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음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순수 채식의 사찰음식 형성

2. 사찰음식의 특징

3. 사찰음식의 영양적 효과

4. 사찰음식에 쓰이는 조미료

5. 사찰음식에서 배우는 웰빙식습관

6. 사찰공양식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7. 사찰식과 현대인의 건강

8. 고찰

본문내용

한 짐 덜 수 있을 것이다. 사찰의 음식이 바로 그렇다. 뇌를 맑게 하고 몸을 가볍게 하며, 영양이 풍부하여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하는 것들이다.
수행자들은 하루 12시간 이상 좌선을 하지만 건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수행 방법과 음식물에 그 비결이 있는 것이다.
사찰 음식은 소화도 잘 되지만 살을 찌게 하지 않는다. 풍부한 영양을 가졌지만 체내에 남지 않고 빨리 소화되는 담백한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8. 고찰
- 음력 4월 8일 석가탄신일이 되면 으레 근처 사찰을 찾아가 불공도 드려보고 공양도 받곤 했다. 어릴 땐 나물만 가득하고 변변한 찬거리 하나 없는 절밥을 맛없다고 싫어했었다. 아마도 자극적인 음식들에 길들여져 담백한 백치미를 알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지금은 대학에서 식품영양을 전공하고 그에 대한 지식을 밑바탕으로 사찰음식이 현대인들에게 얼마나 좋은 영양식이 되는지를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셀 수 없을 만큼의 여러 가지 식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현실에서 구미에 당기는 음식들만 찾아먹게 되고 손쉽게 빨리 먹을 수 있는 식품들을 매끼니 마다 찾기 일쑤다.
세상은 점점 빨라지고 사람들은 시간에 쫓겨 가며 산다. 정성들여 느긋하게 음식을 준비하고 차려먹을 여유가 쉽게 허락되지 않는다. 정갈하고 담백한 사찰음식은 온갖 스트레스와 과도한 육식으로 생활습관병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이 눈여겨 보아야할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듬뿍 깃들여 있는 소중한 건강식인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이러한 현실에 맞춰, 우리는 사찰음식이 주는 이로운 영양적 효과를 잃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찰음식의 현대화를 꾀해야 한다.
모든 조미료는 천연의 식품을 사용하여 직접 만들어 쓴다던지, 매 끼니마다 나물을 무치고 음식을 새롭게 준비하는 것 등의 부수적인 것은 번거롭고 시간적 제약이 따른다. 그러므로 직접적인 요인이 될 수 있는 주된 식품을 이용한 새로운 요리를 개발하는 것이 현대의 생활에 적합할 것이다.
또한, 우리의 전통음식과 비슷한 구석이 많은 사찰 음식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가는 웰빙의 바람에 실어 음식문화수출을 한다면 경제적효과도 얻을 수 있을뿐더러 우리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세우는 데에도 큰 몫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9. 참고문헌
선재 스님의 사찰음식 [디자인하우스] - 선재, 김수경
전통 사찰음식 [우리출판사] - 적문
자연 건강 사찰음식 [열린서원] - 이여영
한국의 맛 [경향신문사] - 정건조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3.03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67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