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의 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국악 교육의 의의

Ⅱ. 전통 음악의 분유
1. 악곡 분류
2. 우리 나라 민요의 분류
가. 경기 민요
나. 남도 민요
다. 서도 민요
라. 동부 민요
마. 제주 민요

Ⅲ. 전통 악기의 분류 방법

Ⅳ. 국악의 기초 이론
1. 옛 기보법
2. 정간보 기보법 및 읽는 법
3. 음계 연습
4. 12율명

본문내용

악기의 소리를 흉내내어 적은 구음보(구음보)
·합자보: 율명을 쓰지 않고 연주법을 여러 약자로 표기한 악보
·정간보: 한국의 대표적인 악보로 음의 높이와 길이를 알 수 있음
·오음약보: 12율을 쓰지 않고 중심음에 위(上一, 上二), 아래(上一, 上二…) 등으로 나타낸 악보
·연음보: 일종의 부호를 사설에 붙여 노래 할 수 있게 표시한 악보
2. 정간보 기보법 및 읽는 법
정간보는 #자 모양이 상하, 좌우로 연결되어 있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세종때 만들어진 기보법이다.
·정간보는 위에서 아래로 읽어 가는 세로 악보다.
·오른편에서 왼편으로 1장씩 읽어 나간다.
·1정간은 1박, 2정간은 2박을 나타낸다.
·1줄은 '행' 또는 '각' 이라고도 하며 1장단을 뜻한다.
·한 장단은 악곡에 따라 32, 16, 12, 10, 8, 6, 4 정간 등으로 나뉜다.
·행과 행 사이의 공간은 부호나 노래말, 또는 구음(口音) 등을 적는다.
·한 정간 내의 두 소리 이상은 표기하는 순서와 위치에 따라 그 시가 등이 달라 진다.
·<표는 숨표를 뜻하며 △(쉼표)는 기보된 위치에 따라 율명과 동일한 시가를 가진다.
·한 정간내의 읽는 순서
3. 음계 연습
4. 12율명
우리 나라 전통 음악에 사용되는 12개의 음이름을 율명이라 부르며, 그 12음을 12율이라 한다.
12율의 높이는 黃鐘이 C음에 가까운 경우와 Eb에 가까운 두 음 높이를 가지고 있는데 앞의 경우는 당피리, 편종, 편경 등이 중심이 되는 음악에, 뒤는 향피리, 거문고 등이 중심되는 음악에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우리 나라도 서양과 같이 12음을 한 옥타브 내에 가지고 있으나, '삼분손익법'에 의해 산정되기 때문에 순정률 또는 평균율로 제작된 서양 악기로 국악곡을 연주하면 제 맛을 찾을 수 없다.
그리고 이 12율명을 기보할 때에는 그 첫 자만 따서, 黃, 太, 仲…등으로 쓰며 한 옥타브 윗소리는 청성이라 하며 율명 왼편에 (삼수 변)하나를, 두 옥타브 위로 를 붙이고 중청성이라 한다. 또 반대로 한 옥타브 아랫소리는 배성이라 하여 (인 변)을, 두 옥타브 아래는 (기호)를 붙이고 하배성이라 부른다.
2옥타브 아래
1옥타브 아래
1옥타브 위
2옥타브 위
(하배성)
(배성)
(중성)
(청성)
(중청성)
<참 고 문 헌>
·교육부, 「음악과 교사용 지도서」 1996.
·김정수 외, 「전통음악학습지도법」, 세광음악출판사, 1990.
  • 가격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1.20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36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