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글란딘 생성 감소
- 간부전 때문에 신체에서 내독소 유리
- 혈간수축을 야기하는 교감신경활동 변화
- 간질환에 의한 혈관수축물질 생산
간경화의 예방법
간염에 대한 신속한 의료조치를 받음. 간세포의 기능을 저해하는 알코올이나 유독물질에의 노출을 피하고 규칙적인 생활과 균형잡힌 영양으로 피로와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함.
* 식사원칙
고열량, 고단백질, 고비타민식을 함.
【주의】 비만인 경우에는 저열량식을 함.
동물성 지방은 조심.
소화가 잘 안되므로 동물성 지방인 라드, 고기 비계, 버터 등은 가능한 피하고, 식물성 지방인 참기름, 콩기름, 들기름 등으로 섭취.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 등은 충분히 먹고, 섬유질 식품을 많이 섭취한다. 다만, 식도정맥류가 있을 때는 거친 음식을 피함
알코올은 금하고, 복수와 부종이 있을 때는 소금을 제한.
간경화의 자가관리(퇴원관리)
(1) 일상생활.
① 안정->식후 30분~1시간은 우측좌위로 안정.
② 배설관리
- 배변: 변비시에는 설사약 및 관장을 하도록 사용 방법 지도. 설사일 때는 탈수가 되지
않도록 함. (특히, 설사약 복용시 주의함.)
- 배변상태를 관찰: 혈변, 흑색변일 때, 소변량 변화나 색조에 대해서도 급격한 변화가
있으면 의사에게 연락함.
③ 체중측정.
④ 복용 약제의 관리→특별한 약제에 대해서는 부작용에 대해서 설명해 주고 개인적으로
판단해서 중지 또는 남용하지 않도록 지도한다. 자가 관리가 불가능할때는 가족의 협력을 얻음.
⑤ 운동 및 여행→ 피곤하지 않을 정도로 하고, 수면을 충분히 취함.
⑥ 정기적인 통원과 검사→ 특히 간암의 조기 발견을 위해 최저 6개월에 1회의 초음파 검사
가 필요.
(2 가족의 협력지도.
① 장기요양을 동반하는 질병은 가족의 협력과 도움이 자택요양을 계속하는데 중요.
② 환자의 일상생활 변화에 대응함과 자가 관리가 충분하도록 심리적인 면에서의 도움 등등 가족의 역할 큼
③ 필요에 따라 가족도 포함하여 퇴원지도를 하여 이해와 협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함.
(알콜 의존 환자의 퇴원시 의료진과 환자 가족이 모두 모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
(3) HBs항원, HCV항체 양성환자.
-환자자신의 이해가 중요.
① 칫솔, 면도기, 타월 등은 전용으로 사용.
② 어린 아이들에게는 입으로 먹을 것을 주지 않음.
③ 손을 깨끗이 닦음.
④ 비 출혈이나 외상에 의한 출혈 및 생리 등의 혈액은 확실히 처리하고, 다른 사람과
접촉하지 않게 함.
⑤성생활에 대해서는 배우자가 HB항원 양성일 때는 HB백신을 맞는 것을 권장하고 있음.
간경화의 예후
수년간 진행된 간경화의 예후는 거의 변화지 않음. 심한 간기능 부전이 있을 경우에는 단지 50%에서 2년 생존할 수 있고, 35%가 5년 생존할 수 있다. 토혈, 황달, 복수 등은 불리한 징후
간 이식이 대두되어 적절한 적응이 되는 환자에게 전망을 밝게 하고 있음.
※간경변의 생존률
①복수를 나타내는 대상: 1년 74%, 2년 35%, 3년 21%
②식도 정맥류를 갖는 대상: 1년 83%, 2년 57%, 3년 45%
- 간부전 때문에 신체에서 내독소 유리
- 혈간수축을 야기하는 교감신경활동 변화
- 간질환에 의한 혈관수축물질 생산
간경화의 예방법
간염에 대한 신속한 의료조치를 받음. 간세포의 기능을 저해하는 알코올이나 유독물질에의 노출을 피하고 규칙적인 생활과 균형잡힌 영양으로 피로와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함.
* 식사원칙
고열량, 고단백질, 고비타민식을 함.
【주의】 비만인 경우에는 저열량식을 함.
동물성 지방은 조심.
소화가 잘 안되므로 동물성 지방인 라드, 고기 비계, 버터 등은 가능한 피하고, 식물성 지방인 참기름, 콩기름, 들기름 등으로 섭취.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 등은 충분히 먹고, 섬유질 식품을 많이 섭취한다. 다만, 식도정맥류가 있을 때는 거친 음식을 피함
알코올은 금하고, 복수와 부종이 있을 때는 소금을 제한.
간경화의 자가관리(퇴원관리)
(1) 일상생활.
① 안정->식후 30분~1시간은 우측좌위로 안정.
② 배설관리
- 배변: 변비시에는 설사약 및 관장을 하도록 사용 방법 지도. 설사일 때는 탈수가 되지
않도록 함. (특히, 설사약 복용시 주의함.)
- 배변상태를 관찰: 혈변, 흑색변일 때, 소변량 변화나 색조에 대해서도 급격한 변화가
있으면 의사에게 연락함.
③ 체중측정.
④ 복용 약제의 관리→특별한 약제에 대해서는 부작용에 대해서 설명해 주고 개인적으로
판단해서 중지 또는 남용하지 않도록 지도한다. 자가 관리가 불가능할때는 가족의 협력을 얻음.
⑤ 운동 및 여행→ 피곤하지 않을 정도로 하고, 수면을 충분히 취함.
⑥ 정기적인 통원과 검사→ 특히 간암의 조기 발견을 위해 최저 6개월에 1회의 초음파 검사
가 필요.
(2 가족의 협력지도.
① 장기요양을 동반하는 질병은 가족의 협력과 도움이 자택요양을 계속하는데 중요.
② 환자의 일상생활 변화에 대응함과 자가 관리가 충분하도록 심리적인 면에서의 도움 등등 가족의 역할 큼
③ 필요에 따라 가족도 포함하여 퇴원지도를 하여 이해와 협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함.
(알콜 의존 환자의 퇴원시 의료진과 환자 가족이 모두 모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
(3) HBs항원, HCV항체 양성환자.
-환자자신의 이해가 중요.
① 칫솔, 면도기, 타월 등은 전용으로 사용.
② 어린 아이들에게는 입으로 먹을 것을 주지 않음.
③ 손을 깨끗이 닦음.
④ 비 출혈이나 외상에 의한 출혈 및 생리 등의 혈액은 확실히 처리하고, 다른 사람과
접촉하지 않게 함.
⑤성생활에 대해서는 배우자가 HB항원 양성일 때는 HB백신을 맞는 것을 권장하고 있음.
간경화의 예후
수년간 진행된 간경화의 예후는 거의 변화지 않음. 심한 간기능 부전이 있을 경우에는 단지 50%에서 2년 생존할 수 있고, 35%가 5년 생존할 수 있다. 토혈, 황달, 복수 등은 불리한 징후
간 이식이 대두되어 적절한 적응이 되는 환자에게 전망을 밝게 하고 있음.
※간경변의 생존률
①복수를 나타내는 대상: 1년 74%, 2년 35%, 3년 21%
②식도 정맥류를 갖는 대상: 1년 83%, 2년 57%, 3년 45%
추천자료
간경화, 간암, 복수, 간성혼수 case study
간경변증(간경변, 간경화)의 개념과 원인, 간경변증(간경변, 간경화) 병태생리, 간경변증(간...
간경변(간경변증, 간경화)의 정의와 종류, 간경변(간경변증, 간경화)의 원인과 증상, 간경변(...
간경화 case study
[간질환][간]간경화(간경변증, 간경변)의 의미와 유형, 간경화(간경변증, 간경변)의 병태생리...
[간][간질환][간경변증][간경변][간경화][간암][간종양][간염][B형간염][A형간염]간경변증(간...
간경변증(간경변, 간경화) 의미와 분류, 간경변증(간경변, 간경화) 진단 검사와 합병증, 간경...
간경변(간경변증, 간경화)의 종류, 간경변(간경변증, 간경화)의 임상증상, 병태생리, 변화, ...
간경변증(간경화, 간경변) 정의와 병태생리, 간경변증(간경화, 간경변) 증상과 징후, 간경변...
간경변(간경화, 간경변증)의 의미, 간경변(간경화, 간경변증)의 병태생리, 간경변(간경화, 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