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디오 진행자들의 담화표지 사용에 대한 조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라디오 진행자들의 담화표지 사용에 대한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어휘적 담화표지
(1) 접속어 담화표지
(2) 부사어 담화표지
(3) 지시어 담화표지
(4) 감탄사 담화표지
(5) 첨사 담화표지

2. 비어휘적 담화표지

본문내용

구생활 성우계의 이영애 서혜정씨 였습니다. 와아 너무 감사합니다. 아 정말 어 저는 자취는 하지 않지만 왜 공감이 되져? 어흐흐 어 비슷한 이미지가 조금 있었다고 하면 소녀시대 이미지에 조금 손상이 될까요?
(ㄴ) 음... 없다고 하고 싶져. 어 근데 없진 않져. 음 가장 공감이 많이 되는 부분이 머리카락. 아무래도 여자들이다 보니까. 아이 저희는 하구수가 아니고 머리카락, 이렇게 왜 일케 머리 말리고 나면은 머리카락이 바닥에 떨어져 있잖아요.
비어휘적 담화표지에는 ‘어’, ‘음’ 등이 있다. 담화에서 습관적으로 나타나는 것들 가운데 음성으로 이루어지지만 특정 어휘 의미를 가지는 낱말이 아닌 것들과 음성이 아닌 초분절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있다. 그 밖에 대학생들의 발표에서는 이들 이외에 ‘으’, ‘응’, ‘에’등이 더 발견된다. 또 비어휘적 담화표지에는 초분절 담화표지가 있는데 이것은 보통 습관에 의한 것으로 ‘쩝’등이 있다. 초분절 담화표지는 음성 담화표지만큼 광범하고 다양하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참고 방송>
MBC 박경림의 별이 빛나는 밤에
MBC 신동, 김신영의 심심타파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0.03.02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61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