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보고의 리더십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보고의 리더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장보고
2. 장보고의 생애
2. 장보고의 리더십
4. 장보고를 재평가한
5. 글로벌 CEO 장보고의 부활을 보며
6. 21세기 장보고 정신과 리더십

본문내용

건설하여 페르시아 등과의 동서양 국제 중계무역과 한중일 삼각무역을 경영한 탁월한 정치, 외교, 경제, 정보수집능력을 갖춘 동양에 전무후무한 국제인이었다. 원양선을 건조하고 황해, 중국해, 남해안을 안마당처럼 주름잡았는가하면 실크로드에 버금가는 세라믹로드(Ceramic Road, 도자기무역 항로)를 개척하고 완도-제주-영파(절강성 명주) 등을 연결하는 남중국 항로를 열었다. 말하자면 조선업과 해운업의 시조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장보고 대사는 오늘날 크게 강조되고 있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을 가장 확실히 실천한 공인(公人)이었다. 머문 곳마다 절(法華院 또는 寺)을 짓고 신라와 일본의 불교를 발흥케 했고 학술, 문화진흥을 위해 당나라 유학의 기회를 제공했으며 청자와 녹차 재배기술울 국내에 도입 남해안의 민생경제를 번창하게 만들었다. 특히 청해진을 롯 중국 각 곳의 신라방 또는 신라촌의 자치행정권을 부여받아 민생들의 안정적인 삶과 자부심을 심어 주었다. 스스로 무소유(無所有) 원칙을 지키며 윤리경영과 사회공헌을 실천하였다. 본격적으로 그의 위대한 족적이 세상에 빛을 보게된 것은 극히 최근의 일이다. 1989년 故 이맹기(李孟基) 제독 등 선주협회의 후원으로 손보기, 김문경(金文經) 교수들과 필자 등이 “장보고 해양경영사 연구회”를 창립하여 십수차례의 중국 현지답사와 일본 현지조사, 그리고 문화재청의 완도일대 발굴조사 끝에 그 실체가 알려졌고 세차례의 장보고연구 국제회의를 통해 공인되어 마침내 대한민국 정부(문화관광부)로 하여금 1993년 3월 “장보고의 달”을 지정케 함에 따라 장보고 대사는 사후 1152년만에 비로소 복권하게 된 것이다. 하마터면 역사의 뒤안길에 묻힐 뻔 했던 장보고 대사의 위대한 업적이 허구(fiction)를 곁들인 드라마로 인해 다시 세인의 관심을 크게 불러일으킨 것은 오로지 작가(최인호)와 드라마 연출자들의 수월성 덕분이다. 그러나 장보고는 우리에게 과거(過去)를 묻는 것이 아니라 미래(未來)를 가르치고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동북아경제중심론이 정부차원에서만 국정지표로 논의되고 있는 시점에서 장보고는 우리에게 정경분리, 민간주도, 산업과 무역의 국제화, 학술 종교 문화 창달, 기업의 사회적 책임, 저항적 에네르기를 창조적 에네르기로 전환시킨 지도력, 그리고 따뜻한 인간애와, 민족애, 박애주의 정신을 가르치고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2.11
  • 저작시기20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24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