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순방향 바이어스
2.역방향 바이어스
3.평형상태
4.계단형접합과 경사형접합
5.PN접합의 실제적인 정특성
6.다이오드의 온도의존성
7.공간전하용량
8.확산용량
2.역방향 바이어스
3.평형상태
4.계단형접합과 경사형접합
5.PN접합의 실제적인 정특성
6.다이오드의 온도의존성
7.공간전하용량
8.확산용량
본문내용
일정한 경우에도 온도가 상승하면 다이오드의 전류도 증가한다. 그러므로, 온도가 상승한 상태에서 바이어스 전압을 낮추면 다이오드의 전류는 처음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Si나 Ge 다이오드에서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할 때 온도에 따른 변화율을 구해보면 온도가 1도씨 증가할 때 순바이어스 전압을 2.5미리볼트 씩 낮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7.공간전하용량
공간전하 영역의 폭이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서 변화하는 것은 앞절에서 설명 하였다. PN접합에 역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면 다수 캐리어가 PN접합면으로 분터 먼 곳으로 이동하게 하여 고정된 도우너 이온과 억셉터 이온을 증가시켜 공간전하영역의 폭을 크게한다.
이러한 결과로 공간전하영역은 일종의 콘덴서의 기능과 같이 용량성을 갖게 되는데 이것을 공간전하용량 또는 접합 용량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Ct로 표시한다.
8.확산용량
PN접합 다이오드에 순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했을 때 접합면에는 주입된 전하들에 의해서 앞절에서 설명한 공간전하용량 Ct보다 훨씬 큰 용량이 생기는데, 이것을 확산 용량 Cp라고 한다.
확산용량 Cp는 바이어스 전압으 변화에 대한 전하량 Q의 변화율은 전하량 Q에 전압 V를 나누어 준것이 된다.
Si나 Ge 다이오드에서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할 때 온도에 따른 변화율을 구해보면 온도가 1도씨 증가할 때 순바이어스 전압을 2.5미리볼트 씩 낮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7.공간전하용량
공간전하 영역의 폭이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서 변화하는 것은 앞절에서 설명 하였다. PN접합에 역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면 다수 캐리어가 PN접합면으로 분터 먼 곳으로 이동하게 하여 고정된 도우너 이온과 억셉터 이온을 증가시켜 공간전하영역의 폭을 크게한다.
이러한 결과로 공간전하영역은 일종의 콘덴서의 기능과 같이 용량성을 갖게 되는데 이것을 공간전하용량 또는 접합 용량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Ct로 표시한다.
8.확산용량
PN접합 다이오드에 순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했을 때 접합면에는 주입된 전하들에 의해서 앞절에서 설명한 공간전하용량 Ct보다 훨씬 큰 용량이 생기는데, 이것을 확산 용량 Cp라고 한다.
확산용량 Cp는 바이어스 전압으 변화에 대한 전하량 Q의 변화율은 전하량 Q에 전압 V를 나누어 준것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