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맥관 구조
<혈관의 구조>
2.조직의 순환 요구
3.모세혈관의 여과와 재흡수
4.맥관계 혈류의 조절
5.신경성 조절
6.호르몬 및 화학적 조절
7.혈류의 국소 조절기전
8.혈관 운동 반사
9.정맥압과 용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
<참고문헌>
<혈관의 구조>
2.조직의 순환 요구
3.모세혈관의 여과와 재흡수
4.맥관계 혈류의 조절
5.신경성 조절
6.호르몬 및 화학적 조절
7.혈류의 국소 조절기전
8.혈관 운동 반사
9.정맥압과 용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
<참고문헌>
본문내용
.
④아세틸콜린(acetylcholine): 혈관 확장 효과 있으나, 일시적이고 하지보다는 상지나
얼굴에 더 많이 작용.
⑤세로토닌(serotonin): 손상 받은 부위 혈관벽의 혈소판에서 유리. 표피동맥의 강력한
수축제이나 모세혈관을 확장시킴.
⑥조직의 산소량, CO₂량, 칼륨 및 젖산의 양이 동맥혈관의 수축과 이완에 영향.
8.혈관 운동 반사
-혈관 운동 반사(vasomotor reflexes): 사지에서 볼 수 있음. 체온조절과 관계.
(ex) 더운물 찜질 or 체온 상승 → 말초 혈관 확장 → 순환혈류 증가
-혈관 확장의 정도: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피부 온도를 기록함으로써 가능.
→정확히 측정하려면 혈량 측정계(plethysmograph) 사용
9.정맥압과 용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
<누운 자세>
-말초 정맥순환과 우심방 사이의 압력차: 혈액이 진행하는 데 있어 주요 운반 능력이 됨.
-판막: 혈액이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해 줌.
-호흡: 흡기- 흉곽 내에 빨아들이는 힘을 만들어 우심방으로 혈액이 흐르기 쉽게 해 줌. 대정맥의 공간도 확장시켜 줌.
호기- 혈액이 심장으로 흘러들어오는 것을 감소시켜 줌. 숨을 내쉼으로써 흉곽
근육의 수축을 초래하여 흉곽 내압이 증가하면 대정맥을 압박할 수 있음.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Valsalva 수기시에도 같은 결과 초래
→초기에 흉곽내압은 우심방으로 혈류를 증가시키나 나중에는 억제시킴.)
<서 있을 경우>
-하지에서 심장으로 혈액이 들어가는 것은 전적으로 장딴지 근육의 수축으로 이루어 짐. →다리 근육이 수축하면 다리에 있는 정맥을 압박하여 혈관을 누르므로써 혈액이
심장을 향해 펌핑해 들어 감. But,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서 있으면 근육은
일어나지 않고 발목 부위의 정맥압은 약 90mmHg 정도로 오름.
(8시간 근무 중 2시간 이상 의자에 앉아있고 움직이지 않는 사람은 장딴지 근육이 펌프를 하지 않아 혈전을 형성.)
<원위 정맥에 있는 혈액>
-다리 근육의 운동이나 등장성 수축으로 움직일 수 있음.
→서 있는 자세에서 10발자국 정도만 걸어도 발목 부위의 정맥압은 10~15mmHg인
정상 수준으로 돌아 옴,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下 Ⅲ / 서문자 외 지음 / 수문사 / 2004
인체 구조와 기능 Ⅱ / 최명애 외 지음 / 계축문화사 / 2003
임상간호의 핵심 Essentials of Clinical Nursing Ⅱ / 한우리 / 2005
④아세틸콜린(acetylcholine): 혈관 확장 효과 있으나, 일시적이고 하지보다는 상지나
얼굴에 더 많이 작용.
⑤세로토닌(serotonin): 손상 받은 부위 혈관벽의 혈소판에서 유리. 표피동맥의 강력한
수축제이나 모세혈관을 확장시킴.
⑥조직의 산소량, CO₂량, 칼륨 및 젖산의 양이 동맥혈관의 수축과 이완에 영향.
8.혈관 운동 반사
-혈관 운동 반사(vasomotor reflexes): 사지에서 볼 수 있음. 체온조절과 관계.
(ex) 더운물 찜질 or 체온 상승 → 말초 혈관 확장 → 순환혈류 증가
-혈관 확장의 정도: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피부 온도를 기록함으로써 가능.
→정확히 측정하려면 혈량 측정계(plethysmograph) 사용
9.정맥압과 용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
<누운 자세>
-말초 정맥순환과 우심방 사이의 압력차: 혈액이 진행하는 데 있어 주요 운반 능력이 됨.
-판막: 혈액이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해 줌.
-호흡: 흡기- 흉곽 내에 빨아들이는 힘을 만들어 우심방으로 혈액이 흐르기 쉽게 해 줌. 대정맥의 공간도 확장시켜 줌.
호기- 혈액이 심장으로 흘러들어오는 것을 감소시켜 줌. 숨을 내쉼으로써 흉곽
근육의 수축을 초래하여 흉곽 내압이 증가하면 대정맥을 압박할 수 있음.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Valsalva 수기시에도 같은 결과 초래
→초기에 흉곽내압은 우심방으로 혈류를 증가시키나 나중에는 억제시킴.)
<서 있을 경우>
-하지에서 심장으로 혈액이 들어가는 것은 전적으로 장딴지 근육의 수축으로 이루어 짐. →다리 근육이 수축하면 다리에 있는 정맥을 압박하여 혈관을 누르므로써 혈액이
심장을 향해 펌핑해 들어 감. But,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서 있으면 근육은
일어나지 않고 발목 부위의 정맥압은 약 90mmHg 정도로 오름.
(8시간 근무 중 2시간 이상 의자에 앉아있고 움직이지 않는 사람은 장딴지 근육이 펌프를 하지 않아 혈전을 형성.)
<원위 정맥에 있는 혈액>
-다리 근육의 운동이나 등장성 수축으로 움직일 수 있음.
→서 있는 자세에서 10발자국 정도만 걸어도 발목 부위의 정맥압은 10~15mmHg인
정상 수준으로 돌아 옴,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下 Ⅲ / 서문자 외 지음 / 수문사 / 2004
인체 구조와 기능 Ⅱ / 최명애 외 지음 / 계축문화사 / 2003
임상간호의 핵심 Essentials of Clinical Nursing Ⅱ / 한우리 / 20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