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기
Ⅱ. 유의미 언어 학습의 조건
Ⅲ. 명제와 관련정착의미와의 관계유형
Ⅳ. 유의미학습의 유형
Ⅴ. 설명식 수업의 원리
Ⅵ. Ausubel 이론의 시사점
Ⅶ. 참고 문헌
Ⅱ. 유의미 언어 학습의 조건
Ⅲ. 명제와 관련정착의미와의 관계유형
Ⅳ. 유의미학습의 유형
Ⅴ. 설명식 수업의 원리
Ⅵ. Ausubel 이론의 시사점
Ⅶ. 참고 문헌
본문내용
자료이다.
이 자료는 새 학습 과제를 도입하는 때에 제시되며, 높은 수준의 추상성, 일반성, 포괄성을 지니는 자료이다.
이 원리는 학습과제보다 추상적, 일반적, 포괄적 소개 자료로서 학습내용보다 먼저 제시되어야 하고 시각적 자료, 개념도, 체계적 순서에 따라 나열된 질문서 등 다양한 형식으로 제시해야 한다. 또한 학습과제가 논리적 유의미가를 가지고 있으며 학습자가 학습과제와 관련된 인지구조를 파지하고 있을 경우 효과적이다.
선행조직자는 학습과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정착의미를 집합시켜 포섭자를 만들고 이 포섭자는 새 과제의 학습을 위한 개념적 근거지를 제공한다.
가. 설명 선행조직자(expository advanced organizer)
학습자의 인지구조 내에 새로운 과제에 대하여 선행지식이 전혀 없거나 학습과제가 학생들에게 생소한 경우에 사용하는 조직자이다. 학습내용 자체보다 포괄적이고 일반적이며 추상적인 상위개념으로 구성된 것으로 최상위의 위계적 체계를 형성해주어 후속 과제에 유의미한 맥락을 제공해 준다. 인지구조의 포섭자로서 기존 인지구조의 전진적 분화를 촉진하는 기능을 한다.
나. 비유선행조직자(analogy advanced organizer)
학습할 내용을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내용에 비유하는 도입문을 말하며, 구체적인 선행 조직자의 일종이다.
다. 도식선행조직자 (diagrammatic advanced organier)
조직자의 내용을 산문 형태가 아닌 다이아그램으로 나타낸 조직자이다. 이는 글의 주요어나 내용을 선, 화살표, 공간배열, 순서도 등을 사용하여 위계적으로 재현한 것이다.
라. 회화적 조직자 (pictorial organizer)
조직자의 내용을 언어적 형태가 아닌 그림의 형태로 표현하여 제시하는 조직자로서, 특히 그림에 조직자의 내용을 구성하는 중요한 개념 요소들 간의 상호 관계를 제시하는 경우 효과가 있다.
2. 점진적 분화의 원리(progressive dofferntiation)
학습 내용 중 가장 일반적이고 포관적인 의미를 먼저 제시하고 점차 세분화되고 특수한 의미로 분화되도록 한다는 원리이다. 이는 가장 추상적인 의미를 먼저 제시하여 점진적으로 교과의 세부적 내용들을 포섭해 나가도록 할 것을 시시하고 있다.
3. 통합 조정의 원리(integrative reconciliation)
새로운 개념이나 의미는 이미 학습된 내용과 일치되어 통합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육내용의 구성에서 전에 학습한 것에 기초하거나 관계 지워지도록 조직되어야 함을 뜻한다.
4. 선행학습 요약. 정리의 원리(consolidation)
새 과제의 학습에 임할 때 현재까지 학습해 온 내용을 요약정리해 주면 학습은 촉진된다는 원리이다. 촉진되는 이유는 관련정착의미도 분명해지고 새 과제의 변별력에도 공헌 한다.
5. 내용의 체계적 조직 원리(sequential organizer)
학습 내용이 계열적, 체계적으로 조직되어 있으면, 앞 단계의 학습이 후속 단계 학습의 발판이 되어 학습 효과가 극대화 된다는 것이다. 체계적으로 조직되어 있으면 선행과제는 선행조직자의 역할을 한다.
6. 학습 준비도의 원리
학습자의 기존인지 구조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발달 수준도 고려해야 하는 원리이다. 학습 준비도란, 단순한 유전적 영향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모든 선행했던 경험과 모든 선행 학습을 망라해서 개인의 인지 구조와 인지 능력의 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총칭하는 것이다.
Ⅵ. Ausubel 이론의 시사점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적합한 학습 과제를 조직구성하여 제시하는 일은 중요하다. Ausubel은 학습 과제의 제시에 앞서 그 과제 자체보다 포괄적인 수준의 자료, 선행 조직자를 제시하여 학습자의 인지구조 속의 관련정착의미를 자극하고 학습하고자 하는 동기를 불러일으키게 하고, 학습과제는 학습자의 관련정착의미를 고려하여 제시하는 것이 중요함을 역설하였다.
교육적 패러다임이 지식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학습자는 컴퓨터를 통한 정보획득이 용이해지게 되는 반면, 지식과 경험 전달의 주된 역할을 하던 교사와 학습자간의 긴밀도가 이전 보다 약해진 것이 사실이다.
Ausubel의 이론은 이러한 현실 속에서 유의미한 학습이 일어나기 위해서 교사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생각하게 한다.
Ⅶ. 참고 문헌
김호권(1983). 현대교수이론. 교육출판사.
번영계(2001). 교수-학습 이론의 이해. 학지사.
전성연(2001). 교수-학습의 이론적 탐색. 원미사.
이 자료는 새 학습 과제를 도입하는 때에 제시되며, 높은 수준의 추상성, 일반성, 포괄성을 지니는 자료이다.
이 원리는 학습과제보다 추상적, 일반적, 포괄적 소개 자료로서 학습내용보다 먼저 제시되어야 하고 시각적 자료, 개념도, 체계적 순서에 따라 나열된 질문서 등 다양한 형식으로 제시해야 한다. 또한 학습과제가 논리적 유의미가를 가지고 있으며 학습자가 학습과제와 관련된 인지구조를 파지하고 있을 경우 효과적이다.
선행조직자는 학습과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정착의미를 집합시켜 포섭자를 만들고 이 포섭자는 새 과제의 학습을 위한 개념적 근거지를 제공한다.
가. 설명 선행조직자(expository advanced organizer)
학습자의 인지구조 내에 새로운 과제에 대하여 선행지식이 전혀 없거나 학습과제가 학생들에게 생소한 경우에 사용하는 조직자이다. 학습내용 자체보다 포괄적이고 일반적이며 추상적인 상위개념으로 구성된 것으로 최상위의 위계적 체계를 형성해주어 후속 과제에 유의미한 맥락을 제공해 준다. 인지구조의 포섭자로서 기존 인지구조의 전진적 분화를 촉진하는 기능을 한다.
나. 비유선행조직자(analogy advanced organizer)
학습할 내용을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내용에 비유하는 도입문을 말하며, 구체적인 선행 조직자의 일종이다.
다. 도식선행조직자 (diagrammatic advanced organier)
조직자의 내용을 산문 형태가 아닌 다이아그램으로 나타낸 조직자이다. 이는 글의 주요어나 내용을 선, 화살표, 공간배열, 순서도 등을 사용하여 위계적으로 재현한 것이다.
라. 회화적 조직자 (pictorial organizer)
조직자의 내용을 언어적 형태가 아닌 그림의 형태로 표현하여 제시하는 조직자로서, 특히 그림에 조직자의 내용을 구성하는 중요한 개념 요소들 간의 상호 관계를 제시하는 경우 효과가 있다.
2. 점진적 분화의 원리(progressive dofferntiation)
학습 내용 중 가장 일반적이고 포관적인 의미를 먼저 제시하고 점차 세분화되고 특수한 의미로 분화되도록 한다는 원리이다. 이는 가장 추상적인 의미를 먼저 제시하여 점진적으로 교과의 세부적 내용들을 포섭해 나가도록 할 것을 시시하고 있다.
3. 통합 조정의 원리(integrative reconciliation)
새로운 개념이나 의미는 이미 학습된 내용과 일치되어 통합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육내용의 구성에서 전에 학습한 것에 기초하거나 관계 지워지도록 조직되어야 함을 뜻한다.
4. 선행학습 요약. 정리의 원리(consolidation)
새 과제의 학습에 임할 때 현재까지 학습해 온 내용을 요약정리해 주면 학습은 촉진된다는 원리이다. 촉진되는 이유는 관련정착의미도 분명해지고 새 과제의 변별력에도 공헌 한다.
5. 내용의 체계적 조직 원리(sequential organizer)
학습 내용이 계열적, 체계적으로 조직되어 있으면, 앞 단계의 학습이 후속 단계 학습의 발판이 되어 학습 효과가 극대화 된다는 것이다. 체계적으로 조직되어 있으면 선행과제는 선행조직자의 역할을 한다.
6. 학습 준비도의 원리
학습자의 기존인지 구조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발달 수준도 고려해야 하는 원리이다. 학습 준비도란, 단순한 유전적 영향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모든 선행했던 경험과 모든 선행 학습을 망라해서 개인의 인지 구조와 인지 능력의 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총칭하는 것이다.
Ⅵ. Ausubel 이론의 시사점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적합한 학습 과제를 조직구성하여 제시하는 일은 중요하다. Ausubel은 학습 과제의 제시에 앞서 그 과제 자체보다 포괄적인 수준의 자료, 선행 조직자를 제시하여 학습자의 인지구조 속의 관련정착의미를 자극하고 학습하고자 하는 동기를 불러일으키게 하고, 학습과제는 학습자의 관련정착의미를 고려하여 제시하는 것이 중요함을 역설하였다.
교육적 패러다임이 지식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학습자는 컴퓨터를 통한 정보획득이 용이해지게 되는 반면, 지식과 경험 전달의 주된 역할을 하던 교사와 학습자간의 긴밀도가 이전 보다 약해진 것이 사실이다.
Ausubel의 이론은 이러한 현실 속에서 유의미한 학습이 일어나기 위해서 교사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생각하게 한다.
Ⅶ. 참고 문헌
김호권(1983). 현대교수이론. 교육출판사.
번영계(2001). 교수-학습 이론의 이해. 학지사.
전성연(2001). 교수-학습의 이론적 탐색. 원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