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감염예방관리
1)복장
2)환경위생
3)손씻기
4)면회
5)젖병소독
6)기저귀처리
7)세탁물관리
2.물품관리
1)물주전자
2)젖병 소독기
3)Bassinet &Car
4)각종 Can-소독 물품 내기
3.환경관리
4.신생아 관리
1)신분 확인
2)목욕
3)제대간호
4)피부 손상 예방
1)복장
2)환경위생
3)손씻기
4)면회
5)젖병소독
6)기저귀처리
7)세탁물관리
2.물품관리
1)물주전자
2)젖병 소독기
3)Bassinet &Car
4)각종 Can-소독 물품 내기
3.환경관리
4.신생아 관리
1)신분 확인
2)목욕
3)제대간호
4)피부 손상 예방
본문내용
목욕을 한 후에 옷 입히는 것을 직접 했는데 처음에는 아기라는 생각에 너무 조심스럽게 하려 하니 떨리고 어설프게 했는데 하루 이틀이 지나고 조금씩 손에 익으면서 자연스럽게 할 수 있게 되어서 뿌듯한 느낌도 들었습니다. 그리고 둘째 주에는 한 달에 한번 씩 있는 간호학생 교육을 들었는데 ‘신생아 황달’이라는 주제로 한 시간가량 선생님께 교육을 받았습니다. 아동 시간에 배웠던 부분이라 더 쉽게 이해 할 수 있었고 중요한 점들만 쏙쏙 설명해 주셔서 기억에 많이 남았고 아주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모든 선생님들께서 세심하게 가르쳐 주시고 말씀해 주셔서 편안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실습을 마칠 수 있었습니다. 2주간의 짧은 실습 기간이어서 아쉬웠지만 여러 가지를 보고 배우고 갈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추천자료
방화 및 식음료위생관리
★☆현행 AIDS/HIV 관리제도의 문제점☆★
[성인간호학]통증관리에 대한 최신지견
집단발병 유행병의 관리대책의 수립
(단체급식관리)지난 5년간 발생한 단체급식소의 식중독 사고에 대한 주요 일간지 신문 기사 ...
수술실에서의 간호관리 및 개념
모발 및 두피 상태관리와 탈모 개선방법
스트레스 관리
병원에서 발생하는 안전관리소홀로 인한 사고와 각종 의료사고 요약보고서
[전염병 관리방법] 소화기계 전염병(장티푸스,콜레라,세균성 식중독), 호흡기계 전염병(감기...
[화상환자 영양관리] 화상환자의 영양공급, 화상 환자의 단계별 식이요법 치료방법
배액관 관리(하이드로겔, 드레싱, T-tube, Jackson-Pratt, Hemovac,상처 배액)
의료법, 혈액 관리법을 적용한 사례에 대한 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