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본문내용
수교대에 대해 주심과 감독에게 알려준다.
24.2.8 선수가 부상을 당한 경우, 부심은 예외적인 선수 교대를 허용하거나 3분간의 회복시간을 부여한다.
24.2.9 부심은 경기장 바닥상태(주로 프론트 존)를 점검하며, 경기 동안 볼 상태를 점검한다.
24.2.10 부심은 벌칙에어리어에 있는 팀원을 감독하고 그들의 불법행위에 대해 주심에게 보고한다.
24.3 의 무
24.3.1 매 세트 시작, 최종 세트에서의 코트 교대, 그리고 필요할 때마다 부심은 코트에 있는 선수와 라인-업 용지에 있는 선수의 위치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24.3.2 경기 동안 부심은 다음의 것에 대해 휘슬을 불고 시그널한다:
24.3.2.1 상대편 코트 침범 및 네트 아래 공간 침범
24.3.2.2 리시브 팀의 포지션 반칙
24.3.2.3 코트의 부심쪽 안테나와 네트 아래쪽에서 일어나는 선수의 접촉
24.3.2.4 후위 선수에 의한 블로킹 완료나 리베로에 의한 블로킹 시도
24.3.2.5 볼과 외부물체 접촉
24.3.2.6 주심이 볼 수 없는 바닥에의 볼 접촉
24.3.2.7 상대 코트로 허용 공간 바깥으로 볼이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통과하거나 코트의 부심쪽 안테나로 볼 접촉
24.3.3 경기 종료 후 부심은 기록지에 서명한다.
25. 기 록 원
25.1 위 치
기록원은 주심과 마주하여 코트의 반대쪽에 마련된 기록석에 앉아 역할을 수행한다.
25.2 의 무
기록원은 규칙에 따라 부심과 상호협조하면서 기록지에 기재한다. 기록원은 부저나 다른 소리 장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임무를 기초로 심판에게 시그널한다.
25.2.1 경기 및 세트 전 기록원은:
25.2.1.1 리베로의 이름과 번호를 포함하여 절차에 따라 경기 및 팀의 정보를 기입하고 주장과 감독의 서명을 받는다.
25.2.1.2 각 팀이 제출한 라인-업 용지에 적혀진 각 팀의 스타팅 라인-업을 기록한다. 만약 제시간에 라인-업 용지를 받지 못하면 기록원은 즉시 이 사실을 부심에게 알린다.
25.2.2 경기 동안, 기록원은:
25.2.2.1 획득한 점수를 기록한다.
25.2.2.2 각 팀의 서비스 순서를 관리하고 틀렸을 때에는 서비스를 한 직후 알린다.
25.2.2.3 타임-아웃과 선수교대를 기록하고 그 횟수를 통제하며 그 사실을 부심에게 알려준다.
25.2.2.4 규칙에서 벗어난 경기중단의 요구에 대해 심판에게 알린다.
25.2.2.5 세트의 종료와 최종 세트에서 8점에 이르렀을 때 심판에게 알려준다.
25.2.2.6 모든 제재를 기록한다.
25.2.2.7 부심에 의해 지시되는 모든 사항을 기록한다. 그 예로 예외적인 선수 교대, 회복 시간, 연장된 경기 중단, 외부 방해 등.
25.2.3 경기 종료 후 기록원은:
25.2.3.1 최종 결과를 기록한다.
25.2.3.2 항의가 있을 경우 항의 사항에 대한 진술을 팀/경기 주장이 기록지에 적는 것을 주심이 사전에 허가하거나 직접 적는다.
25.2.3.3 기록원이 서명을 한 후 팀 주장이 서명하고 나서 심판이 서명한다.
26. 보조 기록원
26.1 위 치
보조 기록원은 기록석의 기록원 옆에 앉아 역할을 수행한다.
26.2 의 무
보조기록원은 리베로를 포함하여 그 교대를 기록하고 기록원의 행정적 작업을 도와준다. 기록원이 자신의 역할을 계속할 수 없다면 보조 기록원이 기록원의 업무를 대신한다.
26.2.1 경기 및 세트에 앞서 보조 기록원은:
26.2.1.1 리베로 기록지를 준비한다.
26.2.1.2 여분의 경기 기록지를 준비한다.
26.2.2 경기 중 보조 기록원은:
26.2.2.1 리베로 교대의 사항을 기록한다.
26.2.2.2 심판에게 리베로 교대에게 일어나는 모든 반칙을 알려준다.
26.2.2.3 테크니컬 타임-아웃의 시작 및 종료를 관장한다.
26.2.2.4 기록석에 있는 수동식 스코어보드를 관리한다.
26.2.2.5 스코어보드가 맞는지 확인한다.
26.2.2.6 필요하다면 예비 경기 기록지를 다시 작성해 기록원에게 준다.
26.2.3 경기 종료 후 보조 기록원은:
26.2.3.1 리베로 기록지에 서명을 하고 그것을 확인하기 위해 제출한다.
26.2.3.2 경기 기록지에 서명한다.
27. 선 심
27.1 위 치
선심이 2명이라면 각 심판의 오른쪽으로 가깝게 코트 코너에 서며, 코너에서 대각선으로 1~2m 거리에 선다. 각 선심은 자신의 코트 쪽 엔드 라인과 사이드 라인을 관리한다.
FIVB 세계대회 및 공식 경기에서는 4명 선심이 필수적이다. 선심은 코트의 각 코너 1~3m 거리의 프리존에 서며 자신이 관리하는 선의 임의의 연장선상에 선다.
27.2 의 무
27.2.1 선심은 도해 12에서 나타난 것처럼 깃발(40×40cm)을 이용하여 자신의 역할을 수행한다.
27.2.1.1 볼이 자신의 관리선 근처에 떨어질 때마다 “볼 인”과 “볼 아웃”을 시그널한다.
27.2.1.2 볼을 리시브하는 팀에 의한 “터치 아웃 볼”을 시그널한다.
27.2.1.3 볼이 안테나를 건드리거나 서브된 볼이 허용 공간 바깥으로 네트를 통과하는 것 등을 시그널한다.
27.2.1.4 서비스를 치는 순간 어떤 경기자라도(서버는 제외) 코트 밖에 있을 때 시그널한다.
27.2.1.5 서버의 ‘풋 폴트’를 시그널한다.
27.2.1.6 선수가 볼을 플레이하는 동안 자기 팀 코트 안테나에 접촉하는 것이거나 플레이를 방해하는 것에 대해 시그널한다.
27.2.1.7 볼이 상대 코트로 허용 공간 외측으로 네트를 넘어가거나 자기 팀 코트에 있는 안테나를 접촉한 경우
27.2.2 주심의 요청이 있을 때 선심은 시그널을 반복할 수 있다.
28. 공식 시그널
28.1 심판의 핸드 시그널
심판은 핸드시그널로 휘슬을 분 이유를 표시해야 한다(반칙의 종류 또는 허가한 경기 중단의 목적). 시그널은 잠시 동안 유지하여 한 손으로 표시할 경우에는 반칙이나 요구가 있었던 팀측의 손을 사용해야 한다.
28.2 선심의 깃발 시그널
선심은 지적당한 반칙의 종류를 공식적인 깃발 시그널을 사용하여 나타내고 잠시 동안 시그널을 유지한다.
24.2.8 선수가 부상을 당한 경우, 부심은 예외적인 선수 교대를 허용하거나 3분간의 회복시간을 부여한다.
24.2.9 부심은 경기장 바닥상태(주로 프론트 존)를 점검하며, 경기 동안 볼 상태를 점검한다.
24.2.10 부심은 벌칙에어리어에 있는 팀원을 감독하고 그들의 불법행위에 대해 주심에게 보고한다.
24.3 의 무
24.3.1 매 세트 시작, 최종 세트에서의 코트 교대, 그리고 필요할 때마다 부심은 코트에 있는 선수와 라인-업 용지에 있는 선수의 위치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24.3.2 경기 동안 부심은 다음의 것에 대해 휘슬을 불고 시그널한다:
24.3.2.1 상대편 코트 침범 및 네트 아래 공간 침범
24.3.2.2 리시브 팀의 포지션 반칙
24.3.2.3 코트의 부심쪽 안테나와 네트 아래쪽에서 일어나는 선수의 접촉
24.3.2.4 후위 선수에 의한 블로킹 완료나 리베로에 의한 블로킹 시도
24.3.2.5 볼과 외부물체 접촉
24.3.2.6 주심이 볼 수 없는 바닥에의 볼 접촉
24.3.2.7 상대 코트로 허용 공간 바깥으로 볼이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통과하거나 코트의 부심쪽 안테나로 볼 접촉
24.3.3 경기 종료 후 부심은 기록지에 서명한다.
25. 기 록 원
25.1 위 치
기록원은 주심과 마주하여 코트의 반대쪽에 마련된 기록석에 앉아 역할을 수행한다.
25.2 의 무
기록원은 규칙에 따라 부심과 상호협조하면서 기록지에 기재한다. 기록원은 부저나 다른 소리 장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임무를 기초로 심판에게 시그널한다.
25.2.1 경기 및 세트 전 기록원은:
25.2.1.1 리베로의 이름과 번호를 포함하여 절차에 따라 경기 및 팀의 정보를 기입하고 주장과 감독의 서명을 받는다.
25.2.1.2 각 팀이 제출한 라인-업 용지에 적혀진 각 팀의 스타팅 라인-업을 기록한다. 만약 제시간에 라인-업 용지를 받지 못하면 기록원은 즉시 이 사실을 부심에게 알린다.
25.2.2 경기 동안, 기록원은:
25.2.2.1 획득한 점수를 기록한다.
25.2.2.2 각 팀의 서비스 순서를 관리하고 틀렸을 때에는 서비스를 한 직후 알린다.
25.2.2.3 타임-아웃과 선수교대를 기록하고 그 횟수를 통제하며 그 사실을 부심에게 알려준다.
25.2.2.4 규칙에서 벗어난 경기중단의 요구에 대해 심판에게 알린다.
25.2.2.5 세트의 종료와 최종 세트에서 8점에 이르렀을 때 심판에게 알려준다.
25.2.2.6 모든 제재를 기록한다.
25.2.2.7 부심에 의해 지시되는 모든 사항을 기록한다. 그 예로 예외적인 선수 교대, 회복 시간, 연장된 경기 중단, 외부 방해 등.
25.2.3 경기 종료 후 기록원은:
25.2.3.1 최종 결과를 기록한다.
25.2.3.2 항의가 있을 경우 항의 사항에 대한 진술을 팀/경기 주장이 기록지에 적는 것을 주심이 사전에 허가하거나 직접 적는다.
25.2.3.3 기록원이 서명을 한 후 팀 주장이 서명하고 나서 심판이 서명한다.
26. 보조 기록원
26.1 위 치
보조 기록원은 기록석의 기록원 옆에 앉아 역할을 수행한다.
26.2 의 무
보조기록원은 리베로를 포함하여 그 교대를 기록하고 기록원의 행정적 작업을 도와준다. 기록원이 자신의 역할을 계속할 수 없다면 보조 기록원이 기록원의 업무를 대신한다.
26.2.1 경기 및 세트에 앞서 보조 기록원은:
26.2.1.1 리베로 기록지를 준비한다.
26.2.1.2 여분의 경기 기록지를 준비한다.
26.2.2 경기 중 보조 기록원은:
26.2.2.1 리베로 교대의 사항을 기록한다.
26.2.2.2 심판에게 리베로 교대에게 일어나는 모든 반칙을 알려준다.
26.2.2.3 테크니컬 타임-아웃의 시작 및 종료를 관장한다.
26.2.2.4 기록석에 있는 수동식 스코어보드를 관리한다.
26.2.2.5 스코어보드가 맞는지 확인한다.
26.2.2.6 필요하다면 예비 경기 기록지를 다시 작성해 기록원에게 준다.
26.2.3 경기 종료 후 보조 기록원은:
26.2.3.1 리베로 기록지에 서명을 하고 그것을 확인하기 위해 제출한다.
26.2.3.2 경기 기록지에 서명한다.
27. 선 심
27.1 위 치
선심이 2명이라면 각 심판의 오른쪽으로 가깝게 코트 코너에 서며, 코너에서 대각선으로 1~2m 거리에 선다. 각 선심은 자신의 코트 쪽 엔드 라인과 사이드 라인을 관리한다.
FIVB 세계대회 및 공식 경기에서는 4명 선심이 필수적이다. 선심은 코트의 각 코너 1~3m 거리의 프리존에 서며 자신이 관리하는 선의 임의의 연장선상에 선다.
27.2 의 무
27.2.1 선심은 도해 12에서 나타난 것처럼 깃발(40×40cm)을 이용하여 자신의 역할을 수행한다.
27.2.1.1 볼이 자신의 관리선 근처에 떨어질 때마다 “볼 인”과 “볼 아웃”을 시그널한다.
27.2.1.2 볼을 리시브하는 팀에 의한 “터치 아웃 볼”을 시그널한다.
27.2.1.3 볼이 안테나를 건드리거나 서브된 볼이 허용 공간 바깥으로 네트를 통과하는 것 등을 시그널한다.
27.2.1.4 서비스를 치는 순간 어떤 경기자라도(서버는 제외) 코트 밖에 있을 때 시그널한다.
27.2.1.5 서버의 ‘풋 폴트’를 시그널한다.
27.2.1.6 선수가 볼을 플레이하는 동안 자기 팀 코트 안테나에 접촉하는 것이거나 플레이를 방해하는 것에 대해 시그널한다.
27.2.1.7 볼이 상대 코트로 허용 공간 외측으로 네트를 넘어가거나 자기 팀 코트에 있는 안테나를 접촉한 경우
27.2.2 주심의 요청이 있을 때 선심은 시그널을 반복할 수 있다.
28. 공식 시그널
28.1 심판의 핸드 시그널
심판은 핸드시그널로 휘슬을 분 이유를 표시해야 한다(반칙의 종류 또는 허가한 경기 중단의 목적). 시그널은 잠시 동안 유지하여 한 손으로 표시할 경우에는 반칙이나 요구가 있었던 팀측의 손을 사용해야 한다.
28.2 선심의 깃발 시그널
선심은 지적당한 반칙의 종류를 공식적인 깃발 시그널을 사용하여 나타내고 잠시 동안 시그널을 유지한다.
추천자료
[과외]중학 국어 2-1학기 중간 2단원 어떻게 읽을까 예상문제
[과외]중학 수학 2-1학기 중간 05 최종 모의고사 2회
[과외]중학 국어 1-2학기 중간 1단원-족보 핵심정리
[과외]중학 국어 1-2학기 중간 2단원-족보 유형 기출문제
[과외]중학 국어 1-2학기 중간 2단원-족보 핵심정리
[과외]중학 국어 1-2학기 중간 2단원-바다가, 소나기
[과외]중학 국어 1-2학기 중간 2단원-섬진강 기행
[과외]중학 국어 1-2학기 중간 3단원-최종 모의고사 2회
[과외]중학 수학 2-1학기 기말 06 최종 모의고사 2회(교사용)
[과외]중학 도덕 1-2학기 중간2 친족간의 예절 01
[과외]중학 도덕 1-2학기 중간2 친족간의 예절 02
[과외]중학 사회 1-2학기 중간2 유럽의 생활
[과외]중학 과학 2-1학기 중간 04 최종 모의고사 2회(교사용)
[과외]중학 국어 2-1학기 중간 1-3단원 생활국어 기출문제(교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