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함평나비축제”를 다녀와서... -
Ⅰ. 서론
1. 축제의 개요...................................1P
2. 축제의 개최목적...............................2P
3. 축제의 특성과 기본 방침.......................2P
Ⅱ. 본론
1. 6일차 프로그램(2007. 5. 6) : "외국인의 날"....4P
2. 참여프로그램..................................4P
3. 관련 기사 모음................................5P
4. 함평 나비축제의 SWOT 분석.....................7P
5. 향후과제......................................9P
Ⅲ. 결론..........................................10P
Ⅳ. 에필로그(느낀점)..............................14P
Ⅴ.참고문헌 및 출처...............................17P
Ⅰ. 서론
1. 축제의 개요...................................1P
2. 축제의 개최목적...............................2P
3. 축제의 특성과 기본 방침.......................2P
Ⅱ. 본론
1. 6일차 프로그램(2007. 5. 6) : "외국인의 날"....4P
2. 참여프로그램..................................4P
3. 관련 기사 모음................................5P
4. 함평 나비축제의 SWOT 분석.....................7P
5. 향후과제......................................9P
Ⅲ. 결론..........................................10P
Ⅳ. 에필로그(느낀점)..............................14P
Ⅴ.참고문헌 및 출처...............................17P
본문내용
성공으로 이끈 가장 큰 요인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관광 상품은 다른 기존의 상품들을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상품을 대상으로 해야 성공할 수 있다는 점을 그대로 보여주는 사례가 아닌가 싶다.
축제 장소를 방문한날 비가 와서 불편한 점도 더러 있었고, 몇 가지 문제점들도 눈에 띄었지만 적지 않은 규모에 놀랐고, 독특한 아이디어로 축제를 구상했다는 점에서 또 한 번 놀라게 되었다. 지금도 성공적인 축제 중에 하나로 손꼽히는 만큼 몇 가지 문제점들을 보완한다면 더욱더 성공적인 축제로 사람들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함평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지금의 나비축제를 잘 활용하여, 질로써 승부하는 농업관광과 농업 소득 보다는 농외소득의 비중을 높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세계적으로도 대외적인 홍보를 하여 내년 10회 때 곤충엑스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평소 축제들을 많이 다니지 않던 나로서는 축제를 가기 전 기대 반 궁금증반이였다. 사실가기전에는 군축제가 얼마나 잘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었었다. 하지만 막상가보니 군축제 치고는 규모도 컸고 많은 사람들과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마련되어 있어서 놀랐었다. 사실 나도 군에 살고 있지만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축제들은 아직 많은 점들이 부족한데 함평은 사람들이 기대 하는 것 이상의 무언가를 보여줌으로써 축제를 온 사람들에게 만족감과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축제 같았다. 함평나비축제를 다녀와서 우리 지역축제들이 나아가야할 방향이나 보완점들을 다시한번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좋았다.
그리 멀지 않는 곳에 살면서도 한 번도 구경한 적이 없었던 함평 나비축제!
축제기획론 수업을 들으면서 이번기회에 나비축제 구경도 하겠거니 은근한 기대를 갖고 조원들과 함평 나비축제를 방문했다. 새벽부터 찔끔찔끔 내리는 비 덕분에 그리 상쾌한 기분으로 축제를 구경하지는 못하였다. 하지만 주말이라서 그런지 방문객들이 생각보다 많았다. 꽤 넓은 규모의 토지 면적 때문인지 생각 외로 \'참 큰 축제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 그다지 볼만한 것은 없었다. 조형물들이 너무나 많이 차지하고 있어 친환경적인 입장에서 볼 때 \'청정이미지제고\' 라는 목적과는 거리가 멀다는 생각이 들었다.
결론적으로, 다시 축제를 방문할 기회가 생긴다면 재방문하고 싶은 생각은 별로 들지 않았다는 것!! 하지만 2008년 곤충 EXPO를 개최한다고 하니, 그때는 실사위주의 볼거리들이 많기를 기대해본다.
일전에 함평 군수의 초청강연 중 파산기업을 인수했다는 표현을 했다. 사실 함평군은 관광자원이 거의 없는 열악한 지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태관광 함평 나비축제를 창안하여 지금의 위기를 돌파하고 있다. 함평 나비축제에 관련된 보도 자료를 매스컴에서만 보았지 함평나비축제에 참여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 어떻게 3년 연속 문화관광 우수축제로 선정될 수 있었는가 호기심을 갖고 이 축제에 참여했다.
도착한 행사장의 규모는 함평 천을 중심으로 생각보다 넓었다. 자칫 지저분해 질 수 있는 거리도 깨끗하고 이동식 화장실 또한 청결하고 휴지도 있었다.
하지만 볼거리는 사실 기대치를 많이 밑돌았다.
매년 수백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 한다는 명성과 달리 주인공 나비를 볼 수 있 곳은 생태관 단 한 곳뿐, 이곳도 입장료를 내지 않으면 나비도 볼 수 없다.
친환경이미지라는 모토아래 각종 곤충 모형물, 한우 조형물, 모형물이 있었으나 인조적인 모습들이며 또한 생태관 들어가지 않아서 그런지 체험시설도 부족하였다. 독안에 든 밤을 긴 젓가락으로 집으면 군밤으로 바꿔주는 어이없는 체험시설은 어색하기 그지없었다.
또한 2008년 곤충 엑스포 건설 위한 공사장의 현장이 그대로 방치되었다. 그 전날 내린 비로 행사장에 가는 길목의 바닥은 흙탕물로 범벅이 되어 우리를 비롯한 수많은 관광객들이 불편을 겪어야 했고, 오리와 포크레인의 아이러니한 상황이 연출되어 미관을 찌푸리게 하였다.
물론 무에서 유를 창출해 3년 연속 문화관광 우수축제로 선정된 부분은 대단하다고 인정한다. 내년에 함평에서는 세계 나비·곤충 엑스포가 열리는데 여러 미흡한 점을 보완개선해야 할 것이다.
최근 한미 FTA체결로 농업분야가 최대의 피해를 본다. 함평 역시 1차 산업 종사자가 71%인 만큼 예외일 수 없다. 이 단순한 축제에서 벗어나 농업 분야의 이익 창출로 연결 지어 농업분야의 한 줄기 빛이 되는 긍정적인 본보기가 되었으면 한다.
Ⅴ. 참고문헌
- 국회 도서관 : 도시마케팅 강화를 위한 지역축제의 유형화 및 성공전략 연구(강승규)
http://kin.naver.com/ing/detail.php?d1id=12&dir_id=12122008&eid=R82ONttOwjUv28PzSefTBbmSwS4wUykz&qb=x9TG8iCzqrrxw+DBprChILCzw9a1yA==
- http://www.inabi.or.kr/hampyeong/korea/festival/rest2007.htm
- http://blog.ohmynews.com/lovemilleni/entry/%E3%85%8E
http://www.ticketlink.co.kr/ticketlink/sports/index.jsp?LinkFile=/expo/catalog/P_expo_sch.jsp?ProCd=S8000784&PlaceCd=S3523
http://www.moodeungilbo.co.kr/read.php3?no=241219&read_temp=20070509§ion=64
http://auto.cyc.ac.kr/knowledge/Download.asp?FilePath=Up_PDS%2FKnow_Reg&FileName=%C7%D4%C6%F2%B3%AA%BA%F1%C3%E0%C1%A6%B8%B6%C4%C9%C6%C3%BA%D0%BC%AE.hwp
한국경제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7050770281
뉴시스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03&article_id=0000409888§ion_id=103&menu_id=103
그리고 관광 상품은 다른 기존의 상품들을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상품을 대상으로 해야 성공할 수 있다는 점을 그대로 보여주는 사례가 아닌가 싶다.
축제 장소를 방문한날 비가 와서 불편한 점도 더러 있었고, 몇 가지 문제점들도 눈에 띄었지만 적지 않은 규모에 놀랐고, 독특한 아이디어로 축제를 구상했다는 점에서 또 한 번 놀라게 되었다. 지금도 성공적인 축제 중에 하나로 손꼽히는 만큼 몇 가지 문제점들을 보완한다면 더욱더 성공적인 축제로 사람들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함평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지금의 나비축제를 잘 활용하여, 질로써 승부하는 농업관광과 농업 소득 보다는 농외소득의 비중을 높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세계적으로도 대외적인 홍보를 하여 내년 10회 때 곤충엑스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평소 축제들을 많이 다니지 않던 나로서는 축제를 가기 전 기대 반 궁금증반이였다. 사실가기전에는 군축제가 얼마나 잘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었었다. 하지만 막상가보니 군축제 치고는 규모도 컸고 많은 사람들과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마련되어 있어서 놀랐었다. 사실 나도 군에 살고 있지만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축제들은 아직 많은 점들이 부족한데 함평은 사람들이 기대 하는 것 이상의 무언가를 보여줌으로써 축제를 온 사람들에게 만족감과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축제 같았다. 함평나비축제를 다녀와서 우리 지역축제들이 나아가야할 방향이나 보완점들을 다시한번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좋았다.
그리 멀지 않는 곳에 살면서도 한 번도 구경한 적이 없었던 함평 나비축제!
축제기획론 수업을 들으면서 이번기회에 나비축제 구경도 하겠거니 은근한 기대를 갖고 조원들과 함평 나비축제를 방문했다. 새벽부터 찔끔찔끔 내리는 비 덕분에 그리 상쾌한 기분으로 축제를 구경하지는 못하였다. 하지만 주말이라서 그런지 방문객들이 생각보다 많았다. 꽤 넓은 규모의 토지 면적 때문인지 생각 외로 \'참 큰 축제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 그다지 볼만한 것은 없었다. 조형물들이 너무나 많이 차지하고 있어 친환경적인 입장에서 볼 때 \'청정이미지제고\' 라는 목적과는 거리가 멀다는 생각이 들었다.
결론적으로, 다시 축제를 방문할 기회가 생긴다면 재방문하고 싶은 생각은 별로 들지 않았다는 것!! 하지만 2008년 곤충 EXPO를 개최한다고 하니, 그때는 실사위주의 볼거리들이 많기를 기대해본다.
일전에 함평 군수의 초청강연 중 파산기업을 인수했다는 표현을 했다. 사실 함평군은 관광자원이 거의 없는 열악한 지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태관광 함평 나비축제를 창안하여 지금의 위기를 돌파하고 있다. 함평 나비축제에 관련된 보도 자료를 매스컴에서만 보았지 함평나비축제에 참여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 어떻게 3년 연속 문화관광 우수축제로 선정될 수 있었는가 호기심을 갖고 이 축제에 참여했다.
도착한 행사장의 규모는 함평 천을 중심으로 생각보다 넓었다. 자칫 지저분해 질 수 있는 거리도 깨끗하고 이동식 화장실 또한 청결하고 휴지도 있었다.
하지만 볼거리는 사실 기대치를 많이 밑돌았다.
매년 수백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 한다는 명성과 달리 주인공 나비를 볼 수 있 곳은 생태관 단 한 곳뿐, 이곳도 입장료를 내지 않으면 나비도 볼 수 없다.
친환경이미지라는 모토아래 각종 곤충 모형물, 한우 조형물, 모형물이 있었으나 인조적인 모습들이며 또한 생태관 들어가지 않아서 그런지 체험시설도 부족하였다. 독안에 든 밤을 긴 젓가락으로 집으면 군밤으로 바꿔주는 어이없는 체험시설은 어색하기 그지없었다.
또한 2008년 곤충 엑스포 건설 위한 공사장의 현장이 그대로 방치되었다. 그 전날 내린 비로 행사장에 가는 길목의 바닥은 흙탕물로 범벅이 되어 우리를 비롯한 수많은 관광객들이 불편을 겪어야 했고, 오리와 포크레인의 아이러니한 상황이 연출되어 미관을 찌푸리게 하였다.
물론 무에서 유를 창출해 3년 연속 문화관광 우수축제로 선정된 부분은 대단하다고 인정한다. 내년에 함평에서는 세계 나비·곤충 엑스포가 열리는데 여러 미흡한 점을 보완개선해야 할 것이다.
최근 한미 FTA체결로 농업분야가 최대의 피해를 본다. 함평 역시 1차 산업 종사자가 71%인 만큼 예외일 수 없다. 이 단순한 축제에서 벗어나 농업 분야의 이익 창출로 연결 지어 농업분야의 한 줄기 빛이 되는 긍정적인 본보기가 되었으면 한다.
Ⅴ. 참고문헌
- 국회 도서관 : 도시마케팅 강화를 위한 지역축제의 유형화 및 성공전략 연구(강승규)
http://kin.naver.com/ing/detail.php?d1id=12&dir_id=12122008&eid=R82ONttOwjUv28PzSefTBbmSwS4wUykz&qb=x9TG8iCzqrrxw+DBprChILCzw9a1yA==
- http://www.inabi.or.kr/hampyeong/korea/festival/rest2007.htm
- http://blog.ohmynews.com/lovemilleni/entry/%E3%85%8E
http://www.ticketlink.co.kr/ticketlink/sports/index.jsp?LinkFile=/expo/catalog/P_expo_sch.jsp?ProCd=S8000784&PlaceCd=S3523
http://www.moodeungilbo.co.kr/read.php3?no=241219&read_temp=20070509§ion=64
http://auto.cyc.ac.kr/knowledge/Download.asp?FilePath=Up_PDS%2FKnow_Reg&FileName=%C7%D4%C6%F2%B3%AA%BA%F1%C3%E0%C1%A6%B8%B6%C4%C9%C6%C3%BA%D0%BC%AE.hwp
한국경제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7050770281
뉴시스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03&article_id=0000409888§ion_id=103&menu_id=1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