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봉산탈춤
봉산 탈춤의 유래와 역사
봉산 탈춤의 구성
봉산탈춤의 길놀이
봉산탈춤의 연희 형태와 탈
봉산탈춤의 연극적 특징
탈춤의 종류
내용
탈춤의 성격
봉산탈춤
유래
봉산탈춤의 특징
◎ 작품 이해
◎ 구성
◎ 대화의 진행 방식
◎ <봉산탈춤> \'양반과장\'의 등장 인물
◎ 봉산 탈춤에 대하여
◎ 구성
봉산 탈춤의 유래와 역사
봉산 탈춤의 구성
봉산탈춤의 길놀이
봉산탈춤의 연희 형태와 탈
봉산탈춤의 연극적 특징
탈춤의 종류
내용
탈춤의 성격
봉산탈춤
유래
봉산탈춤의 특징
◎ 작품 이해
◎ 구성
◎ 대화의 진행 방식
◎ <봉산탈춤> \'양반과장\'의 등장 인물
◎ 봉산 탈춤에 대하여
◎ 구성
본문내용
면을 관중에게 보이고 춤을 춘다. 둘째 목중이 등장하여 첫째 목중의 얼굴을 탁 치면 첫째 목중이 퇴장. 둘째 목중이 타령에 맞추어 춤을 추다가 노래를 부르면 셋째 목중이 달음질로 등장, 역시 둘째 목중의 얼굴을 탁 치면, 둘째 목중이 퇴장, 같은 방법으로 목중들이 차례로 등장했다가 각자 자신들의 승려 생활을 파계하는 모습을 연출한 후, 퇴장한다. 여덟째 목중까지 등장하면 퇴장했던 일곱 목중이 다시 등장하여 어울려 춤을 춘다.
제 2 경 : 법고놀이[버꾸놀이]
목중들이 등장하여 미리 탈판 중앙에 준비해 놓았던 법고를 가지고 목중들이 익살과 재담으로 법고놀이를 한다. 팔목들이 장고, 꽹가리 등을 들고, 법고 장단에 맞추어 춤을 출 때, 사당(寺堂)도 한 구석에서 나와 춤을 춘다.
③ 제 3 과장 : 사당춤[寺堂舞]
시래기짐을 지고 홀아비거사가 등장하여 어색하게 춤을 추고 있으면 거사 6인이 화려하게 치장한 사당을 가마에 태우고 등장한다. 홀아비거사는 사당을 보고 좋아서 어쩔 줄 모른다. 거사들이 이를 보고 홀아비거사는 피해 다니다가 퇴장한다. 사당과 거사들은 가면을 위로 제쳐 쓰고 놀량사거리를 합창하며 북, 장고들을 치면서 질탕히 놀다가 전원 퇴장한다.
④ 제 4 과장 : 노장춤[老長(僧)舞]
제 1 경 : 노장춤
목중들이 노장의 육환장(六環杖)을 어깨에 메고 노장을 끌고 타령곡에 맞추어 탈판으로 들어온다. 노장이 슬며시 사라진 척하면 노장을 찾으러 다니면서 노장에게 갖가지 모욕을 준다. 목중들이 노장을 찾아 놓고 주위를 빙빙 돌면서 춤을 추다가 전원 퇴장하여 소무를 남여에 태워 등장시켜 놓고 다시 퇴장한다. 소무의 미색(美色)에 반한 노장은 자기의 염주를 벗어 주며 소무를 유혹한다. 드디어 소무가 유혹에 넘어간다. 노장이 파계하게 된 것을 뜻하는 장면이다.
제 2 경 : 신장사춤
노장과 소무가 신나게 춤을 추고 있을 때 신장사가 등장, 노장이 자기의 신과 소무의 신을 사려 한다. 이 때 신장사의 짐 속에서 원숭이가 펄쩍 뛰어 나온다. 신장사가 놀래 달아나면 원숭이가 신장사와 똑같은 행동을 한다. 신장사가 원숭이를 수금원으로 채용하고 노장에게 신 값을 받아오라고 이르면 소무에게 가서 음란한 짓을 한다. 신장사가 야단을 치면 다시 노장에게 가서 신 값을 요구하고 노장이 대신 준 편지를 신장사에게 전한다. 편지 내용에 놀란 신장사는 원숭이와 함께 퇴장하고 노장은 다시 소무와 춤을 춘다.
제 3 경 : 취발이춤
이 때 힘이 센 취발이가 등장하여 노장과 서로 싸우다가 노장을 사정없이 때려 쫓아낸다. 취발이는 돈으로 소무를 유혹하여 함께 춤을 춘다. 소무가 배 앓는 양을 하다가 아이(인형)를 낳고 퇴장한다. 취발이가 즐거워하며 아이의 이름을 '마당'이라 짓고 아이 목소리를 내면서 아이에게 천자문과 언문을 가르친다.
⑤ 제 5 과장 : 사자춤[獅子舞]
목중 여덟이 사자에게 쫓겨 등장하고 사자는 목중을 잡아 먹으려 한다. 목중들 다시 쫓겨 퇴장하고, 그 중 한 사람만 남아 마부 역할을 한다. 마부는 석가 여래의 명을 받아 목중들이 노장을 파계시킨 것을 벌을 주려고 내려 왔음을 알게 된다. 마부가 사자를 달래, 진심으로 회개하여 깨끗한 마음으로 도를 닦아 훌륭한 중이 되어 부처님의 제자가 될 것을 약속하고 용서를 받는다. 한참 동안 화해의 춤을 함께 춘다.
⑥ 제 6 과장 : 양반춤[兩班舞] (교과서 수록 부분)
주로 말뚝이와 양반 삼형제와의 재담으로 이루어진다. 새처를 정하는 놀이, 시조 짓기와 파자 놀이, 나랏돈 잘라먹은 취발이를 잡아 오는 과정들을 통해 말뚝이는 독설과 풍자로써 양반들을 욕보인다.
⑦ 제 7 과장 : 미얄춤
미얄할멈이 춤을 추며 등장하여 악공 앞에 와서 울고 있다. 악공은 미얄할멈으로부터 난리로 헤어진 영감을 찾는다는 말을 듣는다. 이 때 할멈을 찾아 헤매는 영감이 등장하여 서로 만나 반기게 된다. 두 사람이 지난 일을 이야기하다가 영감이 아들이 죽은 것을 알자 헤어지자고 말하고 미얄에게 첩인 덜머리집을 소개하게 되자 서로 싸우게 된다. 결국 살림을 갈라 헤어지기로 하는데 덜머리집과 미얄의 싸움은 더욱 심해지고 결국 미얄이 쓰러져 죽는다. 남강노인(南江老人)이 등장하여 무당을 불러 미얄의 넋을 위로하는 굿을 하면서 탈춤의 전 과정이 끝난다.
○ 봉산 탈춤의 한국 가면극사적 의의
우리 나라의 가면극 가운데 하회(河回) 별신굿 탈놀이는 연행일과 연행 동기가 제의와 맞물려 있는 농촌 탈춤(혹은 향촌형 탈춤)으로서, 마을의 무사 태평과 풍요다산을 기원하는 계절제(季節祭)인 별신굿이 거행되는 정월 초부터 보름까지 연희되었다. 한편, 수영 야류(또는 야유, 들놀음), 동래 야류 등은 이행기(移行期)적 탈춤으로 농촌 탈춤의 성격과 함께 오락적 연행 목적을 아울러 가지고 있다. 이러한 탈춤의 한계를 뛰어넘는 탈춤 형식이 조선 후기 상업 도시의 발달과 평민 의식의 성장과 더불어 나타났으니 이것이 도시 탈춤이다. 도시 탈춤은 점차 마을굿[部落祭]이나 세시 행사로부터 분리되어 독립된 연극으로 연행되었는데, 농촌 탈춤의 담당층이 농민인데 비하여, 도시 탈춤은 상인과 이속 중심으로 연행되었다. 이러한 도시 탈춤을 대표하는 것이 봉산 탈춤이다. 봉산 탈춤은 주로 단오에 성대히 연희되었고, 관아(官衙)의 경사(慶事)나 중국 사신을 영접하는 놀이로 특별히 연희되었다. 나아가 5일장이 서던 봉산 근방의 모든 시장에서 1년에 한 번씩 연희되었다. 이는 연행일과 연행 동기가 제의와 결별하였음을 의미하고, 탈춤이 경제적인 동기와 긴밀히 연결되어 오락적인 목적에 기여하는 데 접어들었음을 뜻한다. 봉산은 교통의 요지일 뿐만 아니라 상업의 중심지여서 일찍부터 탈춤이 발달할 수 있는 사회?경제적 토대가 닦여져 있었다. 이러한 토대 위에서 농민 문화에 뿌리를 둔 탈춤을 상인과 이속이 키운 결과, 봉산 탈춤은 등장 인물 사이의 갈등을 박진감 있게 구현하고 하층 민중들의 생활 의지와 어긋나는 지배 체제의 허구성과 허위의식을 다각도로 비판할 수 있었다. 봉산 탈춤은 18세기 조선 후기 사회에서 있었던 혁신(革新)에의 움직임을 가장 극명하게 표현한 도시 탈춤의 정수(精髓)라 하겠다.
봉산탈춤을 공부하면서 느낀점
제 2 경 : 법고놀이[버꾸놀이]
목중들이 등장하여 미리 탈판 중앙에 준비해 놓았던 법고를 가지고 목중들이 익살과 재담으로 법고놀이를 한다. 팔목들이 장고, 꽹가리 등을 들고, 법고 장단에 맞추어 춤을 출 때, 사당(寺堂)도 한 구석에서 나와 춤을 춘다.
③ 제 3 과장 : 사당춤[寺堂舞]
시래기짐을 지고 홀아비거사가 등장하여 어색하게 춤을 추고 있으면 거사 6인이 화려하게 치장한 사당을 가마에 태우고 등장한다. 홀아비거사는 사당을 보고 좋아서 어쩔 줄 모른다. 거사들이 이를 보고 홀아비거사는 피해 다니다가 퇴장한다. 사당과 거사들은 가면을 위로 제쳐 쓰고 놀량사거리를 합창하며 북, 장고들을 치면서 질탕히 놀다가 전원 퇴장한다.
④ 제 4 과장 : 노장춤[老長(僧)舞]
제 1 경 : 노장춤
목중들이 노장의 육환장(六環杖)을 어깨에 메고 노장을 끌고 타령곡에 맞추어 탈판으로 들어온다. 노장이 슬며시 사라진 척하면 노장을 찾으러 다니면서 노장에게 갖가지 모욕을 준다. 목중들이 노장을 찾아 놓고 주위를 빙빙 돌면서 춤을 추다가 전원 퇴장하여 소무를 남여에 태워 등장시켜 놓고 다시 퇴장한다. 소무의 미색(美色)에 반한 노장은 자기의 염주를 벗어 주며 소무를 유혹한다. 드디어 소무가 유혹에 넘어간다. 노장이 파계하게 된 것을 뜻하는 장면이다.
제 2 경 : 신장사춤
노장과 소무가 신나게 춤을 추고 있을 때 신장사가 등장, 노장이 자기의 신과 소무의 신을 사려 한다. 이 때 신장사의 짐 속에서 원숭이가 펄쩍 뛰어 나온다. 신장사가 놀래 달아나면 원숭이가 신장사와 똑같은 행동을 한다. 신장사가 원숭이를 수금원으로 채용하고 노장에게 신 값을 받아오라고 이르면 소무에게 가서 음란한 짓을 한다. 신장사가 야단을 치면 다시 노장에게 가서 신 값을 요구하고 노장이 대신 준 편지를 신장사에게 전한다. 편지 내용에 놀란 신장사는 원숭이와 함께 퇴장하고 노장은 다시 소무와 춤을 춘다.
제 3 경 : 취발이춤
이 때 힘이 센 취발이가 등장하여 노장과 서로 싸우다가 노장을 사정없이 때려 쫓아낸다. 취발이는 돈으로 소무를 유혹하여 함께 춤을 춘다. 소무가 배 앓는 양을 하다가 아이(인형)를 낳고 퇴장한다. 취발이가 즐거워하며 아이의 이름을 '마당'이라 짓고 아이 목소리를 내면서 아이에게 천자문과 언문을 가르친다.
⑤ 제 5 과장 : 사자춤[獅子舞]
목중 여덟이 사자에게 쫓겨 등장하고 사자는 목중을 잡아 먹으려 한다. 목중들 다시 쫓겨 퇴장하고, 그 중 한 사람만 남아 마부 역할을 한다. 마부는 석가 여래의 명을 받아 목중들이 노장을 파계시킨 것을 벌을 주려고 내려 왔음을 알게 된다. 마부가 사자를 달래, 진심으로 회개하여 깨끗한 마음으로 도를 닦아 훌륭한 중이 되어 부처님의 제자가 될 것을 약속하고 용서를 받는다. 한참 동안 화해의 춤을 함께 춘다.
⑥ 제 6 과장 : 양반춤[兩班舞] (교과서 수록 부분)
주로 말뚝이와 양반 삼형제와의 재담으로 이루어진다. 새처를 정하는 놀이, 시조 짓기와 파자 놀이, 나랏돈 잘라먹은 취발이를 잡아 오는 과정들을 통해 말뚝이는 독설과 풍자로써 양반들을 욕보인다.
⑦ 제 7 과장 : 미얄춤
미얄할멈이 춤을 추며 등장하여 악공 앞에 와서 울고 있다. 악공은 미얄할멈으로부터 난리로 헤어진 영감을 찾는다는 말을 듣는다. 이 때 할멈을 찾아 헤매는 영감이 등장하여 서로 만나 반기게 된다. 두 사람이 지난 일을 이야기하다가 영감이 아들이 죽은 것을 알자 헤어지자고 말하고 미얄에게 첩인 덜머리집을 소개하게 되자 서로 싸우게 된다. 결국 살림을 갈라 헤어지기로 하는데 덜머리집과 미얄의 싸움은 더욱 심해지고 결국 미얄이 쓰러져 죽는다. 남강노인(南江老人)이 등장하여 무당을 불러 미얄의 넋을 위로하는 굿을 하면서 탈춤의 전 과정이 끝난다.
○ 봉산 탈춤의 한국 가면극사적 의의
우리 나라의 가면극 가운데 하회(河回) 별신굿 탈놀이는 연행일과 연행 동기가 제의와 맞물려 있는 농촌 탈춤(혹은 향촌형 탈춤)으로서, 마을의 무사 태평과 풍요다산을 기원하는 계절제(季節祭)인 별신굿이 거행되는 정월 초부터 보름까지 연희되었다. 한편, 수영 야류(또는 야유, 들놀음), 동래 야류 등은 이행기(移行期)적 탈춤으로 농촌 탈춤의 성격과 함께 오락적 연행 목적을 아울러 가지고 있다. 이러한 탈춤의 한계를 뛰어넘는 탈춤 형식이 조선 후기 상업 도시의 발달과 평민 의식의 성장과 더불어 나타났으니 이것이 도시 탈춤이다. 도시 탈춤은 점차 마을굿[部落祭]이나 세시 행사로부터 분리되어 독립된 연극으로 연행되었는데, 농촌 탈춤의 담당층이 농민인데 비하여, 도시 탈춤은 상인과 이속 중심으로 연행되었다. 이러한 도시 탈춤을 대표하는 것이 봉산 탈춤이다. 봉산 탈춤은 주로 단오에 성대히 연희되었고, 관아(官衙)의 경사(慶事)나 중국 사신을 영접하는 놀이로 특별히 연희되었다. 나아가 5일장이 서던 봉산 근방의 모든 시장에서 1년에 한 번씩 연희되었다. 이는 연행일과 연행 동기가 제의와 결별하였음을 의미하고, 탈춤이 경제적인 동기와 긴밀히 연결되어 오락적인 목적에 기여하는 데 접어들었음을 뜻한다. 봉산은 교통의 요지일 뿐만 아니라 상업의 중심지여서 일찍부터 탈춤이 발달할 수 있는 사회?경제적 토대가 닦여져 있었다. 이러한 토대 위에서 농민 문화에 뿌리를 둔 탈춤을 상인과 이속이 키운 결과, 봉산 탈춤은 등장 인물 사이의 갈등을 박진감 있게 구현하고 하층 민중들의 생활 의지와 어긋나는 지배 체제의 허구성과 허위의식을 다각도로 비판할 수 있었다. 봉산 탈춤은 18세기 조선 후기 사회에서 있었던 혁신(革新)에의 움직임을 가장 극명하게 표현한 도시 탈춤의 정수(精髓)라 하겠다.
봉산탈춤을 공부하면서 느낀점
추천자료
한일 양국 축제의 비교 이해와 협력 방안 모색
성공한 지방자치단체
한국 현대축제의 실험과 과제
향토문화의 문화산업적 가치
한국문학의 이해, 전통극과 희곡 연구
원시부터 근대까지의 한국문학사
[영남지역][경상도][경상북도][경상남도][권역화][유교개혁운동][민요][탈놀이]영남지역(경상...
한국 가면극 개관
수준별교육과정(학습, 수준별수업) 배경과 필요성, 수준별교육과정(학습, 수준별수업) 국제 ...
판소리를찾아서
[마당극][마당극 기법][황석영][할미마당][과천한마당축제][공연][문화운동][민중공동체][마...
야류, 오광대- 통영오광대, 가산오광대, 동래야류, 수영야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