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차이즈에 대한 이해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프랜차이즈의 개념

2 프랜차이즈의 역사

3.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특성

4.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역할

5.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유형

본문내용

준수해야 한다 William P., Hall, Franchising: New Scope For an Old Technique, Harvard Business Review Vol42, 1964, p60∼72.
.
이는 미국의 자동차산업의 경우에 흔히 볼 수 있는 방식인데 자동차 제조회사가 취급 점에게 판매권을 주고 그 취급 점은 여러 가지 판매 및 서비스의 조건을 따르기로 동의를 한 독립적인 사업자이다.
이 시스템은 프랜차이즈 분야에서 오랫동안 지배되어 왔던 형태로서 자동차 생산자와 취급자, 석유 판매업자와 취급자 그리고 매우 작은 회사들을 포함하고 있는데 미국에서는 General Motors, Ford, Chrysler, Volkswagen과 같은 자동차산업과 Exxon, Texaco, Mobil Oil, Citgo와 같은 석유산업에 서의 제조업자-판매업자 체인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2) 제조업자 -도매업자 시스템 (the manufacturer-wholesaler-system)
이 시스템은 미국의 경우 청량음료(sort drink)업계 즉, Coca-Co1a, Pepsi-Co1a, Seven-Up 등 기타의 Bottler-syrup 공급자 체인에서 볼 수 있는 형태로서 제조업자가 프랜차이즈를 개발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소매상의 수가 지역적으로 너무 분산되거나 소량을 취급할 때는 도매상을 가맹점으로 체계화하는 방법으로서 이용된다. 예컨대 Coca-Co1a사는 여러 시장이 있는 병입 업자(bott1erss)로 불리는 도매상으로 하여금 원액(syrup concentrate)을 산 다음 탄산가스 주입처리를 하여 병에 넣어 지방시장의 소매상에게 판매하도록 그 권리를 인정하고 있다.
(3) 도매업자 -소매업자 시스템 (wholesaler-retailer-system)
이 시스템은 hardware chain, drug store chain, 자동차 A/S 시장 등에서 볼 수 있는 형태로서 도매업자나 다수의 제조업자로부터 다양한 품목을 공급받아서 프랜차이즈를 개발하고 소매상을 계열화하는 방법을 활용하는 프랜차이즈 시스템이다. 이 형태의 성장은 특히 1930년대에 주목을 끌어왔다.
(4) 상표/상호 허가자 - 소매업자 시스템 (the trademark/trade name 1icensor-retai1er)
이 시스템은 지난 20년간 미국에서 크게 성장을 해왔고 유럽과 아시아시장을 침투해왔던 형태로서 제조업자나 도매상이 아닌 본부가 소매단위의 성공적인 영업을 위하여 공통적인 상호와 표준화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소매단위는 공통의 상호 아래서 제품의 서비스를 가지고 영업을 할 수 있게 되고 건축의 구성도 보통 표준화되고 주의를 끌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지게 되었다.
재래형 또는 구형 프랜차이즈(conventional franchise)는 소위 판매대리점제도 내지 특약판매점 제도로서 이 방식은 제조업자에 의한 제조업자를 위한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 다루어지는 것이며 따라서 인적물적인 경제력은 본부인 제조업자에게 일방적으로 집중하게 되어 있다 안광호 외 2인, 「마케팅원론」, 학현사, 1998, p444.
. 이에 대하여 신형 프랜차이즈는 반드시 가맹점이 제조업자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거기에 인적물적인 경제력이 집중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이는 본부가 가지는 사업상의 노하우와 가맹점이 가지는 자본력과 사업 의욕의 결합으로서 이러한 의미에서 양자의 관계는 지배 종속이 아닌 상호보완적인 것이다.
이것은 생산마케팅상의 혁신적 노하우나 아이디어는 가졌으나 자력으로 시장을 개발하는데 소요되는 자금이나 인력을 충분히 갖지 못한 기업에 발전의 기회를 줌과 아울러 사업 의욕과 약간의 자본은 가졌으나 사업기회를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운 사람이나, 기업에 시장차입을 가능하게 하여 주는 조직화의 한 형태인 것이다. 따라서 그것은 소위 대기업 중심 체제하에서 자아실현의 길을 모색하는 소수파 사업자집단(minority group)을 자극하여 경제사회의 보다 동태적인 혁신을 이끄는 모체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잘 알려진 모델의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 Motel chains: Holiday Inn, Sheraton Inn, Quality Courts
* Restaurant chains: Howard Johnson's, McDonld's, Kentucky Fried
Chicken, Dunkin' Donuts, Mister Donuts, Burger King, Burger Chef,
Wimpy's, Pizza Hut
* Auto and Truck rental firms: Hertz, Avis, Budget Renta-Car, National
이상과 같이 사업체의 성격에 따른 유형들을 살펴보았는데 프랜차이즈 시스템에 관하여 미국 상무성은 “프랜차이징이란 성공한 소매 흑은 서비스를 전개하는 본부가 확립한 운영의 원형에 가맹점이 따른다는 조건으로 사업에 종사할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프랜차이즈에 의한 사업은 소매 혹은 서비스업일 것”을 지적하는 견해를 내포하고 있다.
이것은 도매업자나 본부 또는 가맹점이 되는 경우 그리고 본부가 도매기능을 일부 수행하는 일은 있어도 본부는 소비자에게 직결하여 소매서비스업자의 체질을 갖추고 있는 것이 아니면 안 된다는 것으로 간결하면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하겠다. 또한 우리는 신문지상에서 종종 대리점 사기 사건을 보게 되는데 이것은 불법적인 프랜차이즈 계약 형식으로 피라미드로 불리는 프랜차이즈 유형이 있는데, 다음과 같은 5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물론 다음과 같은 말과 행동을 하는 경우가 전부 사기라는 말은 아니다 경영과 마케팅, 프랜차이즈 시스템화로 기업경영확대, 1988, p92∼93.
.
첫째, 적은 노력만을 가지고도 고수익이 보장된다고 한다.
둘째, 다른 판매업자를 모집할 수 있는 권리를 준다고 한다.
셋째, 제품의 TV에 의한 전국적인 광고를 하겠다고 한다.
넷째, 회사건물이나 사무실에서 모임을 갖지 않고 호텔이나 식당 등에서 모임을 갖는다.
다섯째, 가맹점을 내기 전에는 실제의 영업조건, 재무상황 등을 공개하지 않는다.
  • 가격2,2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0.02.22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44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