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시인에 대하여
Ⅱ. 성미정의『대머리와의 사랑』에 나타난 특징
1. 알레고리와 패러디
2. 관계의 도치, 그 부적절함에서 오는 그로테스크
3. 내면의 상처 : 트라우마
Ⅲ. 정리하며
Ⅱ. 성미정의『대머리와의 사랑』에 나타난 특징
1. 알레고리와 패러디
2. 관계의 도치, 그 부적절함에서 오는 그로테스크
3. 내면의 상처 : 트라우마
Ⅲ. 정리하며
본문내용
움직이 지 않게 되었다/깊은 후회 속에서 웅크리고 침묵하게 되었다/내 마음엔 창백한 벽이 생겼다/더 이상 동물이 아닌 것들/정지한 것들 정물들이 살게 되었다/고요가 흐르고 내 마음은 무덤이 되었다/오해 된 동물이었던 그것들/어느 한때 정물이었던 너희들/이젠 다만 남겨진 것들이 되었다/유물이 되어버 렸다
―「내 마음엔」전문
위의 시에서 내면의 상처는 훨씬 명백하게 나타난다. ‘움직여야 하는 것들의 운명은/상처 입고 상처 주는 거였다’는 그의 고백은 관계에서 오는 아픔과 상처를 말하는 듯하다. 다소 아포리즘적인 느낌까지 주는 이 시구를 지나고 나면, 상처 받은 관계조차도 이루어지지 않는, 무덤이 된 자신의 마음을 고백한다.
Ⅲ. 정리하며
성미정의 시를 꼼꼼하고 명확하게 분석하는 것은 분명, 우리로서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명확한 것은, 내면의 아픔을 기존의 시형식과는 차별화된 것으로 표현한다는 점이다. 그것은 단지 시형식의 산문성에서 기초한 것이 아니라, 다소 억지스럽고 개연성 부족한 이야기의 구성, 알레고리와 패러디 기법, 대상 간의 부적절한 관계 설정, 그 관계의 도치 등의 것으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성미정 시인만의 시적 특수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내 마음엔」전문
위의 시에서 내면의 상처는 훨씬 명백하게 나타난다. ‘움직여야 하는 것들의 운명은/상처 입고 상처 주는 거였다’는 그의 고백은 관계에서 오는 아픔과 상처를 말하는 듯하다. 다소 아포리즘적인 느낌까지 주는 이 시구를 지나고 나면, 상처 받은 관계조차도 이루어지지 않는, 무덤이 된 자신의 마음을 고백한다.
Ⅲ. 정리하며
성미정의 시를 꼼꼼하고 명확하게 분석하는 것은 분명, 우리로서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명확한 것은, 내면의 아픔을 기존의 시형식과는 차별화된 것으로 표현한다는 점이다. 그것은 단지 시형식의 산문성에서 기초한 것이 아니라, 다소 억지스럽고 개연성 부족한 이야기의 구성, 알레고리와 패러디 기법, 대상 간의 부적절한 관계 설정, 그 관계의 도치 등의 것으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성미정 시인만의 시적 특수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현대문학사] 1960년대의 시
[현대시론] 김춘수와 이승훈의 시와 사상
김학동․조용훈의 「현대시론」중에서 Ⅰ. 시의 원론’ 정리
[현대문학입문] 서정시와 반서정시
한국 현대 해체시 연구
(현대문학강독)청록파시인 3인의 시세계가 지니는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논의(조지훈,박목...
[시작품]시작품(시문학, 시)의 정의, 시작품(시문학, 시)의 갈래, 시작품(시문학, 시)의 언어...
[현대시론][시적 화자][모더니즘][김기림][박인환][김규동][시론]현대시론과 시적 화자, 현대...
[민중][민중예술][민중시][한국현대문학][김태준][뷔히너][남미민중][인도민중]민중과 민중예...
[현대시강독] <1940년대 한국시>
현대 미국시에 대한 성찰
[현대문학사] 1930년~1945년대 전반의 시대적 배경과 시
[현대문학교육론] 김소월과 한용운의 시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진달래꽃」과 「님의 침...
[한국 현대 시론] 제 4장 시의 방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