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4부제: 두 작품의 비교를 통한 작가의 사회적 인식과 문학작품의 당시 사회상의 반영과 작가들이 우리에게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대한 연구
본문내용
이다. 이런 허점을 중심으로 변질되는 사상은 대부분 사회 혹은 인간들에게 있어서 올바르지 않은 길로 인도하게 된다. 결국 우리가 어떤 사상을 받아들이고 그 사상을 나 자신에게 주입시키는 일은 변별적인 사고와 항상 비평할 수 있고 분별을 통해 이점과 허점을 가려낼 수 있는 사고를 통해 이뤄져야 하는 일이다.
글을 맺으며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은 영국소설 Charles Dickens의 『Hard Times』와 국내 노동 소설 정화진의 『쇳물처럼』을 통한 문학작품과 사회와의 연관성을 밝히고 각각의 작품들의 비교를 통한 각각의 작가의 사회적 인식과 문학작품 속의 그 당시 사회상의 반영과 작가들이 우리에게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디킨스의 어려운 시절에는 산업화라는 역사적인 큰 흐름의 대세 속에서 디킨스라는 작가 개인이 자신이 구현하고자 하는 세계에 대한 대세 속에서의 자유로운 일탈을 한 것으로 볼 수 있었으며 쇳물처럼의 작가 정화진 역시 이와 비슷한 뜻을 가지고 작품을 집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필자는 문학이라는 것은 우리에게 친숙한 것으로써 특히 소설은 독자로 하여금 어떠한 메시지를 전달받고, 작가가 자신의 이상과 현실에 대한 비판 혹은 자신이 독자에게 알려 주고 싶은 이야기를 가장 잘 전달 할 수 있는 매개체라고 생각한다.
본문에서 이미 살펴보았지만 이 두 작품의 작가는 결국 부조리한 현실을 극복하고 자신들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세계를 독자에게 일깨워 주기 위하여 작품을 집필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 이르러 두 작가가 꼬집었던 사회적 모순은 더욱 복잡해지고 다양해지고 있다. 이미 세상은 모순의 세상이 되어버렸고 오히려 모순적이지 않은 것이 더 이상한 취급을 받는 사회가 되어버렸다. 이런 사회 속에서 문학작품을 통해 각 개인이 처해 있는 사회가 어떤 것인지를 깨닫고, 그 사회의 문제점을 찾아 개선해 나아갈 수 있는 힘, 어쩌면 무관심속에 모순을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며 살아가는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있어서 문학작품의 이런 역할은 갈수록 중요해지는 것이 당연하다고 본다.
인문학이 홀대 받는 모순의 시기에 진정한 모순이 무엇인지를 깨닫게 하는 문학작품을 통하여 진정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깨닫는 일이 많아지는 것이 필자가 꿈꾸는 이상향이다.
인용문헌
1. Coles Nicholas, "The politics if Hard Times: Dickens the Novelist versus Dickens the reformer.", Dickens Studies Annual 15, 1986
2. Bodenheimer Rosemarie, The Politics of Story in Victorian Fiction, Ithaca: Cornell , 1988
3.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Abrams M. H. 2005
4. Sparks Notes a Hard Times, Dickens Charles , 2003
5. 상반된 해법: 어려운 시절과 루쓰에 나타난 중산층 위기의 극복 , 문상화, 2001
6. 78월 노동자대투쟁을 다시 생각한다, 박승옥,『창작과 비평』, 1989
7. 민족문학과 노동자계급문학, 정남영 『창작과 비평』, 1989
8. ‘노동’문학과 노동‘문학’, 김병익, 『열림과 일굼』, 문학과 지성사, 1991
9. Hard Times에 나타난 Dickens의 사회 비판, 이영석, 1990
10. 쇳물처럼, 정화진, 북토피아, 2003
11. Charles Dickens의 Hard Times에 나타난 19세기 영국 사회상, 정혜주, 1991
12. 어려운 시절, 장남수, 푸른미디어 1998
글을 맺으며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은 영국소설 Charles Dickens의 『Hard Times』와 국내 노동 소설 정화진의 『쇳물처럼』을 통한 문학작품과 사회와의 연관성을 밝히고 각각의 작품들의 비교를 통한 각각의 작가의 사회적 인식과 문학작품 속의 그 당시 사회상의 반영과 작가들이 우리에게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디킨스의 어려운 시절에는 산업화라는 역사적인 큰 흐름의 대세 속에서 디킨스라는 작가 개인이 자신이 구현하고자 하는 세계에 대한 대세 속에서의 자유로운 일탈을 한 것으로 볼 수 있었으며 쇳물처럼의 작가 정화진 역시 이와 비슷한 뜻을 가지고 작품을 집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필자는 문학이라는 것은 우리에게 친숙한 것으로써 특히 소설은 독자로 하여금 어떠한 메시지를 전달받고, 작가가 자신의 이상과 현실에 대한 비판 혹은 자신이 독자에게 알려 주고 싶은 이야기를 가장 잘 전달 할 수 있는 매개체라고 생각한다.
본문에서 이미 살펴보았지만 이 두 작품의 작가는 결국 부조리한 현실을 극복하고 자신들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세계를 독자에게 일깨워 주기 위하여 작품을 집필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 이르러 두 작가가 꼬집었던 사회적 모순은 더욱 복잡해지고 다양해지고 있다. 이미 세상은 모순의 세상이 되어버렸고 오히려 모순적이지 않은 것이 더 이상한 취급을 받는 사회가 되어버렸다. 이런 사회 속에서 문학작품을 통해 각 개인이 처해 있는 사회가 어떤 것인지를 깨닫고, 그 사회의 문제점을 찾아 개선해 나아갈 수 있는 힘, 어쩌면 무관심속에 모순을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며 살아가는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있어서 문학작품의 이런 역할은 갈수록 중요해지는 것이 당연하다고 본다.
인문학이 홀대 받는 모순의 시기에 진정한 모순이 무엇인지를 깨닫게 하는 문학작품을 통하여 진정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깨닫는 일이 많아지는 것이 필자가 꿈꾸는 이상향이다.
인용문헌
1. Coles Nicholas, "The politics if Hard Times: Dickens the Novelist versus Dickens the reformer.", Dickens Studies Annual 15, 1986
2. Bodenheimer Rosemarie, The Politics of Story in Victorian Fiction, Ithaca: Cornell , 1988
3.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Abrams M. H. 2005
4. Sparks Notes a Hard Times, Dickens Charles , 2003
5. 상반된 해법: 어려운 시절과 루쓰에 나타난 중산층 위기의 극복 , 문상화, 2001
6. 78월 노동자대투쟁을 다시 생각한다, 박승옥,『창작과 비평』, 1989
7. 민족문학과 노동자계급문학, 정남영 『창작과 비평』, 1989
8. ‘노동’문학과 노동‘문학’, 김병익, 『열림과 일굼』, 문학과 지성사, 1991
9. Hard Times에 나타난 Dickens의 사회 비판, 이영석, 1990
10. 쇳물처럼, 정화진, 북토피아, 2003
11. Charles Dickens의 Hard Times에 나타난 19세기 영국 사회상, 정혜주, 1991
12. 어려운 시절, 장남수, 푸른미디어 1998
추천자료
[사회문제론]한국사회 노동문제(장애인 외국인)
노동문제와 사회정책적 관점에서 노동복지의 과제와 대책
[문학][윤리][역사][정보화사회][문학][대중문학][기독교문학][패관문학]문학의 특성, 문학과...
이문구의 소설 『산너머 남촌』, 『우리동네』연구 (유교, 선비 정신, 작가 이문구, 전통사회...
[다문화사회에 대한 이해]한국사회 이주노동자의 삶과 질과 행복
[한국사회문제 E형] 한국사회 노동현실의 문제점을 잘 보여주는 사례를 골라서 이 문제가 왜 ...
[중어중문학과 D형] 현재 한국사회의 노동문제가 한 세대 전의 노동문제와 어떻게 다른지 분...
[한국사회문제 D형] 현재 한국사회의 노동문제가 한 세대 전의 노동문제와 어떻게 다른지 분...
★ 한국사회문제 - 현재 한국사회의 노동문제가 한 세대 전의 노동문제와 어떻게 다른지 분석...
[한국사회문제 E형] 한국사회 노동현실의 문제점을 잘 보여주는 사례를 골라서 이 문제가 왜 ...
한국사회문제4E)한국사회 노동현실의 문제점을 잘 보여주는 사례를 골라서 이 문제가 왜 중요...
한국사회문제 E형 우리사회 노동현실-비정규직문제
한국사회문제E형 : [한국사회문제 E형] 한국사회 노동현실의 문제점을 잘 보여주는 사례를 골...
한국사회문제E=> 한국사회 노동현실의 문제점을 잘 보여주는 사례를 골라서 이 문제가 왜 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