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m의 교육목표 분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인지적 영역(Cognitive Domain):

2. 정의적 영역(Bloom, Krathwohl, Masia)

3.심동적 영역(Psychomoto Domain)

참고 *Simpson의 분류

본문내용

신발, 골프채 등을 준비하는 단계.
3)유도반응(guide response): 복잡한 기능을 배우는 초기단계. 예> 골프공을 치기 위하여 배우는 심동적 교육의 초기 단계
4)기계화(mechanism): 습득된 행동의 습관화로 신뢰성과 효율성이 증진됨. 예> 습득된 행동이 습관적으로 고정되어 안정감을 주며 골프를 잘한다고 평가를 받게 된다.
5)복합외현반응(complex overt response): 최소의 에너지로 신속하고 부드럽게 행동함. 예> 최소의 힘으로 골프를 신속 정확하게 하는 단계
6)적응(adaption): 문제 상황에 적절하게 숙달된 행위를 수정 또는 변화시킴. 예> 특수한 상황에 적절한 행동을 발휘함
7)독창성(origination): 개인의 특이한 행동 개발을 토대로 행위결과를 최대화하는 단계이다.
*희소-쌤. 보충:
심동적 영역(Harrow)
1) 반사동작 운동: 자신의 심리적 의지와는 전혀 무관한 신체적 반응. 예> 신생아들의 특수 반사
2) 초보적 기초동작: 초보적 운동 기능. 예> 능동적으로 일어서고 앉고 하는 등의 동작
3) 운동지각 능력: 신호를 수용하여 행동하는 단계
4) 신체적 능력: 견디기, 저항력, 유동성, 민첩성 등. 예> 30초 이내에 열다섯 개의 팔굽혀 펴기를 할 수 있다.
5) 숙련된 운동 기능: 일정한 규칙에 따라 게임, 스포츠, 춤추기 등을 할 수 있다.
6) 동작적 의사소통 :음악에 맞춰 자신의 운동계열을 만들 수 있는 등 몸동작, 표정, 제스처를 통해서 자신의 의사를 정밀하게 표현 할 수 있다.
[출처] 블룸의 교육목표 분류학|작성자 hjj721
5.Bloom의 교육목표 분류학에서 얻을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
열린교육을 전통교육과 구별짓는 중요한 차이점은 사고수준의 강조에 있다. 전통교육이 단순한 지식의 암기와 수용, 그리고 재인을 강조하였다면(내용의 강조), 열린교육은 지식의 수용 수준을 넘어서 지식을 분석하고 적용하고 나아가 종합할 수 있는 탐구기술(과정과 사고기술)을 강조하는 것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열린수업을 바라보는 경우 그 수업이 얼마나 학생의 고등인지사고를 개발하도록 강조하고 있는지 관찰하는 것이다. 관찰의 한 준거로서 인간의 인지적 사고수준을 분류학적으로 제시한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을 생각해볼 수 있다.
블룸은 교육목표분류학을 통하여 학생의 고등사고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여섯 개 수준의 인지적 복잡성을 규명하였는데 그의 분류학은 학교교육목표 또는 수업의 수준을 평가하는 보편적인 참조체제로 수용되고 있다. 그의 학교교육목표의 분류학은 일상적인 수업에서 학생들이 하게 되는 특정한 활동들이 이 여섯 개의 인지적 목표들의 범주에 속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특정 교실에서의 학생이 하게 되는 특정 활동이 어떠한 수준의 인지적 목표를 달성하고자 의도된 것인지를 분석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점에서 열린 학교의 수업에서 보여지는 특정한 수업의 활동과 과제의 성격이 어떠한 인지적 수준의 사고를 고양시키는 것인지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1.29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91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