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과서 분석
타일러의 교육과정
타일러의 교육관에서 바라본 관점
브루너의 지식구조
브루너의 교육관에서 바라본 관점
타일러의 교육과정
타일러의 교육관에서 바라본 관점
브루너의 지식구조
브루너의 교육관에서 바라본 관점
본문내용
형 구조를 유지해야 한다. 즉, 나중의 수업이 그전의 수업 위에 이루어져서 학생의 이해가 명백하고 성숙된 형태를 취하도록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브루너의 교육관에 맞춘 교육형태 에서는 직관적 사고를 중요시하고 학습자에게 직관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데 큰 의미를 두고 있다. 또한 학습자의 학습동기 유발을 통해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수업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여기에 수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교구의 개발과 사용을 강조하고 있다.
◈ Bruner의 교육관에서 바라본 내용
연산의 지식구조 분석
단계
내용
1
가
50까지 수 간단한 수의 덧셈과 뺄셈 덧셈과 뺄셈의 활용
나
100까지 수 한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두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받아올림,받아내림 없음) 덧셈과 뺄셈의 활용
2
가
1000까지 수 두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곱셈의 도입 덧셈과 뺄셈의 활용
나
곱셈구구 세자리 수 범위에서 덧셈과 뺄셈 덧셈,뺄셈,곱셈의 활용
3
가
1000까지 수 세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나눗셈의 도입 곱셈과 나눗셈
곱셈과 나눗셈 활용 분수의 이해
나
네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곱셈과 나눗셈 단위분수와 진분수 소수의 이해
4
가
다섯자리 이상의 수 자연수의 사칙계산 여러가지 분수
분모가 같은 분수의 덧셈과 뺄셈
나
비와 몫으로수의 분수 소수 세자리 수의 이해 분수,소수의 크기비교
소수의 덧셈과 뺄셈
5
가
약수와 배수 약분과 통분 분모가 다른 분수의 덧셈과 뺄셈 분수의 곱셈
나
분수,소수의 곱셈과 나눗셈
6
가
소수와 분수의 관계 소수와 분수의 크기 비교
나
분수와 소수의 나눗셈
위와 같이 연산의 지식구조 분석을 통하여 학년에 맞게 번역(해당 학습자 수준에 맞게 조절한 과정)을 하여 교과 과정이 편성되어 있다.
이 단원은 3-가 제2장 덧셈과 뺄셈 과정이다. 덧셈과 뺄셈의 연산은 이미 1-가 과정에서 학습하였으며 그 이론이 학년이 올라가면서 점차 자리수가 늘어나고 받아올림, 받아내림이 추가되어 심화되는 나선형 교육과정에 따르고 있다.
위의 그림에서과 같이 덧셈과 뺄셈의 내면에 숨어 있는 구조를 파악할 수 있게 도와주는 모형 교구를 사용하여 흥미 유발 및 동기유발을 하여 적극적인 수업이 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결 론
- 연산의 지식구조와 학년에 맞게 학습자 수준에 맞게 번역된 교육과정, 점차 심화 되는 내용들(나선형교육과정) 및 흥미동기유발을 위한 교구의 활용등 브루너의 이론에 잘 부합된다고 할 수 있겠다.
◈ Bruner의 교육관에서 바라본 내용
연산의 지식구조 분석
단계
내용
1
가
50까지 수 간단한 수의 덧셈과 뺄셈 덧셈과 뺄셈의 활용
나
100까지 수 한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두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받아올림,받아내림 없음) 덧셈과 뺄셈의 활용
2
가
1000까지 수 두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곱셈의 도입 덧셈과 뺄셈의 활용
나
곱셈구구 세자리 수 범위에서 덧셈과 뺄셈 덧셈,뺄셈,곱셈의 활용
3
가
1000까지 수 세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나눗셈의 도입 곱셈과 나눗셈
곱셈과 나눗셈 활용 분수의 이해
나
네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곱셈과 나눗셈 단위분수와 진분수 소수의 이해
4
가
다섯자리 이상의 수 자연수의 사칙계산 여러가지 분수
분모가 같은 분수의 덧셈과 뺄셈
나
비와 몫으로수의 분수 소수 세자리 수의 이해 분수,소수의 크기비교
소수의 덧셈과 뺄셈
5
가
약수와 배수 약분과 통분 분모가 다른 분수의 덧셈과 뺄셈 분수의 곱셈
나
분수,소수의 곱셈과 나눗셈
6
가
소수와 분수의 관계 소수와 분수의 크기 비교
나
분수와 소수의 나눗셈
위와 같이 연산의 지식구조 분석을 통하여 학년에 맞게 번역(해당 학습자 수준에 맞게 조절한 과정)을 하여 교과 과정이 편성되어 있다.
이 단원은 3-가 제2장 덧셈과 뺄셈 과정이다. 덧셈과 뺄셈의 연산은 이미 1-가 과정에서 학습하였으며 그 이론이 학년이 올라가면서 점차 자리수가 늘어나고 받아올림, 받아내림이 추가되어 심화되는 나선형 교육과정에 따르고 있다.
위의 그림에서과 같이 덧셈과 뺄셈의 내면에 숨어 있는 구조를 파악할 수 있게 도와주는 모형 교구를 사용하여 흥미 유발 및 동기유발을 하여 적극적인 수업이 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결 론
- 연산의 지식구조와 학년에 맞게 학습자 수준에 맞게 번역된 교육과정, 점차 심화 되는 내용들(나선형교육과정) 및 흥미동기유발을 위한 교구의 활용등 브루너의 이론에 잘 부합된다고 할 수 있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