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공상적 사회주의의 이론적 전제
(2) 공상적 사회주의
(1) 공상적 사회주의의 이론적 전제
(2) 공상적 사회주의
본문내용
그러나 18세기의 프랑스 유물론자와는 달리 오웬은 이미 봉건제도가 아니라 부르조아적 사회관계를 비판했다. 오웬은 부르주아 체제가 이전의 모든 사회형태와 마찬가지로 불완전한 것이라 선언하고 가장 완전한 사회로서 사회주의 사회를 제기했다. 그는 형식적인 정치적 평등만이 아니라 사회적 평등도 확립하고, 계급적 모순을 폐지하고자 했다.
오웬의 관심 한가운데 자리잡고 있는 것은 산업혁명으로 생성된 모순이다. 그는 “세계는 바야흐로 부로 가득차고, 세계는 막대한 자원을 소유하고 있다. 그러나 예전과 다름없이 빈곤은 도처에 깔려 있다.”라고 말한다. 오웬이 부르조아 체제를 부정하게 되었던 것은 서유럽 사회 특히 영국의 사회생활과 그것의 모순에 대한 관찰에서 노동자들의 재앙과 고난에 대한 동정에서 비롯된다. 그는 “인류에게 최대의 은혜이어야 할 기계가 현존의 제도하에서는 인류에 있어서 최대의 저주이다.”라고 지적한다. 오웬은 현존하는 사회조직이 지속한다면, 이러한 재앙의 시기는 빈번히 일어나고, 이러한 시기가 초래하게 될 악은 더욱 더 첨예하게 느껴질 것이라고 그는 경고했다. 당시 공업 부문에서 가장 발달한 나라였던 영국의 사회생활이 가진 특수성이 오웬의 학설에 그 흔적을 남기고 있다.
오웬은 사적 소유종교부르주아적 가족이라는 ‘삼위일체를 이루는 악’을 절멸시키기 위해 공상적인 처방전을 만들어 독자적인 이민지를 조직하도록 제안한다. 오웬주의자들은 생산수단의 사회화에 기초한 체제에 대해 ‘사회주의’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오웬의 사회주의는 역사적 필연성과 계급투쟁의 결과가 아니라 선진적 사상, 절대적 합리성, 정의와 선을 구체화시킨 것이다. 반대로 오웬은 계급투쟁이 사회개조라는 그의 계획을 실현하는 데 장애가 된다고 간주했다.
오웬의 사회주의적 견해는 관념론적 성격을 띠고 있다. 이것은 당시의 사회적 조건에 기인한 바가 크다. 당시 프롤레타리아트와 노동운동의 미성숙으로 인하여 오웬의 철학적, 사회학적 견해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그 한계 때문에 그는 사회발전의 참된 법칙, 프롤레타리아트와 혁명투쟁에서 자신의 역사적 역할을 이해할 수 없었다. 이런 한계에도 불구하고 오웬은 철학사상과 사회사상의 역사에서 영국 사회주의의 시조, 과학적 사회주의의 뛰어난 선구자로서 노동자의 이익을 옹호하고 자본주의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에 기초한 사회주의에 대한 굳건한 신념을 역사에 남기는 업적의 당사자임은 분명하다.
오웬의 관심 한가운데 자리잡고 있는 것은 산업혁명으로 생성된 모순이다. 그는 “세계는 바야흐로 부로 가득차고, 세계는 막대한 자원을 소유하고 있다. 그러나 예전과 다름없이 빈곤은 도처에 깔려 있다.”라고 말한다. 오웬이 부르조아 체제를 부정하게 되었던 것은 서유럽 사회 특히 영국의 사회생활과 그것의 모순에 대한 관찰에서 노동자들의 재앙과 고난에 대한 동정에서 비롯된다. 그는 “인류에게 최대의 은혜이어야 할 기계가 현존의 제도하에서는 인류에 있어서 최대의 저주이다.”라고 지적한다. 오웬은 현존하는 사회조직이 지속한다면, 이러한 재앙의 시기는 빈번히 일어나고, 이러한 시기가 초래하게 될 악은 더욱 더 첨예하게 느껴질 것이라고 그는 경고했다. 당시 공업 부문에서 가장 발달한 나라였던 영국의 사회생활이 가진 특수성이 오웬의 학설에 그 흔적을 남기고 있다.
오웬은 사적 소유종교부르주아적 가족이라는 ‘삼위일체를 이루는 악’을 절멸시키기 위해 공상적인 처방전을 만들어 독자적인 이민지를 조직하도록 제안한다. 오웬주의자들은 생산수단의 사회화에 기초한 체제에 대해 ‘사회주의’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오웬의 사회주의는 역사적 필연성과 계급투쟁의 결과가 아니라 선진적 사상, 절대적 합리성, 정의와 선을 구체화시킨 것이다. 반대로 오웬은 계급투쟁이 사회개조라는 그의 계획을 실현하는 데 장애가 된다고 간주했다.
오웬의 사회주의적 견해는 관념론적 성격을 띠고 있다. 이것은 당시의 사회적 조건에 기인한 바가 크다. 당시 프롤레타리아트와 노동운동의 미성숙으로 인하여 오웬의 철학적, 사회학적 견해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그 한계 때문에 그는 사회발전의 참된 법칙, 프롤레타리아트와 혁명투쟁에서 자신의 역사적 역할을 이해할 수 없었다. 이런 한계에도 불구하고 오웬은 철학사상과 사회사상의 역사에서 영국 사회주의의 시조, 과학적 사회주의의 뛰어난 선구자로서 노동자의 이익을 옹호하고 자본주의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에 기초한 사회주의에 대한 굳건한 신념을 역사에 남기는 업적의 당사자임은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