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탈피 측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Principle & Theory

2. Result

3. Discussion

4. 내가한 일

본문내용

93.56444 kJ/mol 의 값이 나온다.
실험 B에서 용액에 의해 흡수된 열량(Q1)을 구하기 위해서 필요한 무게는 157.82g - 57.68g = 100.14g 이고, 온도변화는 21°C - 19°C = 2°C 이다. 이를 대입하여 계산하자.
Q1 = 4.18 × 100.14g × 2°C = 837.1704 J
다음으로 플라스크에 의해 흡수된 열량(Q2)는
Q2 = 0.85 × 57.68g × 2°C = 98.056 J
이므로 실험 B에서 방출된 열량(Q1 +Q2) 은 935.2264 J 이다. 이를 이용하여 NaOH 1몰당 반응열을 구하면 37.409056 kJ/mol 의 값이 나온다.
실험 C에서 용액에 의해 흡수된 열량(Q1)을 구하기 위해서 필요한 무게는 157.63g - 57.68g = 99.95g 이고, 온도변화는 24°C - 20.5°C = 3.5°C 이다. 이를 대입하여 계산하자. 이 때 염산용액과 수산화나트륨용액의 온도가 달라(20°C, 21°C) 두 값의 평균을 이용하였다.
Q1 = 4.18 × 99.95g × 3.5°C = 1462.2685 J
다음으로 플라스크에 의해 흡수된 열량(Q2)는
Q2 = 0.85 × 57.68g × 3.5°C = 171.598 J
이므로 실험 C에서 방출된 열량(Q1 +Q2) 은 1633.8665 J 이다. 이를 이용하여 NaOH 1몰당 반응열을 구하면 65.35466 kJ/mol 의 값이 나온다.
이론적으로는
실험 A의 NaOH 1몰당 반응열
= 실험 B의 NaOH 1몰당 반응열 + 실험 C의 NaOH 1몰당 반응열
이다. 하지만 구한 수치를 대입하면 (실험 A의 NaOH 1몰당 반응열) = 93.56 kJ/mol 이고, (실험 B의 NaOH 1몰당 반응열) + (실험 C의 NaOH 1몰당 반응열) = 102.76 kJ/mol 의 값이 나와 오차를 보인다. 이런 오차의 가장 큰 이유로는 플라스크의 단열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꼽을 수 있다.
많은 화합물들은 원소로부터 직접 합성될 수 없다. 어떤 경우에는 반응이 너무 느리거나 부반응이 일어나 원하지 않는 다른 물질들이 만들어진다. 이런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헤스의 법칙을 확인한 매우 유익한 실험이었다.
5. 내가 한 일
- 0.25M HCl, 0.5M HCl을 100mL, 50mL 측정하여 들고왔다.
- 중화된 용액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 사용한 플라스크 외의 실험기구들을 씻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2.24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52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