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미국의 광고교육
Ⅱ. 미국의 도서관학교육
1. 듀이시대
2. 윌리암슨시대
Ⅲ. 미국의 기업교육
1. 기업교육의 특징
2. 기업교육의 시사점
Ⅳ. 미국의 성인교육(사회교육)
1. 성인교육의 역사
1) 식민지 시대
2) 남북전쟁 이전의 성인교육
3) 제 1차 세계대전의 성인교육
4) 산업사회 전환기의 성인교육
5) 현대사회의 성인교육(1961 - 현재)
2. 성인교육의 조직
3. 성인교육의 기관
1) 공립학교(Public Scool)의 성인교육
2) 도서관의 성인교육
3) 박물관의 성인교육
4) 노동조합(Labor Unions)의 성인교육
Ⅴ. 미국의 직업교육
1. 미국의 학교-직업세계 이행 개관
2. 위스콘신주의 학교-직업세계 이행 시스템
1) 행정 및 재정
2) 프로그램
3. 위스콘신주의 “고용을 위한 교육”
참고문헌
Ⅱ. 미국의 도서관학교육
1. 듀이시대
2. 윌리암슨시대
Ⅲ. 미국의 기업교육
1. 기업교육의 특징
2. 기업교육의 시사점
Ⅳ. 미국의 성인교육(사회교육)
1. 성인교육의 역사
1) 식민지 시대
2) 남북전쟁 이전의 성인교육
3) 제 1차 세계대전의 성인교육
4) 산업사회 전환기의 성인교육
5) 현대사회의 성인교육(1961 - 현재)
2. 성인교육의 조직
3. 성인교육의 기관
1) 공립학교(Public Scool)의 성인교육
2) 도서관의 성인교육
3) 박물관의 성인교육
4) 노동조합(Labor Unions)의 성인교육
Ⅴ. 미국의 직업교육
1. 미국의 학교-직업세계 이행 개관
2. 위스콘신주의 학교-직업세계 이행 시스템
1) 행정 및 재정
2) 프로그램
3. 위스콘신주의 “고용을 위한 교육”
참고문헌
본문내용
Tech Prep grant, work-based learning을 위한 2개의 tribal colleges grant를 관리하고 있다.
2) 프로그램
위스콘신주에서 학교-직업세계 이행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유치원서부터 고등학생에 이르는 모든 K-12 학생들에게 현장적용과 경험교육, 그리고 진로 탐색 교육을 필수화하여 실시한다. 이 프로그램을 “고용을 위한 교육(Education for Employment)”이라고 하는데,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절에서 제시한다.
둘째, 위스콘신주에서는 교사를 훈련시키는 접근법(train-the-trainer approach)를 강조한다. 즉, 다양한 교사교육 및 재교육을 통해 현장적용 및 통합적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구체적 실시 방법 등에 관한 학습 기회 제공을 한다. 이를 위해 주의 기술대학(Technical College)과 위스콘신대학교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셋째, 위스콘신주에서는 기존의 교육, 고용, 훈련 프로그램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다. “전환 전략(conversion strategy)\"을 통해 학교-직업세계 이행의 종합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기존의 산학협동교육, 도제제도, JTPA 재정지원 프로그램들을 School-to-Work Opportunities Act의 주요한 요소들에 따라 통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위스콘신주의 학교-직업세계 이행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도제제도(Youth Apprenticeship)는 인쇄업 분야에서 청년도제제도를 위한 기술표준(skill standards)을 설정하면서 시작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유럽의 전통적 도제제도와 유사하게, 교실 수업과 현장 멘터에 의한 구조화된 현장경험학습(work-based learning)을 결합한다. 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은 고등학교 졸업장과 기술 자격증을 동시에 취득하게 된다.
둘째, 테크 프?(Tech-Prep)은 위스콘신주 모든 학교구에서 시행된다. 위스콘신주에서는 모든 고등학생을 위한 통합적 학교중심 교육프로그램(school-based program)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통합교육과정, hands on learning, 고도화된 진로지도, career mapping(진로 목적과 성취전략을 글로 적은 계획), 기술교과, 중등이후교육과의 연계 등이 그 구체적인 노력의 성과들이다.
셋째, 위스콘신주에서는 독일의 “The Bundesanstalt fur Arbeit\"를 모델로 하여 지역 상담 센터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진로상담 네트워크는 모든 학생에게 노동시장 정보, job shadowing, 진로 탐색의 기회를 제공한다.
3. 위스콘신주의 “고용을 위한 교육”
위스콘신주가 학교-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시작한 것은 이미 오래 전의 일이다. 구체적으로 “고용을 위한 교육(Education for Employment)\" 프로그램은 1981년 파커펜회사(Parker Pen Company)의 파커(George Parker)와 주 교육감인 그로버(Herbert J. Grover)가 만나 초중등학교에서 청소년들이 21세기 일의 세계를 잘 준비하도록 하기 위한 논의를 한 것을 계기로 5년간의 Parker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 프로젝트의 결과로 1985년에 종합적인 ”고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입법과 1985-1987년 예산 및 $500,000의 demonstration grants가 통과되었고 1986년에 행정 규칙이 공포되었다. 이에 따라 이 프로그램은 모든 학교구에서 시행되게 되었다.
“고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모든 K-12 학생들이 “고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 ②적어도 50%의 기업주를 포함하는 “고용을 위한 교육” 위원회 조직을 구성한다. ③“고용을 위한 교육” 위원회가 수립하는 교육계획에는 학생의 요구와 관심, 교육기회평등, 노동시장 정보, 경제발전과 직업창출, 주기적 졸업생 조사, 교육프로그램 평가와 staff development 요구조사 등을 포함한다. ④“고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조정할 전문가를 임용한다. ⑤K-12 모든 학생에게 인문과정에서 배운 지식을 현장에 적용하고 직업과정에서 기초적인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가르친다. ⑥모든 청소년들이 학교가 관리하는 일의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⑦K-12에서 진로 탐색, 계획, 결정에 관한 통합된 교육과정과 5-8학년에 한 학기 코스를 개발한다. ⑧K-12에서 취업을 위한 기술과 태도에 관한 통합된 교육과정을 제공한다. ⑨K-12의 모든 학생들에게 사업을 시작하고 운영하는 필요한 기업가 정신과 지식을 포함하는 경제학의 현실 적용과 미국 경제제도에 관한 통합된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⑩노동시장 정보, 졸업생 조사, 취업 요구 등에 기초한 일련의 교육과정을 7-12학년 직업교육 프로그램에서 제공한다. ⑪교육과 산업계의 연계를 위해 기업과 교육 파트너쉽 위원회(Business and Education Partnership Council)를 설립한다. ⑫“고용을 위한 교육”과 다른 교육기준들, 졸업필수요건, 중도탈락위기학생 프로그램, JTPA 프로그램을 통합 조정한다.
결국, “고용을 위한 교육”은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들을 개발하기 위한 개념적, 정책적 틀과 통합적인 비전을 제시한다. 그럼으로써 청소년들이 일의 세계를 적절히 준비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주의 경제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참고문헌
김태길, 존 듀이의 사회철학, 태양문화사, 1978
권락원, 21세기를 대비하는 미국의 교육개혁안, 교학사, 1984
경상남도 교육청, 세계 각국의 교육과정 : 총론 비교, 교육인적자원부 경상남도교육청, 2008
박옥춘 외, 미국의 교육제도와 교육정책의 수립 및 진행, 한국교육개발원, 2003
심미혜, 미국교육과 아메리칸 커피, 솔, 2001
이홍우, 죤 듀이의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과학사, 1988
정일환·한일조, 미국의 교육제도와 교육개혁의 동향, 교육과학사, 1995
2) 프로그램
위스콘신주에서 학교-직업세계 이행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유치원서부터 고등학생에 이르는 모든 K-12 학생들에게 현장적용과 경험교육, 그리고 진로 탐색 교육을 필수화하여 실시한다. 이 프로그램을 “고용을 위한 교육(Education for Employment)”이라고 하는데,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절에서 제시한다.
둘째, 위스콘신주에서는 교사를 훈련시키는 접근법(train-the-trainer approach)를 강조한다. 즉, 다양한 교사교육 및 재교육을 통해 현장적용 및 통합적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구체적 실시 방법 등에 관한 학습 기회 제공을 한다. 이를 위해 주의 기술대학(Technical College)과 위스콘신대학교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셋째, 위스콘신주에서는 기존의 교육, 고용, 훈련 프로그램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다. “전환 전략(conversion strategy)\"을 통해 학교-직업세계 이행의 종합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기존의 산학협동교육, 도제제도, JTPA 재정지원 프로그램들을 School-to-Work Opportunities Act의 주요한 요소들에 따라 통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위스콘신주의 학교-직업세계 이행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도제제도(Youth Apprenticeship)는 인쇄업 분야에서 청년도제제도를 위한 기술표준(skill standards)을 설정하면서 시작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유럽의 전통적 도제제도와 유사하게, 교실 수업과 현장 멘터에 의한 구조화된 현장경험학습(work-based learning)을 결합한다. 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은 고등학교 졸업장과 기술 자격증을 동시에 취득하게 된다.
둘째, 테크 프?(Tech-Prep)은 위스콘신주 모든 학교구에서 시행된다. 위스콘신주에서는 모든 고등학생을 위한 통합적 학교중심 교육프로그램(school-based program)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통합교육과정, hands on learning, 고도화된 진로지도, career mapping(진로 목적과 성취전략을 글로 적은 계획), 기술교과, 중등이후교육과의 연계 등이 그 구체적인 노력의 성과들이다.
셋째, 위스콘신주에서는 독일의 “The Bundesanstalt fur Arbeit\"를 모델로 하여 지역 상담 센터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진로상담 네트워크는 모든 학생에게 노동시장 정보, job shadowing, 진로 탐색의 기회를 제공한다.
3. 위스콘신주의 “고용을 위한 교육”
위스콘신주가 학교-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시작한 것은 이미 오래 전의 일이다. 구체적으로 “고용을 위한 교육(Education for Employment)\" 프로그램은 1981년 파커펜회사(Parker Pen Company)의 파커(George Parker)와 주 교육감인 그로버(Herbert J. Grover)가 만나 초중등학교에서 청소년들이 21세기 일의 세계를 잘 준비하도록 하기 위한 논의를 한 것을 계기로 5년간의 Parker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 프로젝트의 결과로 1985년에 종합적인 ”고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입법과 1985-1987년 예산 및 $500,000의 demonstration grants가 통과되었고 1986년에 행정 규칙이 공포되었다. 이에 따라 이 프로그램은 모든 학교구에서 시행되게 되었다.
“고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모든 K-12 학생들이 “고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 ②적어도 50%의 기업주를 포함하는 “고용을 위한 교육” 위원회 조직을 구성한다. ③“고용을 위한 교육” 위원회가 수립하는 교육계획에는 학생의 요구와 관심, 교육기회평등, 노동시장 정보, 경제발전과 직업창출, 주기적 졸업생 조사, 교육프로그램 평가와 staff development 요구조사 등을 포함한다. ④“고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조정할 전문가를 임용한다. ⑤K-12 모든 학생에게 인문과정에서 배운 지식을 현장에 적용하고 직업과정에서 기초적인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가르친다. ⑥모든 청소년들이 학교가 관리하는 일의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⑦K-12에서 진로 탐색, 계획, 결정에 관한 통합된 교육과정과 5-8학년에 한 학기 코스를 개발한다. ⑧K-12에서 취업을 위한 기술과 태도에 관한 통합된 교육과정을 제공한다. ⑨K-12의 모든 학생들에게 사업을 시작하고 운영하는 필요한 기업가 정신과 지식을 포함하는 경제학의 현실 적용과 미국 경제제도에 관한 통합된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⑩노동시장 정보, 졸업생 조사, 취업 요구 등에 기초한 일련의 교육과정을 7-12학년 직업교육 프로그램에서 제공한다. ⑪교육과 산업계의 연계를 위해 기업과 교육 파트너쉽 위원회(Business and Education Partnership Council)를 설립한다. ⑫“고용을 위한 교육”과 다른 교육기준들, 졸업필수요건, 중도탈락위기학생 프로그램, JTPA 프로그램을 통합 조정한다.
결국, “고용을 위한 교육”은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들을 개발하기 위한 개념적, 정책적 틀과 통합적인 비전을 제시한다. 그럼으로써 청소년들이 일의 세계를 적절히 준비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주의 경제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참고문헌
김태길, 존 듀이의 사회철학, 태양문화사, 1978
권락원, 21세기를 대비하는 미국의 교육개혁안, 교학사, 1984
경상남도 교육청, 세계 각국의 교육과정 : 총론 비교, 교육인적자원부 경상남도교육청, 2008
박옥춘 외, 미국의 교육제도와 교육정책의 수립 및 진행, 한국교육개발원, 2003
심미혜, 미국교육과 아메리칸 커피, 솔, 2001
이홍우, 죤 듀이의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과학사, 1988
정일환·한일조, 미국의 교육제도와 교육개혁의 동향, 교육과학사, 1995
추천자료
[발명교육][발명교육 기법][미국 발명교육 사례][발명교육 개선 과제]발명교육의 목표, 발명...
[원격교육][미국 원격교육 사례][한국 원격교육 사례]원격교육의 개념, 원격교육의 특징과 원...
[특수교육]미국의 특수학교교육과정(장애인교육), 독일의 특수학교교육과정(장애인교육), 뉴...
[미국 교육문화][미국 영화문화][미국 자동차문화][미국 결혼문화][미국 스포츠문화][미국문...
영재교육프로그램, 영재교육, 한국 영재교육과정 사례, 미국 영재교육과정 사례, 중국 영재교...
[인격교육][인격교육 필요성][인격교육 배경][인격교육 목표][미국 인격교육 사례][인격교육 ...
[인격교육][인격교육 특성][인격교육 원리][인격교육 접근방법][미국 인격교육 사례][인격교...
[발명교육][미국 발명교육 사례][발명교육 활성화방안]발명교육의 필요성, 발명교육의 내용, ...
[교육위원회][교육위원회 조직][교육위원회 임기][미국 교육위원회 사례]교육위원회의 필요성...
[평화교육][평화교육의 방법론][평화교육의 제고 방안][미국친우봉사회]평화교육의 정의, 평...
[성교육][미국의 성교육 사례][성교육의 활성화과제]성교육의 개념, 성교육의 목표, 성교육의...
[미술교육][미국 미술교육 사례][미술교육 발전과제]미술교육의 개념, 미술교육의 동향, 미술...
교육감제지방분권,미국영국일본의 교육감 협의체 사례분석,미영일교육갑협의체,한국의교육감...
[법교육론] 미국의 법교육 현황 - 미국 법교육의 도입과 발전, 법교육의 개념과 목표, 법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