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시적 사회수준에서의 대동자간의 주체성wirh를 배경으로 추체성논의도어진 셈이다. 결국 개인과 주체사회의 중간인 부분사회에 대해서는 비교적 관심이 없었으며 특히 조직체에 대한 인식이 있었다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개인과 사회라를 조직적 틀에서의 주체성론에 머무르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Simmel은 개인과 사회의 관계에 대해, 이른바 conflict model의 입장에 서 있다. 이 입장은 조직체에 대한 관념에 있어서 특히 그러하다. 그는 일체로서의 집단에는 리더leader가 필요하며 다수의 종속자와 극소수의 상급자만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각개인은 구성은으로서 그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기 보다는 보다 고도능력을 가지거나 혹은 보다 높은 직의로 오를수 있는 경우가 많다고 말한다. 다시 말하면 자유와 평등 정의에 입각하여 종합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조직은 사회질서에 의하며 채결될수 없다. 왜냐하면, 그것은 사회 그 자체의 논리적 전지이기 때문이다.
2. 조직인의 동시소속론
Simmel 과는 달리 오늘날은 조직과의 관계를 생각하지 않고는 살아 갈 수 없다. 이리하여 조직속의 인간의 주체성문제를 말하려 한다.
(1) 조직인의 본질
현실적으로 인간은 조직이 그 중에서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 전체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다. 따라서 조직에서의 인간은 부분인이다. 지금까지 조직인이라고 표현하여 온 인가도 그와 같다. 한편 인간 그 자체 혹은 현실의 인간은 천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 물론 이 전인의 내용은 분면하지 않다. 이 개념을 사회과학적으로 명확하게 규정하는 것은 아마도 불가능할 것이다. 조직론의 입장에서는 주로 부분인 쪽을 취급하게 되지만, 양자는 현실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호 보완적인 개념이다. 더욱이 전체 사회적 퍼스펙티브를 그릴려고 하므로 전인 쪽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의 고찰을 부가해둘 필요가 있다. 조직에 있어서의 역할개념을 인간레벨에서 해석한다면 인간이 조직에 기능적으로 관계되는 것은 단지 그 단기적 혹은 부분적베이스에서만 그렇다고 말할 수 있다. 즉 사회적인 조직의 경우는 생물학적 시스템경우의 기관이라는 부분이 전체로서 유기체에 포함되어 버리고 마는 것과는 달리 인간 또는 개인의 전부가 조직의 멤버쉽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 조직 쪽도 전인을 필요로 하는 것도 아니며 또한 탐내는 것도 아니다. 이를테면, 군수조직의 경우와 같이 개인이 어떤 사회시스템에서 육체적으로 이탈할 수없는 때에도, 그의 심리적 생활공간은 조직에서의 역할 즉 군수를 훨씬 초월하여 넓어지고 있다. 더욱이 사람들은 복수조직에 소속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퍼어스낼리티의 전내용을 단일조직 내에서는 파악할 수 없느 ㄴ것이 일반적이다. 또 조조직내에서 이룩하는 경우도 많다. 이와같은 사회집단에 대한 인간의 본질적 단기를 나타내기 위하여 Allport는 부분적 포함이라는 개념을 개발하였다.
이 개념은 사회조직에 관한 여러 문제 중 많은 것을 이해하는데에 유용한 것이다 조직에서의역할 구성원의 행동을 특정하지만, 거기에 관련되는 것으 ㄴ인간의 심리적 일단면에 지나지 않는다. 다만 인간이 조직에 참여할 때에는 이 레벨에서가 인며, 특히 조직 쪽은 싫든 좋든 전인을 조직의 영역내로 끌어들일려고 한다.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인간으로서의 구성원 이외의 어떤 부분을 무시할려고 하는 조직적인 인간에 대한 이러한 요구는, 문장 그대로 비인격화의 요구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조직내에서 비공식 조직을 만들기 위해 목료와 결합하는 인간은 그 인간으로서의 아이텐티티를 추구하기위하여 투쟁하게 된다.
조직과 인간이라는 현대적 과제를 특히 전체사회적 퍼스펙티브에서, 즉 넓은 시야에서 고찰하려고 할
2. 조직인의 동시소속론
Simmel 과는 달리 오늘날은 조직과의 관계를 생각하지 않고는 살아 갈 수 없다. 이리하여 조직속의 인간의 주체성문제를 말하려 한다.
(1) 조직인의 본질
현실적으로 인간은 조직이 그 중에서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 전체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다. 따라서 조직에서의 인간은 부분인이다. 지금까지 조직인이라고 표현하여 온 인가도 그와 같다. 한편 인간 그 자체 혹은 현실의 인간은 천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 물론 이 전인의 내용은 분면하지 않다. 이 개념을 사회과학적으로 명확하게 규정하는 것은 아마도 불가능할 것이다. 조직론의 입장에서는 주로 부분인 쪽을 취급하게 되지만, 양자는 현실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호 보완적인 개념이다. 더욱이 전체 사회적 퍼스펙티브를 그릴려고 하므로 전인 쪽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의 고찰을 부가해둘 필요가 있다. 조직에 있어서의 역할개념을 인간레벨에서 해석한다면 인간이 조직에 기능적으로 관계되는 것은 단지 그 단기적 혹은 부분적베이스에서만 그렇다고 말할 수 있다. 즉 사회적인 조직의 경우는 생물학적 시스템경우의 기관이라는 부분이 전체로서 유기체에 포함되어 버리고 마는 것과는 달리 인간 또는 개인의 전부가 조직의 멤버쉽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 조직 쪽도 전인을 필요로 하는 것도 아니며 또한 탐내는 것도 아니다. 이를테면, 군수조직의 경우와 같이 개인이 어떤 사회시스템에서 육체적으로 이탈할 수없는 때에도, 그의 심리적 생활공간은 조직에서의 역할 즉 군수를 훨씬 초월하여 넓어지고 있다. 더욱이 사람들은 복수조직에 소속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퍼어스낼리티의 전내용을 단일조직 내에서는 파악할 수 없느 ㄴ것이 일반적이다. 또 조조직내에서 이룩하는 경우도 많다. 이와같은 사회집단에 대한 인간의 본질적 단기를 나타내기 위하여 Allport는 부분적 포함이라는 개념을 개발하였다.
이 개념은 사회조직에 관한 여러 문제 중 많은 것을 이해하는데에 유용한 것이다 조직에서의역할 구성원의 행동을 특정하지만, 거기에 관련되는 것으 ㄴ인간의 심리적 일단면에 지나지 않는다. 다만 인간이 조직에 참여할 때에는 이 레벨에서가 인며, 특히 조직 쪽은 싫든 좋든 전인을 조직의 영역내로 끌어들일려고 한다.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인간으로서의 구성원 이외의 어떤 부분을 무시할려고 하는 조직적인 인간에 대한 이러한 요구는, 문장 그대로 비인격화의 요구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조직내에서 비공식 조직을 만들기 위해 목료와 결합하는 인간은 그 인간으로서의 아이텐티티를 추구하기위하여 투쟁하게 된다.
조직과 인간이라는 현대적 과제를 특히 전체사회적 퍼스펙티브에서, 즉 넓은 시야에서 고찰하려고 할
키워드
추천자료
조직관리-인간관계론(행정학)
조직관리-인간관계론(경영학)
조직관리이론-후기인간관계론-X.Y,성숙미성숙,관리체제이론
과학적 관리론, 인간관계론, 상황이론, 시스템이론이 조직행위에 미치는 영향
[베버][메이요][매슬로우][맥그리거]베버의 관료제이론, 메이요, 뢰스리스버거의 인간관계론,...
[경영이론][경영조직이론][고전이론][인간관계론][매슬로우이론][맥그리거이론][현실적용][상...
[경영학원론][조직이론][경영이론][고전이론][인간관계론][매슬로우 욕구이론][맥그리거 XY이...
경영조직론상 폐쇄, 사회적 조직 이론 - 호오손 연구의 인간관계론, McGregor의 X. Y 이론, s...
버나드와 사이몬의 조직이론/인간관계론 [경영학 레포트]
사회복지조직에서 인간관계론이 각광받는 이유와 그 한계를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