 오기 어여워라 닐 -닐 닐닐닐 닐니리야
바. 몽금포 타령
(후렴) 에헤요, 어헤요, 에헤야 임만나 보겠네
o장산곳 마루에 북소리 나더니 금일도 상봉에 임만나 보겠네
o갈 길은 멀구용, 행선은 더디니 늦바람 볼라고 성황님 조른다
o바람새 좋다고 돛달지 말고요 몽금이 개암포 들렀다 가소래
사. 사설 난봉가
(후렴) 에헤 에헹 어허야 어야- 야 듸야 내 사랑아
o 에헤-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
※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
이십리 못 가서 불한당 만나고 삼십리 못 가서 되돌아 오누가 에헹 어야 어야 더 -허야 내 사랑아
o 에헹 - 물 길러 간다고 강짜를 말고 부뚜막 우에다가 우물을 파렴
※ 물 길러 간다고 강짜를 말고 부뚜막 우에다 우물을 파렴아 에헹 어야 어야 더허 - 야 내 사랑아
아. 진도아리랑
(후렴)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릴랑 아라리가 났내에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
o문경새재는 웬 고개인고 곱이야 굽이굽이 눈물이 난다.
o세월아 봄철아 오고가지 마라 아가운 청춘이 다 늙어간다.
o가지 많은 나무는 바람잘 날 없고 자식 많은 우리부모 속 편할 날 없네
o해당화 한 송이를 와자지끈 꺾어 우리 님 머리 위에다 꽂아나 줌세
o만경 창파에 둥둥둥 뜬배 어기여차 어야듸야 노를 저라
자. 한오백년
(후렴) 아무렴 그렇지 그렇고 말고 한오백년 살자는데 웬 성화요
o한 많은 이 세상 야속한 임아 정을 두고 몸만 가니 눈물이 나네
o꽃 답던 내청춘 절로 늙어 남은 반생을 어느 곳에다 뜻 붙일꼬
o백사장 세모래밭에 칠성단을 모으고 임생겨 달라고 비나이다.
차. 밀양아리랑
(후렴)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 아리랑 아라리가 났네 - 에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o염남루 명승을 찾아가니 아랑의 애호가 전해 있네
o밀양의 아랑각은 아랑넋을 위로 코 진주의 의암은 논개 충절 빛내네
o영남루 비친달 빛 교교한데 남천강 말없이 흘러만 간다.
6. 민요의 장단
민요(소리)의 장단에 대하여 간략하에 우리의 민요는 거의 세마치, 굿거리, 자진모리로 되어있다.
가. 세마디 : 세박장단(아리랑, 밀양아리랑, 진도아리랑, 양산도, 방아타령, 도라지타령, 몽금포타령)
구음 : 덩 덩 따 궁 따
기호 :
나. 굿거리 : 네박장단(창부타령, 닐리리야, 청춘가, 한강수타령, 오봉산타령, 뱃노래, 태평가, 매화타령, 천안삼거리)
구음 : 덩 기닥 더라라 덩 기닥궁 따
기호 :
다. 자진모리 : 빠른 네박장단(신고산 타령, 자진뱃노래, 강원도 아리랑, 군밤 타령, 자진방아 타령, 사설 난봉가, 쾌지나칭칭나네, 옹헤야)
구음 :덩따 궁따 덩따궁따
기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