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뼈(골격)의 형태
Ⅱ. 뼈(골격)의 분류
1. 부위에 따른 분류
2. 모양에 따른 분류
Ⅲ. 뼈(골격)와 뼈대근(골격근)
1. 뼈대근의 구성
2. 뼈대근의 모양
3. 뼈대근의 이름
1) 모양에 따라
2) 위치에 따라
3) 이는 곳, 닿는 곳에 따라
4) 방향에 따라
5) 작용에 따라
Ⅳ. 뼈(골격)와 연골의 종류
1. 유리연골(hyaline cartilage)
2. 섬유연골(fibrocartilage)
3. 탄력연골(elastic cartilage)
Ⅴ. 뼈(골격)와 연골의 관계
Ⅵ. 뼈(골격)와 관절
1. 섬유성 관절
1) 봉합 관절(suture joints)
2) 인대결합 관절(syndesmosis or ligamentous)
2. 연골성 관절
1) 연골결합(synchondroses)
2) 섬유결합(symphyses)
3. 활막 관절(synovial joints): 인체에 있는 대부분의 관절
1) 특징
2) 관절판(articular discs)
3) 활막관절의 가동성
4. 점액낭(bursae)과 건초(tendon sheath)
1) 점액낭
2) 건초
5. 인대(ligaments)
1) 어깨 관절 & 인대
2) 무릎 관절 & 인대
참고문헌
Ⅱ. 뼈(골격)의 분류
1. 부위에 따른 분류
2. 모양에 따른 분류
Ⅲ. 뼈(골격)와 뼈대근(골격근)
1. 뼈대근의 구성
2. 뼈대근의 모양
3. 뼈대근의 이름
1) 모양에 따라
2) 위치에 따라
3) 이는 곳, 닿는 곳에 따라
4) 방향에 따라
5) 작용에 따라
Ⅳ. 뼈(골격)와 연골의 종류
1. 유리연골(hyaline cartilage)
2. 섬유연골(fibrocartilage)
3. 탄력연골(elastic cartilage)
Ⅴ. 뼈(골격)와 연골의 관계
Ⅵ. 뼈(골격)와 관절
1. 섬유성 관절
1) 봉합 관절(suture joints)
2) 인대결합 관절(syndesmosis or ligamentous)
2. 연골성 관절
1) 연골결합(synchondroses)
2) 섬유결합(symphyses)
3. 활막 관절(synovial joints): 인체에 있는 대부분의 관절
1) 특징
2) 관절판(articular discs)
3) 활막관절의 가동성
4. 점액낭(bursae)과 건초(tendon sheath)
1) 점액낭
2) 건초
5. 인대(ligaments)
1) 어깨 관절 & 인대
2) 무릎 관절 & 인대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성되어 있지만 자라면서 이 중의 대부분은 뼈로 바뀌게 되고 어른이 되면서 연골은 윤활관절의 관절면, 가슴우리의 앞쪽 일부, 후두, 기관, 기관지, 코 및 귀, 그리고 일부 머리뼈 바닥에 약간의 작은 덩어리로 남아있을 뿐이다. 연골 역시 뼈의 경우처럼 표면은 섬유성 막인 연골막(perichondrium)으로 덮여 있어 연골의 재생은 이 막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뼈와는 달리 연골 속에는 혈관이나 신경이 분포되어 있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연골은 신진대사의 대사율이 낮고 재생도 느리며 조직이 한번 생기게 되면 수명이 오래 가고 한편 물리적 특성은 매끄러우면서도 질기고 때로는 탄력성이 있기 때문에 몸에서는 힘을 많이 받는 곳, 저항력과 탄력성이 필요한 곳, 바깥의 힘을 흩어지게 할 수 있는 곳에 연골이 놓여 있다.
Ⅵ. 뼈(골격)와 관절
각 뼈들은 관절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관절은 뼈가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결정한다.
1. 섬유성 관절
섬유성 결합조직에 의해 뼈가 연결된 관절이다. 뼈의 끝에는 어떠한 물질도 없고 움직임도 전혀 가능하지 않는다. 봉합된 형태로 뼈의 끝이 단단하게 붙어 있어 구(grove)를 이룬다.
1) 봉합 관절(suture joints)
유일하게 두개골에서만 발견된다. 출생 시 두개골은 분만을 쉽게 하기 위해 분리한다. 출생 후 2년에 융합된다.
2) 인대결합 관절(syndesmosis or ligamentous)
봉합만큼 강하지는 않지만 인대에 의해 연결된다. 좌우로 약간의 운동성이 있다. 원위부의 경골과 비골의 관절의 좋은 예이다.
2. 연골성 관절
뼈와 뼈 사이가 연골로 연결된 관절(cartilaginous joints)을 말하며 약간의 움직임이 가능하다.
1) 연골결합(synchondroses)
초자연골(hyaline cartilage)에 의해 연결된다. 연골의 형태는 일시적이며 결국에는 뼈로 대치한다. 골단과 골간 사이나 늑골에 있는 관절을 말한다.
2) 섬유결합(symphyses)
관절면이 초자연골의 얇은 층으로 덮여 있다. 약간의 움직임이 가능하며 관절내에 충격을 흡수하는 표면으로 작용한다. 추골판이 대표적인 예이다.
3. 활막 관절(synovial joints): 인체에 있는 대부분의 관절
1) 특징
표면은 관절연골(articular carilage)이라고 하는 초자연골로 덮여져 있다. 활막은 관절의 윤활과 연골의 영양공급을 위한 목적으로 활액을 생산한다. 인대는 관절낭을 강화시켜 주고 움직임을 제한한다. 관절은 관절낭으로 덮여 있다.
2) 관절판(articular discs)
강력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활막관절의 연골관절 사이에 있다. 근육은 관절을 안정시켜 주고 관절표면 사이를 고정되게 유지시켜 준다.
3) 활막관절의 가동성
굴곡(flexion): 구부리는것(신전과 반대)
신전(extension): 곧게 펴는것(굴곡 반대)
외반(eversion): 바깥쪽으로 도는 것(내반과 반대)
내반(inversion): 안쪽으로 도는 것(외반과 반대)
원회전(circumduction): 원형으로 움직이는 것
외전(abduction): 정중면에서 멀어져 가는 운동(내전의 반대어)
내전(adduction): 정중면으로 가까워지는 운동(외반과 반대어)
내측회전(intermal rotation): 축에서 안쪽으로 회전하는 운동
외측회전(external rotation): 축에서 바깥으로 회전하는 운동
회외(supination): 손바닥이 전방을 향하게 하는 운동(회내의 반대어)
회내(Pronation): 손등이 전방으로 향하게 하는 운동(회내의 반대어)
신장 또는 견인(prottaction): 수평면 선상에 전방으로 움직이는 운동(경축과 반대어)
신축 또는 후인(retraction): 수평면 선상에 후방으로 움직이는 운동(신장과 반대어)
4. 점액낭(bursae)과 건초(tendon sheath)
1) 점액낭
서로 반대로 움직이는 동작을 용이하게 해주기 위한 것이다. 점액으로 채워져 있는 작은 주머니이다. 골격계 사이의 완충제이다. 인체에 100개 정도 존재한다. 주로 피하조직에 있으며 뼈와 피부사이에 놓인다. 예로는 팔꿈치의 주두돌기와 피부사이에 있는 점액낭이다. 대부분은 건과 뼈사이에 있다.
2) 건초
점액낭과 유사한 원통형 활막판이다. 일정한 마찰을 일으키는 관절을 가로지르는 건에 있다. 건을 둘러싸고 있고, 건이 미끄러질 정도로 액체가 채워져 있으며 쿠션과 같은 기능을 한다.
5. 인대(ligaments)
섬유성 결합조직이다. 관절과 뼈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움직이는 동안 안정감 있게 해준다.
1) 어깨 관절 & 인대
어깨 관절에서 상완골두(humerus head)는 견갑골의 얕은 관절와에 들어가 있다. 어깨관절은 느슨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자유스럽게 움직일 수 있으나 전위되기 쉽다. 오훼상완인대(coracohumeral ligament)와 관절상완인대(glenohumeral ligament)가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한다.
2) 무릎 관절 & 인대
무릎은 복잡한 관절이다. 경첩관절(hinge joint)이며 다른 움직임을 제한하는 인대를 가지고 있다. 무릎은 내, 외측의 측부인대(medial and lateral collateral ligaments)가 대퇴과로부터 결골로 신장할 때 안전성을 제공해 준다. 슬개골인대(patellar ligament)는 전방의 힘을 유지해주고 십자인대는 무릎의 전후에서 안전성을 유지해 준다. 무릎이 신전할 때, 전십자인대(anterior cruciateligament)는 과도신전을 못하도록 팽팽해지고, 굴곡할 때는 후십자인대(posterior cruciate ligament)가 뒤쪽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팽팽해진다.
참고문헌
김경용 외(1995), 사람 해부학, 정문각
인체의 구조와 기능 출판사, 대한임상의학연구소 편
인체의 구조와 기능 재단법인 대한 임상의학
백남섭, 근골격계 아틀라스, 정담출판사
최명애 외, 생리학, 현문사, 2004
한국생체재료학회 학회지 간행물
http://chemistry.sogang.ac.kr http://seoul2.seoul-gchs.seoul.kr
Ⅵ. 뼈(골격)와 관절
각 뼈들은 관절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관절은 뼈가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결정한다.
1. 섬유성 관절
섬유성 결합조직에 의해 뼈가 연결된 관절이다. 뼈의 끝에는 어떠한 물질도 없고 움직임도 전혀 가능하지 않는다. 봉합된 형태로 뼈의 끝이 단단하게 붙어 있어 구(grove)를 이룬다.
1) 봉합 관절(suture joints)
유일하게 두개골에서만 발견된다. 출생 시 두개골은 분만을 쉽게 하기 위해 분리한다. 출생 후 2년에 융합된다.
2) 인대결합 관절(syndesmosis or ligamentous)
봉합만큼 강하지는 않지만 인대에 의해 연결된다. 좌우로 약간의 운동성이 있다. 원위부의 경골과 비골의 관절의 좋은 예이다.
2. 연골성 관절
뼈와 뼈 사이가 연골로 연결된 관절(cartilaginous joints)을 말하며 약간의 움직임이 가능하다.
1) 연골결합(synchondroses)
초자연골(hyaline cartilage)에 의해 연결된다. 연골의 형태는 일시적이며 결국에는 뼈로 대치한다. 골단과 골간 사이나 늑골에 있는 관절을 말한다.
2) 섬유결합(symphyses)
관절면이 초자연골의 얇은 층으로 덮여 있다. 약간의 움직임이 가능하며 관절내에 충격을 흡수하는 표면으로 작용한다. 추골판이 대표적인 예이다.
3. 활막 관절(synovial joints): 인체에 있는 대부분의 관절
1) 특징
표면은 관절연골(articular carilage)이라고 하는 초자연골로 덮여져 있다. 활막은 관절의 윤활과 연골의 영양공급을 위한 목적으로 활액을 생산한다. 인대는 관절낭을 강화시켜 주고 움직임을 제한한다. 관절은 관절낭으로 덮여 있다.
2) 관절판(articular discs)
강력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활막관절의 연골관절 사이에 있다. 근육은 관절을 안정시켜 주고 관절표면 사이를 고정되게 유지시켜 준다.
3) 활막관절의 가동성
굴곡(flexion): 구부리는것(신전과 반대)
신전(extension): 곧게 펴는것(굴곡 반대)
외반(eversion): 바깥쪽으로 도는 것(내반과 반대)
내반(inversion): 안쪽으로 도는 것(외반과 반대)
원회전(circumduction): 원형으로 움직이는 것
외전(abduction): 정중면에서 멀어져 가는 운동(내전의 반대어)
내전(adduction): 정중면으로 가까워지는 운동(외반과 반대어)
내측회전(intermal rotation): 축에서 안쪽으로 회전하는 운동
외측회전(external rotation): 축에서 바깥으로 회전하는 운동
회외(supination): 손바닥이 전방을 향하게 하는 운동(회내의 반대어)
회내(Pronation): 손등이 전방으로 향하게 하는 운동(회내의 반대어)
신장 또는 견인(prottaction): 수평면 선상에 전방으로 움직이는 운동(경축과 반대어)
신축 또는 후인(retraction): 수평면 선상에 후방으로 움직이는 운동(신장과 반대어)
4. 점액낭(bursae)과 건초(tendon sheath)
1) 점액낭
서로 반대로 움직이는 동작을 용이하게 해주기 위한 것이다. 점액으로 채워져 있는 작은 주머니이다. 골격계 사이의 완충제이다. 인체에 100개 정도 존재한다. 주로 피하조직에 있으며 뼈와 피부사이에 놓인다. 예로는 팔꿈치의 주두돌기와 피부사이에 있는 점액낭이다. 대부분은 건과 뼈사이에 있다.
2) 건초
점액낭과 유사한 원통형 활막판이다. 일정한 마찰을 일으키는 관절을 가로지르는 건에 있다. 건을 둘러싸고 있고, 건이 미끄러질 정도로 액체가 채워져 있으며 쿠션과 같은 기능을 한다.
5. 인대(ligaments)
섬유성 결합조직이다. 관절과 뼈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움직이는 동안 안정감 있게 해준다.
1) 어깨 관절 & 인대
어깨 관절에서 상완골두(humerus head)는 견갑골의 얕은 관절와에 들어가 있다. 어깨관절은 느슨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자유스럽게 움직일 수 있으나 전위되기 쉽다. 오훼상완인대(coracohumeral ligament)와 관절상완인대(glenohumeral ligament)가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한다.
2) 무릎 관절 & 인대
무릎은 복잡한 관절이다. 경첩관절(hinge joint)이며 다른 움직임을 제한하는 인대를 가지고 있다. 무릎은 내, 외측의 측부인대(medial and lateral collateral ligaments)가 대퇴과로부터 결골로 신장할 때 안전성을 제공해 준다. 슬개골인대(patellar ligament)는 전방의 힘을 유지해주고 십자인대는 무릎의 전후에서 안전성을 유지해 준다. 무릎이 신전할 때, 전십자인대(anterior cruciateligament)는 과도신전을 못하도록 팽팽해지고, 굴곡할 때는 후십자인대(posterior cruciate ligament)가 뒤쪽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팽팽해진다.
참고문헌
김경용 외(1995), 사람 해부학, 정문각
인체의 구조와 기능 출판사, 대한임상의학연구소 편
인체의 구조와 기능 재단법인 대한 임상의학
백남섭, 근골격계 아틀라스, 정담출판사
최명애 외, 생리학, 현문사, 2004
한국생체재료학회 학회지 간행물
http://chemistry.sogang.ac.kr http://seoul2.seoul-gchs.seoul.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