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기구
3. 실험방법
4. 시험결과
5. 고찰 및 결언
6. 참고문헌
2. 실험 기구
3. 실험방법
4. 시험결과
5. 고찰 및 결언
6. 참고문헌
본문내용
피크노미터를 식힘
⑭ <그림.12>와 같이 적정온도로 식었을 때 온도계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였다.
⑮ <그림.13>과 같이 줄어든 만큼의 물을 스포이드로 채워 넣었다.
<그림.12>중탕 후 온도 측정
<그림.13>감소된 만큼 물을 채움
<그림.14>와 같이 채워 넣은 피크노미터를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휴지를 이용하여 피크노미터의 표면에 뭍은 이물질과 물을 닦아 건조한 상태로 만들었다.)
<그림.14>중탕 후 무게 측정
4. 시험결과
① <표.1>을 참고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 표를 작성하였다.
시 료 명
NO. 1
NO. 2
NO. 3
Wf
병 무 게
65.07g
67.28g
66.20g
Wo
병+건조시료 무게
79.94g
79.72g
79.92g
Wb
병+건조시료+물 무게
173.72g
174.24g
173.92g
T
가열 후 온도
15℃
15℃
15℃
Wa'
병+증류수 무게
164.87g
166.78g
165.77g
T'
가열 전 온도
12℃
12℃
12℃
Ws
건조 시료 무게
14.87g
12.44g
13.72g
Wa
(병+증류수)계산 무게
164.87g
166.78g
165.77g
K
(T'℃)에 대한 보정계수
1.004
1.004
1.004
G'
(T'℃)에서의 비중
G
(15℃)에서의 비중
2.47
2.49
2.46
G
평 균 비 중
총 평균 비중
2.473
함수비 계산식 :
여기서 Wo : 건조 시료 무게
Wa : 병과 증류수의 무게
Wb : 병, 건조시료, 물의 총 무게
온도에 따른 보정 :
여기서 K : 온도에 따른 보정계수
5. 고찰 및 결언
이번 실험 결과 각 시료의 비중은 2.46~2.49로 나왔으며 평균으로 계산하였을 때 2.473이 나왔다. 우리조의 비중 값은 지금까지 다른 실험자들의 실험값과 비교해 보면 비슷한 값이 나왔으므로 잘된 시험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번 실험에서는 4가지의 오차요인이 있었다. 첫 번째는 피크노미터의 내부에 물과 시료를 넣을 때 깔데기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흙은 매주 작은 입자와 물방울이 입구 표면에 남음으로써 오차가 발생할 확률이 높았다. 두 번째는 공극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완전히 제거되었다고 보는 기준점이 정확치 않게 때문에 실험시 공극의 기포를 완전히 제거했다고 단정 지을 수 없었다. 세 번째는 캔 및 피크노미터를 반복 사용한 것이었기 때문에 캔과 피크노미터의 주변에 떨어지지 않은 이물질로 인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었다. 네 번째는 온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보정계수를 사용하게 되는데 10단위의 온도계를 사용하다보니 정확성이 떨어졌을 수 있었기 때문에 더욱 신중히 실험에 임했다. 이처럼 많은 오차요인이 있었기 때문에 더욱 주의 깊게 실험을 실시하였고 오차를 줄이기 위해 3번에 걸쳐 반복 실험하였다. 그러나 오차를 더욱 줄이기 위해서는 실험 횟수를 더욱 늘려야 할 것이며 이번 실험의 결과 오차의 범위가 0.03을 넘지 않았기 때문에 잘되었다고 판단된다.
6. 참고문헌
- 박춘수외3, “토질역학,” 형설출판사, 1993, 31-34 - 흙의성질
⑭ <그림.12>와 같이 적정온도로 식었을 때 온도계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였다.
⑮ <그림.13>과 같이 줄어든 만큼의 물을 스포이드로 채워 넣었다.
<그림.12>중탕 후 온도 측정
<그림.13>감소된 만큼 물을 채움
<그림.14>와 같이 채워 넣은 피크노미터를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휴지를 이용하여 피크노미터의 표면에 뭍은 이물질과 물을 닦아 건조한 상태로 만들었다.)
<그림.14>중탕 후 무게 측정
4. 시험결과
① <표.1>을 참고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 표를 작성하였다.
시 료 명
NO. 1
NO. 2
NO. 3
Wf
병 무 게
65.07g
67.28g
66.20g
Wo
병+건조시료 무게
79.94g
79.72g
79.92g
Wb
병+건조시료+물 무게
173.72g
174.24g
173.92g
T
가열 후 온도
15℃
15℃
15℃
Wa'
병+증류수 무게
164.87g
166.78g
165.77g
T'
가열 전 온도
12℃
12℃
12℃
Ws
건조 시료 무게
14.87g
12.44g
13.72g
Wa
(병+증류수)계산 무게
164.87g
166.78g
165.77g
K
(T'℃)에 대한 보정계수
1.004
1.004
1.004
G'
(T'℃)에서의 비중
G
(15℃)에서의 비중
2.47
2.49
2.46
G
평 균 비 중
총 평균 비중
2.473
함수비 계산식 :
여기서 Wo : 건조 시료 무게
Wa : 병과 증류수의 무게
Wb : 병, 건조시료, 물의 총 무게
온도에 따른 보정 :
여기서 K : 온도에 따른 보정계수
5. 고찰 및 결언
이번 실험 결과 각 시료의 비중은 2.46~2.49로 나왔으며 평균으로 계산하였을 때 2.473이 나왔다. 우리조의 비중 값은 지금까지 다른 실험자들의 실험값과 비교해 보면 비슷한 값이 나왔으므로 잘된 시험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번 실험에서는 4가지의 오차요인이 있었다. 첫 번째는 피크노미터의 내부에 물과 시료를 넣을 때 깔데기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흙은 매주 작은 입자와 물방울이 입구 표면에 남음으로써 오차가 발생할 확률이 높았다. 두 번째는 공극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완전히 제거되었다고 보는 기준점이 정확치 않게 때문에 실험시 공극의 기포를 완전히 제거했다고 단정 지을 수 없었다. 세 번째는 캔 및 피크노미터를 반복 사용한 것이었기 때문에 캔과 피크노미터의 주변에 떨어지지 않은 이물질로 인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었다. 네 번째는 온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보정계수를 사용하게 되는데 10단위의 온도계를 사용하다보니 정확성이 떨어졌을 수 있었기 때문에 더욱 신중히 실험에 임했다. 이처럼 많은 오차요인이 있었기 때문에 더욱 주의 깊게 실험을 실시하였고 오차를 줄이기 위해 3번에 걸쳐 반복 실험하였다. 그러나 오차를 더욱 줄이기 위해서는 실험 횟수를 더욱 늘려야 할 것이며 이번 실험의 결과 오차의 범위가 0.03을 넘지 않았기 때문에 잘되었다고 판단된다.
6. 참고문헌
- 박춘수외3, “토질역학,” 형설출판사, 1993, 31-34 - 흙의성질
추천자료
변수위시험(토질시험)
삼축압축실험 (발표자료)
정수위시험-발표자료
체 분석(sieve analysis) 시험 보고서
물질관 변화의 역사
(토질실험) 액성한계 소성한계 실험
토질역학 실험1(함수비)
초등학교 3학년 과학과(과학교육) 실태, 초등학교 3학년 과학과(과학교육) 지도중점과 지도내...
초등학교 3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도덕과(도덕교육), 사회과(사회과교육), 초등학교 3학년 ...
토질역학 및 실험
토질역학실험 입도분포 보고서입니다.
토질역학2 및 실습, 액성소성한계(R-2)(A+자료임.)
일반화학 요약집
6.토양의 입도분포 분석 및 토양 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