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뼈(골격)의 개념
Ⅲ. 뼈(골격)의 구조와 종류
1. 뼈의 분류
1) 장골
2) 단골
3) 편평골
4) 불규칙골
2. 뼈의 구조
1) 육안적 구조
2) 현미경적 구조
3) 뼈의 화학적 구성
Ⅳ. 뼈(골격)의 기능
Ⅴ. 뼈(골격)의 성장
1. 신생아의 손
2. 유아의 손
3. 청소년의 손
4. 성인의 손
Ⅵ. 뼈(골격)의 재생성
1. 뼈의 항상성(bone homeostasis): 재형성과 회복(remodeling and repair)
2. 재형성
3. 이러한 뼈 발육과 뼈세포에서 일어나는 현상과 운동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참고문헌
Ⅱ. 뼈(골격)의 개념
Ⅲ. 뼈(골격)의 구조와 종류
1. 뼈의 분류
1) 장골
2) 단골
3) 편평골
4) 불규칙골
2. 뼈의 구조
1) 육안적 구조
2) 현미경적 구조
3) 뼈의 화학적 구성
Ⅳ. 뼈(골격)의 기능
Ⅴ. 뼈(골격)의 성장
1. 신생아의 손
2. 유아의 손
3. 청소년의 손
4. 성인의 손
Ⅵ. 뼈(골격)의 재생성
1. 뼈의 항상성(bone homeostasis): 재형성과 회복(remodeling and repair)
2. 재형성
3. 이러한 뼈 발육과 뼈세포에서 일어나는 현상과 운동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골외막과 골내막의 표면에서 이루어진다. 재형성은 골모세포와 파골세포에 의해 조정된다. 성인의 경우 뼈의 양은 일정하며 이것은 침전과 재흡수의 비율이 똑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뼈의 침전은 상처를 입은 곳이나 골격의 힘이 증가되어 힘을 요구하는 곳에서 일어나며, 뼈의 침전을 위해서는 단백질, 비타민C,A 및 풍부한 미네랄이 함유된 식이가 필수적이다.
기질에 칼슘이 축적됨으로써, 초기석회화가 일어나고 이 석회화된 연골 사이혈관이 침투하여 석회화된 연골을 흡수하면 미성숙 뼈를 생성한다.
재형성이란 한쪽에서 골모세포가 뼈를 생성하고 반대쪽에서는 파골세포가 뼈를 흡수하는 현상이다. 그 과정 중, 일부 불필요한 하버스계는 소실되거나 일부만이 남고 새로운 하버스계가 형성된다.
3. 이러한 뼈 발육과 뼈세포에서 일어나는 현상과 운동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난소를 적출해 여성호르몬이 나오지 않는 쥐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운동을 거의 하지 않은 쥐는 자유롭게 운동한 쥐에 비해 뼈의 강도가 40~50%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뼈는 운동으로 되살아난다는 점을 시사해 주는 결과이다.
뼈를 만드는 골모세포는 플러스 전류, 뼈를 파괴(흡수)하는 파골세포는 마이너스 전류가 흘러야 기능이 활발해진다.
운동은 뼈에 자극을 주면 여러 각도에서 힘이 가해져 플러스-마이너스 전류가 균형있게 흐르게 되므로 뼈 세포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뼈도 튼튼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병환으로 침상생활을 오래하거나 우주선에서 수개월을 보낸 우주인의 경우를 보면 이를 확연히 알 수 있다. 하지만. 뼈에 자극을 주려면 성인을 대상으로 수영이나 고정식 자전거타기처럼 부하가 걸리지 않는 운동은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 최근에는 웨이트 트레이닝처럼 근육도 강화하고 체중부하도 받는 운동이 권장되고 있다. 이는 3년 이상 경력의 여자보디빌더의 경우 골밀도가 4년 이상 경력의 육상선수나 10년이 넘은 수영선수보다 12~23%정도 높다는 조사로부터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고일선 외(2003), 최신 임상간호 메뉴얼, 현문사
▷ 송미순 외(2001),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 이석인(2001), 근육운동가이드, 삼호미디어
▷ 이인모(2001), 인체 생리학, 형설출판사
▷ 최월봉 외(2002), 조직학 제4판, 고문사
▷ 최명애 외(2004), 생리학, 현문사
▷ 한국과학기술원 관련자료 및 보도자료 http://www.kist.re.kr/cy/kn.jsp
기질에 칼슘이 축적됨으로써, 초기석회화가 일어나고 이 석회화된 연골 사이혈관이 침투하여 석회화된 연골을 흡수하면 미성숙 뼈를 생성한다.
재형성이란 한쪽에서 골모세포가 뼈를 생성하고 반대쪽에서는 파골세포가 뼈를 흡수하는 현상이다. 그 과정 중, 일부 불필요한 하버스계는 소실되거나 일부만이 남고 새로운 하버스계가 형성된다.
3. 이러한 뼈 발육과 뼈세포에서 일어나는 현상과 운동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난소를 적출해 여성호르몬이 나오지 않는 쥐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운동을 거의 하지 않은 쥐는 자유롭게 운동한 쥐에 비해 뼈의 강도가 40~50%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뼈는 운동으로 되살아난다는 점을 시사해 주는 결과이다.
뼈를 만드는 골모세포는 플러스 전류, 뼈를 파괴(흡수)하는 파골세포는 마이너스 전류가 흘러야 기능이 활발해진다.
운동은 뼈에 자극을 주면 여러 각도에서 힘이 가해져 플러스-마이너스 전류가 균형있게 흐르게 되므로 뼈 세포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뼈도 튼튼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병환으로 침상생활을 오래하거나 우주선에서 수개월을 보낸 우주인의 경우를 보면 이를 확연히 알 수 있다. 하지만. 뼈에 자극을 주려면 성인을 대상으로 수영이나 고정식 자전거타기처럼 부하가 걸리지 않는 운동은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 최근에는 웨이트 트레이닝처럼 근육도 강화하고 체중부하도 받는 운동이 권장되고 있다. 이는 3년 이상 경력의 여자보디빌더의 경우 골밀도가 4년 이상 경력의 육상선수나 10년이 넘은 수영선수보다 12~23%정도 높다는 조사로부터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고일선 외(2003), 최신 임상간호 메뉴얼, 현문사
▷ 송미순 외(2001),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 이석인(2001), 근육운동가이드, 삼호미디어
▷ 이인모(2001), 인체 생리학, 형설출판사
▷ 최월봉 외(2002), 조직학 제4판, 고문사
▷ 최명애 외(2004), 생리학, 현문사
▷ 한국과학기술원 관련자료 및 보도자료 http://www.kist.re.kr/cy/kn.js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