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초자료수집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4) 각 기관의 조사
5) 신체검진
6) 문헌고찰
7) 진단소견
8) 의학적 치료및 경과
2. 간호과정 적용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4) 각 기관의 조사
5) 신체검진
6) 문헌고찰
7) 진단소견
8) 의학적 치료및 경과
2. 간호과정 적용
본문내용
6mmHg
40.5
41.3
35.6
-45mmHg이상 : 과소환기
-35mmHg이하 : 과다환기
PO₂
74~100mmHg
48.4
64.3
166.4
-50mmHg이하 : 심각한 저산소증
-50~80mmHg : 환자의 나이와 흡입산소농도에 따라 심각성이 고려
HCO₃
21~29mmol/L
32.9
34.1
26.3
탄산이 많은 경우 : 산증
탄산이 적은 경우 : 알칼리증
O₂Sat
92~96mmol/L
87.4
94.1
99.
O₂10L/mask
O₂full/R.mask
O₂5L/T-P
보상상태의 대사성 알칼리증
보상상태의 대사성 알칼리증
보상상태의 대사성 알칼리증
2)방사선 검사
①Brain C-T
-판독일 : 2006.02.13
decreased amount of IVH and Ventricle size
But no significant interval change of ICH lefr thalamus
뇌실의 출혈의 양은 줄었지만 왼쪽시상의 대뇌출혈은 여기저기 현저히 변하지 않 았다.
3)특수검사
①02.22
검체 : sputum
소견 : sputum Gram's stain
Few gram positive cocci are seen
약간의 명확한 연쇄상 구균이 보였다.
②02.22
검체 : sputum
소견 : sputum culture
staphylococcus aureus are growth
sensitivity test(감수성테스트)
S : vancomycin teicoplanin
R :cefotaxime, ceftazidime, cefepime, oxacillin, ceftriaxone, ampicillin,
amikacin gentamicin cefmetazole
8.의학적 치료 및 경과
1)내과적 치료
(1)약물요법
약물명
성인의 표준용법
및 용량
대상자에게 사용된 용법 및 용량, 투여경료
투약목적
부작용
Orfin
300~400mg 씩 1일 2~3회 경구투여
3L씩 하루3번 경구투여
뇌의GABA 농도를 상승시켜 중추억제작용을 하게함
오심, 구토 설사 두통, 어지러움, 운동실조, 특이체질 반응으로 치명적 간독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간기능 장애 환자에게 주의
Ambroxol
(Mucopect)
15mg 씩1일 2~3회 피하,근육 및 정맥주사
1앰플 IV 8시간마다
점액분비장애로 인한 급·만성 호흡기 질환 - 만성기관지염, 천식성기관지염, 기관지천식의 급성발작
구토, 설사 식욕부진, 화농성비염
,드물게 두드러기
Cimetidin
1회 4회 식후에 200mg, 취침전에 400mg 경구투여하며, 200mgTlr 4~6회정맥내 주사함
3L 하루에 세 번 IV
소화성 궤양 치료제
일시적인 설사 , 현기증, 남성의 여성형 유방, 발적, 호중구 감소증
Transamine
250~500mg/day #1~2 IM, IV
1/2앰플 8시간마디 IV
수술후 지혈제
식욕부진, 구역, 설사, 저혈압, thrombosis, 시야곤란
Adalat
2L 하루에 두번씩
혈관확장 작용으로 고혈압치료제
어지러움증, 알레르기성 반응, 두통, 불안함, 구토증
Naloxone
초회량 0.4mg투여 필요시 2~3분 간격으로 반복해서 근육 및 정맥내에 주사함
1앰플 8시간마다 IV
뇌출혈로 인한 허혈성 뇌신경장해에 사용
금단증상과 호흡억제
vancomycin
500Mg간간격 1g 12시간 간격으로 정맥주사함
N/s100+vanco1.0G 12시간마다 IV
강력한 그람양성군 항균력을 가짐. 포도상 구균 감염증, penicillin및cephalosporinin계의 항생제로 치료가 되지 않는 중증감염증에 사용
저혈압, 천명, 호흡곤란,아나필락시스
(2)지지요법
①산소요법
02.11
02.16
02.17
02.18
O₂3L/Nasal cannula
O₂10L/mask
O₂full/mask
O₂T-poese
②식이요법
2.10
02.12
02.18
02.26
NPO
NPO→WF
LD 300 #3
LD 900# 3
2)외과적 치료 및 특수 치료
①EVD(외심실 배액술)
2006.02.10 ICH, IVH제거 위해 응급 op함.
②Lnmbur puncture drain
2006.02.14 CSF drain위해 실시함
②기관절개술(Tracheotomy)
2006.02.24 효과적은 기침과 분비물 배출이 곤란하여 기관지 흡인을 위해 기관 절개를 실시함
Ⅱ 간호과정 적용
날짜 : 2006.03.22
객담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불능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객담양이 많고 점도는 높고 색은 yellow를 보인다.
-호흡수 19회/분, 호흡시 흉관의 움직임이 크다.
-그르렁 거리는 호흡음이 들린다.
간호진단
객담과 관련된 기도개방유지불능
기대결과
대상자는 2일이내에 정상적인 객담양을 보일것이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①객담양 사정한다.
②호흡수, 리듬, 호흡음을 사정한다.
③30분마다 흡인을한다.
④분비물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적절한 습도를 유지한다.
⑤4시간마다 체위배액 타진, 진동법을 실시한다.
⑥동맥혈 가스 분압을 사정한다.
①객담양이 감소로 기도개방유지가 향상된다.
②호흡음 증가, 부수적 호흡음 감소는 개방성 기도를 나타낸다.
③분비물의 제거로 인해 환기와 가스교환이 향상된다.
④객담의 점성도를 감소시키고 분비물을 묽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⑤분부물 제거로 인해 환기와 가스교환이 향상된다.
⑥동맥혈 가스분압이 산소화와 가스교환장애를 정확하게 나타내준다.
①30분마다 객담양을 사정했다.(양이 많고 점도가 높고 색은 yellow)
②1시간마다 호흡 양상을 사정했다.(18회/분)
③.30분마다 흡인을해주고 그르렁 거리는 호흡음이 들릴때마다 흡인을 해주었다.
④가습기를 침상 머리맡에 틀어놓았다.
⑤2시간 마다 체위변경할 때 마다 타진법과 진동법을 실사하였다.
평가
흡인 직후만 그르렁 거리는 호흡음이 줄어 들었고 여전히 객담양이 많아서 흡인을 자주 해야한다.
*참고문헌
현문사 전시자 외 최신 기본간호학 상,하
현문사 박명자 외 성인간호학 상,하
현문사 오송자 외 의학약어와 해설
CIBA원색도해의학총서
현문사 최정신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
서울대학교출판부 신경학
40.5
41.3
35.6
-45mmHg이상 : 과소환기
-35mmHg이하 : 과다환기
PO₂
74~100mmHg
48.4
64.3
166.4
-50mmHg이하 : 심각한 저산소증
-50~80mmHg : 환자의 나이와 흡입산소농도에 따라 심각성이 고려
HCO₃
21~29mmol/L
32.9
34.1
26.3
탄산이 많은 경우 : 산증
탄산이 적은 경우 : 알칼리증
O₂Sat
92~96mmol/L
87.4
94.1
99.
O₂10L/mask
O₂full/R.mask
O₂5L/T-P
보상상태의 대사성 알칼리증
보상상태의 대사성 알칼리증
보상상태의 대사성 알칼리증
2)방사선 검사
①Brain C-T
-판독일 : 2006.02.13
decreased amount of IVH and Ventricle size
But no significant interval change of ICH lefr thalamus
뇌실의 출혈의 양은 줄었지만 왼쪽시상의 대뇌출혈은 여기저기 현저히 변하지 않 았다.
3)특수검사
①02.22
검체 : sputum
소견 : sputum Gram's stain
Few gram positive cocci are seen
약간의 명확한 연쇄상 구균이 보였다.
②02.22
검체 : sputum
소견 : sputum culture
staphylococcus aureus are growth
sensitivity test(감수성테스트)
S : vancomycin teicoplanin
R :cefotaxime, ceftazidime, cefepime, oxacillin, ceftriaxone, ampicillin,
amikacin gentamicin cefmetazole
8.의학적 치료 및 경과
1)내과적 치료
(1)약물요법
약물명
성인의 표준용법
및 용량
대상자에게 사용된 용법 및 용량, 투여경료
투약목적
부작용
Orfin
300~400mg 씩 1일 2~3회 경구투여
3L씩 하루3번 경구투여
뇌의GABA 농도를 상승시켜 중추억제작용을 하게함
오심, 구토 설사 두통, 어지러움, 운동실조, 특이체질 반응으로 치명적 간독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간기능 장애 환자에게 주의
Ambroxol
(Mucopect)
15mg 씩1일 2~3회 피하,근육 및 정맥주사
1앰플 IV 8시간마다
점액분비장애로 인한 급·만성 호흡기 질환 - 만성기관지염, 천식성기관지염, 기관지천식의 급성발작
구토, 설사 식욕부진, 화농성비염
,드물게 두드러기
Cimetidin
1회 4회 식후에 200mg, 취침전에 400mg 경구투여하며, 200mgTlr 4~6회정맥내 주사함
3L 하루에 세 번 IV
소화성 궤양 치료제
일시적인 설사 , 현기증, 남성의 여성형 유방, 발적, 호중구 감소증
Transamine
250~500mg/day #1~2 IM, IV
1/2앰플 8시간마디 IV
수술후 지혈제
식욕부진, 구역, 설사, 저혈압, thrombosis, 시야곤란
Adalat
2L 하루에 두번씩
혈관확장 작용으로 고혈압치료제
어지러움증, 알레르기성 반응, 두통, 불안함, 구토증
Naloxone
초회량 0.4mg투여 필요시 2~3분 간격으로 반복해서 근육 및 정맥내에 주사함
1앰플 8시간마다 IV
뇌출혈로 인한 허혈성 뇌신경장해에 사용
금단증상과 호흡억제
vancomycin
500Mg간간격 1g 12시간 간격으로 정맥주사함
N/s100+vanco1.0G 12시간마다 IV
강력한 그람양성군 항균력을 가짐. 포도상 구균 감염증, penicillin및cephalosporinin계의 항생제로 치료가 되지 않는 중증감염증에 사용
저혈압, 천명, 호흡곤란,아나필락시스
(2)지지요법
①산소요법
02.11
02.16
02.17
02.18
O₂3L/Nasal cannula
O₂10L/mask
O₂full/mask
O₂T-poese
②식이요법
2.10
02.12
02.18
02.26
NPO
NPO→WF
LD 300 #3
LD 900# 3
2)외과적 치료 및 특수 치료
①EVD(외심실 배액술)
2006.02.10 ICH, IVH제거 위해 응급 op함.
②Lnmbur puncture drain
2006.02.14 CSF drain위해 실시함
②기관절개술(Tracheotomy)
2006.02.24 효과적은 기침과 분비물 배출이 곤란하여 기관지 흡인을 위해 기관 절개를 실시함
Ⅱ 간호과정 적용
날짜 : 2006.03.22
객담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불능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객담양이 많고 점도는 높고 색은 yellow를 보인다.
-호흡수 19회/분, 호흡시 흉관의 움직임이 크다.
-그르렁 거리는 호흡음이 들린다.
간호진단
객담과 관련된 기도개방유지불능
기대결과
대상자는 2일이내에 정상적인 객담양을 보일것이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①객담양 사정한다.
②호흡수, 리듬, 호흡음을 사정한다.
③30분마다 흡인을한다.
④분비물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적절한 습도를 유지한다.
⑤4시간마다 체위배액 타진, 진동법을 실시한다.
⑥동맥혈 가스 분압을 사정한다.
①객담양이 감소로 기도개방유지가 향상된다.
②호흡음 증가, 부수적 호흡음 감소는 개방성 기도를 나타낸다.
③분비물의 제거로 인해 환기와 가스교환이 향상된다.
④객담의 점성도를 감소시키고 분비물을 묽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⑤분부물 제거로 인해 환기와 가스교환이 향상된다.
⑥동맥혈 가스분압이 산소화와 가스교환장애를 정확하게 나타내준다.
①30분마다 객담양을 사정했다.(양이 많고 점도가 높고 색은 yellow)
②1시간마다 호흡 양상을 사정했다.(18회/분)
③.30분마다 흡인을해주고 그르렁 거리는 호흡음이 들릴때마다 흡인을 해주었다.
④가습기를 침상 머리맡에 틀어놓았다.
⑤2시간 마다 체위변경할 때 마다 타진법과 진동법을 실사하였다.
평가
흡인 직후만 그르렁 거리는 호흡음이 줄어 들었고 여전히 객담양이 많아서 흡인을 자주 해야한다.
*참고문헌
현문사 전시자 외 최신 기본간호학 상,하
현문사 박명자 외 성인간호학 상,하
현문사 오송자 외 의학약어와 해설
CIBA원색도해의학총서
현문사 최정신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
서울대학교출판부 신경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