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학이란 무엇인가
2. 문학의 기원
2. 문학의 기원
본문내용
람과 듣는 사람, 읊고 기록하는 사람과, 그것을 읽고 소리 맞추어 노래하는 사람과의 사이에 감동의 교감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어야 한다. 즉, 문학의 발생은 와카에 한정해보더라도, 창조자와 수용자 양자의 문학생활 내지는 문학 활동이 일어나는 곳에서 성립되었다고 말해도 좋을 것이다. 수용자 속에서도 가인이 태어나고, 그 노래한 작품이 전송되어가면서 다음 가인을 낳는다고 하는 전통이 보호되어, 그것이 우리나라의 와카의 역사를 성립했다 라고 하는 고찰은 용이할 것이다. 요컨대, 우리나라의 노래의 전통은 이런 식으로 해서 이어져 왔지만, 이 와카의 특질이라고 하는것은 그 영력을 확실히 드러내는 것으로서, 키노쓰라유키(紀貫之)의 『고킨와카슈』(956)의 서문은 유명하다. 「やまと歌は、人の心を種として、よろづの言の葉とぞなれりける。世の中にある人、ことわざしげきものなれば、心に思ふことを、見るもの、聞くものにつけて、言ひいだせるなり。花に鳴くうぐひす、水に住むかはづのを聞けば、生きとし生けるもの、いづれか歌をよまざりける。力をも入れずして、天地を動かし、目に見えぬ鬼神をも、あはれと思はせ、男女のなかをもやはらげ、猛き武士の心をも慰むるは、歌なり。」(대충내용은, 야마토 노래는 마음을 근본으로서 여러 가지 말이 된 것이고, 모든 생물은 노래를 읊어야한다. 천지 요괴(귀신, 도깨비 등)를 감동시켜, 남녀의 사이, 용맹한 무사의 마음을 부드럽게 하는 것은, 이 노래의 힘이다. 라고 하는 내용)
오른쪽(위)은, 언령신앙에도 관련 있지만 한 노래의 효과를 나타낸 것에 그치지 않고, 문학전체의 의미를 증명한 것으로, 일본문학론역사상에도 주목 될 만한 것이다.
오른쪽(위)은, 언령신앙에도 관련 있지만 한 노래의 효과를 나타낸 것에 그치지 않고, 문학전체의 의미를 증명한 것으로, 일본문학론역사상에도 주목 될 만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