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자유주의 교육사상
●실험주의 교육사상
●사회적 교육사상
●인격주의 교육사상
●비판주의 교육사상
●문화주의 교육사상
●현상학적 교육사상
●진보주의 교육사상
●본질주의 교육사상
●실험주의 교육사상
●사회적 교육사상
●인격주의 교육사상
●비판주의 교육사상
●문화주의 교육사상
●현상학적 교육사상
●진보주의 교육사상
●본질주의 교육사상
본문내용
객체라는 면에서, ① 사회가 개인을 교육하고, 사회가 타사회를 교육하며, 사회가 사회 자신을 교육한다. ② 개인이 다른 개인을 교육하고, 개인이 사회를 교육하며, 개인이 자기자신을 교육하는 것 등으로 구분했다. 이와 같이 교육을 사회적 기능으로 본다면 교육학은 목적론·방법론이어서는 안 되며, 있는 그대로의 교육사실에서 교육의 본질·과정·법칙 등을 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진보주의 교육사상
진보주의 교육은 영국의 경험론과 공리주의 및 다윈의 진화론과의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진 실용주의에 기반을 두고, 전인적(全人的) 인간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진보주의 교육사상에 의하면 교육목적은 아동의 개성을 계발하여 사회생활에 유용한 적응을 할 수 있는 완전한 인간으로 성장·발달시키는 데 두고 있고, 교육내용은 아동 자신의 생활경험 중심적인 교육과정을 중시한다.
진보주의 교육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 등을 사용한다.
1. 집단적 활동으로서의 회의·협의·계획·참여 등 사회화의 방법
2. 지적 경험·실제적 경험·사회적 경험·미적 경험·정의적 경험 등 다방면의 경험적 방법
3. 지식·이해·기능·태도·흥미 등의 종합적 학습방법의 중시
4. 자주적·능동적인 학습을 위해 아동 자신이 문제를 선택·계획하고, 실행·평가하는 문제법· 구안법(構案法)
듀이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는 미국의 철학자·심리학자·교육학자이다. 미네소타·미시건 대학 철학교수를 역임하고, 1894년 시카고 대학에서 철학·심리학·교육학을 합친 학부의 장(長)이 되었다. 1905년에는 컬럼비아 대학에서 철학·교육학과의 교수가 되어 <민주주의와 교육>을 비롯한 많은 저서를 내었다. 그에 의하면 교육은 장래 생활을 위한 준비가 아니요, 생활 그 자체로서 생의 시초부터 종말까지 계속되는 생활과정 그 자체이며, ① 아동의 매일매일의 생활을 통한 성장이고, ② 아동의 생활경험이 계속적으로 재구성되는 과정이었다. 교육목적도 교육은 생활의 과정이지 성인생활의 준비가 아니기 때문에 교육과정 그 자체 내에 있다고 보았으며, 교육방법으로는 경험의 재구성을 위해 '논리적 교재의 심리화'를 강조하고 있다. 즉 지식은 원래 그 지식이 형성된 과정으로 되돌려 발전적으로 취급해야 된다고 하면서, 교사의 논리적·체계적 설명보다는 아동 스스로 주체가 되어 자발적 학습으로 지식과 태도를 종합적으로 획득하는 방법을 장려한다.
●본질주의 교육사상
본질주의 교육사상(本質主義敎育思想)은 사회의 전통적 문화내용 가운데 본질적인 지식·법칙·기능을 발견하여 다음 세대에 전달하는 것을 중시하는 교육사상이다.
진보주의가 아동중심 교육으로 치우치는 데 대해 절충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교육내용으로는 개인적 경험보다 민족적 경험이 포함된 전통적 교과과정을 중시한다. 교육방법으로는 진보주의와는 대조적으로 이해보다는 습득을, 학생의 자율적 학습보다는 교사의 지도를, 자유보다는 훈련을, 학생의 일시적 흥미보다는 노력을 강조한다.
대표적 이론가로는 배글리(W. C. Bagley)와 혼(H. H. Horne) 등이 있다
●진보주의 교육사상
진보주의 교육은 영국의 경험론과 공리주의 및 다윈의 진화론과의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진 실용주의에 기반을 두고, 전인적(全人的) 인간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진보주의 교육사상에 의하면 교육목적은 아동의 개성을 계발하여 사회생활에 유용한 적응을 할 수 있는 완전한 인간으로 성장·발달시키는 데 두고 있고, 교육내용은 아동 자신의 생활경험 중심적인 교육과정을 중시한다.
진보주의 교육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 등을 사용한다.
1. 집단적 활동으로서의 회의·협의·계획·참여 등 사회화의 방법
2. 지적 경험·실제적 경험·사회적 경험·미적 경험·정의적 경험 등 다방면의 경험적 방법
3. 지식·이해·기능·태도·흥미 등의 종합적 학습방법의 중시
4. 자주적·능동적인 학습을 위해 아동 자신이 문제를 선택·계획하고, 실행·평가하는 문제법· 구안법(構案法)
듀이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는 미국의 철학자·심리학자·교육학자이다. 미네소타·미시건 대학 철학교수를 역임하고, 1894년 시카고 대학에서 철학·심리학·교육학을 합친 학부의 장(長)이 되었다. 1905년에는 컬럼비아 대학에서 철학·교육학과의 교수가 되어 <민주주의와 교육>을 비롯한 많은 저서를 내었다. 그에 의하면 교육은 장래 생활을 위한 준비가 아니요, 생활 그 자체로서 생의 시초부터 종말까지 계속되는 생활과정 그 자체이며, ① 아동의 매일매일의 생활을 통한 성장이고, ② 아동의 생활경험이 계속적으로 재구성되는 과정이었다. 교육목적도 교육은 생활의 과정이지 성인생활의 준비가 아니기 때문에 교육과정 그 자체 내에 있다고 보았으며, 교육방법으로는 경험의 재구성을 위해 '논리적 교재의 심리화'를 강조하고 있다. 즉 지식은 원래 그 지식이 형성된 과정으로 되돌려 발전적으로 취급해야 된다고 하면서, 교사의 논리적·체계적 설명보다는 아동 스스로 주체가 되어 자발적 학습으로 지식과 태도를 종합적으로 획득하는 방법을 장려한다.
●본질주의 교육사상
본질주의 교육사상(本質主義敎育思想)은 사회의 전통적 문화내용 가운데 본질적인 지식·법칙·기능을 발견하여 다음 세대에 전달하는 것을 중시하는 교육사상이다.
진보주의가 아동중심 교육으로 치우치는 데 대해 절충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교육내용으로는 개인적 경험보다 민족적 경험이 포함된 전통적 교과과정을 중시한다. 교육방법으로는 진보주의와는 대조적으로 이해보다는 습득을, 학생의 자율적 학습보다는 교사의 지도를, 자유보다는 훈련을, 학생의 일시적 흥미보다는 노력을 강조한다.
대표적 이론가로는 배글리(W. C. Bagley)와 혼(H. H. Horne) 등이 있다
추천자료
정도전의 유학사상에 대한 교육론적 고찰 - 정도전 교육사상의 의의와 향후 과제
루소의 교육사상, 교육원리,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유아교육에 끼친 영향 완벽 분...
19세기 서양의 교육사상(교육사조)과 사상가들
[몬테소리교육][몬테소리교육이론][몬테소리교육프로그램][몬테소리교육방법]몬테소리교육이...
안창호의 교육사상과 그 현대적 의의(안창호)(교육사상가 안창호)
루소(Rousseau)의 생애와 사상적 배경, 교육사상의 배경, 교육목적, 특징 및 시사점과 한계점
[연암 박지원 (燕巖 朴趾源)] 연암 박지원의 생애와 교육사상과 특성, 박지원의 교육사상의 ...
[영유아infants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우리나라의 전통아동관과 보육 - 한국전통교육사상(성...
[교육사] 원효 -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 ...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현대교육사상] 현상학적 교육사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