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악보에 수록된 “아악십이궁칠성용이십팔성(雅樂十二宮 七聲用二十八聲)”과 “십이궁칠성용십육성(十二宮七聲用十六聲)” 선별적으로 수용하였다.
그 결과 제례악은 대성악보의 16곡 중 궁조로 된 12곡을 취하고, 이것을 다시 12조로 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아악서와 전악서
2. 악학과 관습도감
3. 장악서와 악학도감
4. 장악원의 직제와 활동범위
제 3절 조선 전기의 아악정비
1. 건국 초기의 악가제정
2. 세종초의 율관 및 악기 제작
3. 세종조의 아악제정
4. 아악의 이론과 음악양식
제 4절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아악서
3. 왕립음악기관의 활동 범위
제 3절 고려의 향악기와 향악
1. 고려시대의 향악기
2. 고려시대의 향악
제 4절 고려의 당악과 당악기
1. 고려의 당악과 당악정재
2. 고려의 당악기와 송의 교방악사
제 5절 대성아악의 등장과 그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악기를 보내주어 우리나라에도 정식으로 아악이 쓰이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형식도 갖추지 못하며, 아악기에도 연주도 되지 않았다. 그것은 송나라의 음률과 우리 체계가 안 맞아 악기와 악식을 제대로 구비하지 못해 원모습을 잃어 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5.0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국의 식생활(식사습관), 중국의 술(음주문화), 중국의 요리(음식문화), 중국의 경극(경극문화), 중국의 음악(아악), 중국의 유명관광지, 중국의 권법(태극권) 분석
Ⅰ. 중국의 식생활(식사습관)
Ⅱ. 중국의 술(음주문화)
1. 술의 역사
2. 술의 종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