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 7. 공명
■ 이론
■ 실험 결과
■ 토의 및 분석
■ 이론
■ 실험 결과
■ 토의 및 분석
본문내용
리를 잴 수 있었습니다. 이것은 닫힌 관에서도 마찬가지로 이렇게 나와
그 거리를 잴 수 있었습니다.
실험을 하고 난 후 그 결과값들을 분석해보았는데 공명주파수 측정에서 가장 작은 값으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나누어보니 확실한 정수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정수배가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열린 관보다는 막힌 관에서 공진주파수의 값이 크게 나왔습니다. 그리
고 음속도 닫힌 관에서 최고점 최저점의 거리가 길게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번 실험은 오차가 좀 있을 거 같은데 실험시에 funtion generator 의 연결선과 공명관
의 연결이 확실히 고정이 안되어 좀 느슨하게 되어 빠지기도 하고 마이크와 오실로스코프를
연결하는 연결선도 접속이 잘 안되어 파형이 한동안 안 나타나게 되서 그것이 나왔다 안 나
왔다 하여 실험을 하는데 어려운 점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서 실험도 제일 늦게까지 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실험은 기계에 접속이 좀 안되어서 좀 오차가 있는 거 같습니다. 그래도
공명이라는 뜻을 알고 그에 관한 실험 방법을 배우고 막힌 경우와 열린 경우의 공진주파수
의 관계에 대해 공부도 해보게 되어 배운 것이 있는 실험이었습니다.
그 거리를 잴 수 있었습니다.
실험을 하고 난 후 그 결과값들을 분석해보았는데 공명주파수 측정에서 가장 작은 값으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나누어보니 확실한 정수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정수배가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열린 관보다는 막힌 관에서 공진주파수의 값이 크게 나왔습니다. 그리
고 음속도 닫힌 관에서 최고점 최저점의 거리가 길게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번 실험은 오차가 좀 있을 거 같은데 실험시에 funtion generator 의 연결선과 공명관
의 연결이 확실히 고정이 안되어 좀 느슨하게 되어 빠지기도 하고 마이크와 오실로스코프를
연결하는 연결선도 접속이 잘 안되어 파형이 한동안 안 나타나게 되서 그것이 나왔다 안 나
왔다 하여 실험을 하는데 어려운 점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서 실험도 제일 늦게까지 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실험은 기계에 접속이 좀 안되어서 좀 오차가 있는 거 같습니다. 그래도
공명이라는 뜻을 알고 그에 관한 실험 방법을 배우고 막힌 경우와 열린 경우의 공진주파수
의 관계에 대해 공부도 해보게 되어 배운 것이 있는 실험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