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불국사의 소개
2. 다보탑
3. 삼층석탑
4. 대웅전
5. 결론
2. 다보탑
3. 삼층석탑
4. 대웅전
5. 결론
본문내용
2층 탑신 중앙부 사리공에서 금강사리함(金剛舍利函)과 많은 유물이 발견되었다. 그 가운데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은 8세기 초엽 목판(木板)으로 인쇄된 다라니경문으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인쇄물임이 밝혀졌다.
전체적으로 기단이나 탑신에 아무런 조각이 없어 간결해 보이며 각 부의 비례가 균형이 잡혀 안정되고도 아름다운 느낌을 주는, 신라석탑의 표본이 되는 탑이다. 또한 이 탑을 '무영탑(無影塔)'이라고도 하는데, 이 석탑의 건립에 얽힌 아사녀(阿斯女) 또는 영지(影池)의 전설과 관련된 것이다.
대웅전
법화경에 의하면 세상에는 많은 부처님이 계시지만 , 석가모니 부처님이 가장 근본되시는 부처님이라고 한다.
사찰에서 석가모니 부처님을 모신 곳을 대웅전 이라고 한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왼쪽에는 미륵보살님, 오른쪽에는 제화갈라보살님이 서 있다. 이를 협시보살이라고 한다. 부처님과 양쪽의 협시 보살을 함께 모신 것을 삼존불이라고 한다. 미륵보살 좌측에는 가섭존자(선을 제수 받은 제자)를 모셨고, 갈라보살 우측에는 아난존자를 모셨다.
석가모니부처님의 모습은 왼손을 무릎 위에 놓고 오른 손을 내려서 땅을 가리키는 '항마촉지인'을 취하고 계시다.
전체적으로 기단이나 탑신에 아무런 조각이 없어 간결해 보이며 각 부의 비례가 균형이 잡혀 안정되고도 아름다운 느낌을 주는, 신라석탑의 표본이 되는 탑이다. 또한 이 탑을 '무영탑(無影塔)'이라고도 하는데, 이 석탑의 건립에 얽힌 아사녀(阿斯女) 또는 영지(影池)의 전설과 관련된 것이다.
대웅전
법화경에 의하면 세상에는 많은 부처님이 계시지만 , 석가모니 부처님이 가장 근본되시는 부처님이라고 한다.
사찰에서 석가모니 부처님을 모신 곳을 대웅전 이라고 한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왼쪽에는 미륵보살님, 오른쪽에는 제화갈라보살님이 서 있다. 이를 협시보살이라고 한다. 부처님과 양쪽의 협시 보살을 함께 모신 것을 삼존불이라고 한다. 미륵보살 좌측에는 가섭존자(선을 제수 받은 제자)를 모셨고, 갈라보살 우측에는 아난존자를 모셨다.
석가모니부처님의 모습은 왼손을 무릎 위에 놓고 오른 손을 내려서 땅을 가리키는 '항마촉지인'을 취하고 계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