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 교육과정의 유형별 특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교과중심 교육과정
① 개념 ② 장점 ③ 단점 ④ 특징
2) 경험중심 교육과정
① 개념 ② 장점 ③ 단점 ④ 특징
3) 학문중심 교육과정
① 개념 ② 장점 ③ 단점 ④ 특징
4) 인간중심 교육과정
① 개념 ② 장점 ③ 단점 ④ 특징
5) 통합형 교육과정
① 개념 ② 장점 ③ 단점 ④ 특징

3.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념이나 원칙에 따라 큰 덩어리로 조직된다. 예컨대 역사, 지리, 정치, 경제가 사회생활로 통합되고 통합된 사회생활 내에서의 역사, 지리 등의 구분은 없거나 약화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 5차 교육과정부터 제 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통합형 교육과정이 사용되고 있다.
3. 결론
우리나라의 경우 통합형 교육과정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것은 전인교육, 학습자의 부담경감 등의 장점이 있지만, 체계적인 학문연구에 문제가 있으며, 교원양성 및 수급과 관련하여 급격한 통합은 어렵다는 교과전문가들의 비판을 받고 있다.
현재의 교육과정 동향은 교육과정을 사회적 역학관계의 반영이라는 관점 하에 교육과정에 대한 재개념주의를 강조하면서 잠재적 교육과정, 구성주의 교육과정들이 거론되고 있다. 이들을 간단히 설명하면, 재개념주의는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지식은 특수사회계층의 영향력을 받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교육현상을 현상 자체에 충실하여 상황적, 다차원적으로 분석한다. 기존의 객관을 비판하면서 집단의 주관을 추구하고 가치 지향적, 윤리적, 역사성을 인정하는 관점의 교육과정이다. 잠재적 교육과정은 학교의 물리적 조건, 제도 및 행정조직, 수업과정, 사회적심리적 상황을 통하여 학생이 갖는 경험 중에서 교과에서 의도한 바와 관련되지 않는 경험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구성주의 교육과정은 지식의 습득과 형성은 개인의 인지적 작용과 개인이 속한 사회에의 참여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지속적으로 변화, 수정, 보완을 통해 구성되는 것으로 보고 집단적, 상황적 의미형성을 중요시한다. 학생들의 주체적 지식구성과 학습참여를 강조하면서 교사는 학습의 도우미, 공동학습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한다.
이상에서 제 1차 교육과정부터 제7차 교육과정까지 적용된 교과, 경험, 학문, 인간, 통합 교육과정과 최근의 교육과정 연구인 재개념주의 잠재적, 구성주의 교육과정까지 살펴보았다.
현재 새로운 교육과정이 만들어 지고 있는 가운데 많은 교육과정의 유형들 중에서 현재의 사회가 요구하고 있는 인간형을 양성하기 위한, 그리고 학습자의 요구와 흥미를 반영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단점을 수정 보완하여 교육의 목표를 보다 잘 실현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만들어나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 문헌
1. 교육학 개론 - p79~p90 교육과정의 유형 ,권기욱
2. 우박사가 들려주는 교육학 이야기,2007, 우성수, 열린교육
3.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동문사. 김진규,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3.02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63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