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교육][미국 미술교육 사례][미술교육 발전과제]미술교육의 개념, 미술교육의 동향, 미술교육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미술교육의 관점, 미술교육의 문제점, 미국의 미술교육 사례, 미술교육의 발전 과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술교육][미국 미술교육 사례][미술교육 발전과제]미술교육의 개념, 미술교육의 동향, 미술교육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미술교육의 관점, 미술교육의 문제점, 미국의 미술교육 사례, 미술교육의 발전 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미술교육의 개념

Ⅲ. 미술교육의 동향
1. 로웬펠드(V. Lowenfeld)
2. 아이스너(Eisner)
3. DBAE(Disciplin-Based Art Education)
4. 현대미술과 아동미술과의 관계

Ⅳ. 미술교육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Ⅴ. 미술교육의 관점
1. 전통적 관점
1) 우리에게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견해는 정서 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이다
2) 주로 60년대부터 제기된 주장으로서 창조성의 육성을 위한 미술 교육이다
3) 여러 형태의 미술 활동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만들고 그리는 등의 이른바 표현 능력을 기른다는 관점이다
2. 다른 시각에서 본 미술 교육의 관점
1) 인간학적 관점이다
2) 인간 심리학적 관점이다

Ⅵ. 미술교육의 문제점

Ⅶ. 미국의 미술교육 사례

Ⅷ. 미술교육의 발전 과제
1. 사회의 예술에 대한 인식의 전환
2. 학원교육의 정상화
3. 미술관, 화랑의 사업 개선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화와 연관시켜 미술 이해하기, 자신과 타인의 작품 간에 특징과 장점을 생각하고 판단하기, 미술과 다른 학문 통합하기의 여섯 개의 내용 기준에 따라 세 개의 학년군별, 유치원~4학년, 5학년~8학년, 9학년~12학년으로 각 단계의 성취 기준을 지시하고 있다. 여섯 개의 내용 기준에는 표현 자체보다는 표현의 시작과 과정, 미술과 표현을 통한 이해가 어떤 교육적 효율성을 지니는지에 대한 내용이 강조되어 있다. 이러한 내용들은 구체적이며 사실적이기보다는 개념적으로 규정된 것이기 때문에 교재개발 시 자율성과 다양성을 발휘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이 기준은 학생 스스로의 사고나 느낌 및 감정 등을 미술 활동을 통하여 나타내고 스스로의 노력에 따른 결과가 지니는 장점을 평가하기 위하여 주제 상징 및 의미가 담긴 이미지 등 시각적인 표현의 넓은 범위를 활용하여 평가함으로써 미술의 특징을 이해하고 학습하기 위한 체제를 제공한다. 이를 토대로 가장 영향력이 있는 캘리포니아 주에서 1989년에 공포한 K-12용 미술과 교육과정의 교재를 채택하여 미술과 목표를 살펴보면, 대상의 미를 보는 학습Aesthetics, 창조적인 작품제작의 경험Art production, 미술문화유산의 이해 Art History, 그리고 미술품의 비평 Art Criticism 등으로 제시되어 있으며 각각의 목표아래 세부적인 하위목표들이 제시되어 있다. 미국의 미술교육은 이러한 목표아래 총체적 미술교육방법인DBAE(Discipline- Based Art education) 프로그램에 그 맥락을 같이한다. DBAE는 작품제작활동 Art production, 미술사 Art history,미학Aesthetics, 미술비평Art criticism의 네 분야가 미술교과 안에서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어 연속적, 체계적인 커리큘럼 내에서 교육되어지는 것이다. 내용 기준과 성취기준이 우리처럼 상세화 되어 있지 않으며 구체적이며 사실적 요소의 나열보다는 개념적인 면에서 규정된 것이 많다. 자발적인 선택과 효율성 및 다양성의 추구가 미국 미술교과서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이다. 미국에서 DBAE는 여러 학술연구와 실습과정을 통해 교육적 효율성이 증명되고 널리 응용되고 있다. 따라서 DBAE는 미술교육의 필수적인 요소로 보고 있으며 캘리포니아에서는 미술교사들이 이 네 영역을 잘 이해하고 학생들이 경험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학자들의 시각에 따라 다른 입장을 주장하기도 하며, DBAE교육에만 머물러 있지 않고, BBVE와 같이 현대미술을 이해하는 수단과 미래 지향적 전망을 제시하는 새로운 미술교육방법이 등장하고 있다. 미국의 미술교육은 인간의 품성을 함양시키고 개인의 창조성을 존중하는데 그 골격을 두고 있으며 미술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아이디어 개념, 이슈, 딜레마, 지식을 경험함에 따른 발전과 성취를 특히 강조하고 있다. 즉 미술활동에서 경험하고 축적된 지식과 기술을 학교의 범주를 넘어 사회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기법 접근 방법 및 습관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Ⅷ. 미술교육의 발전 과제
1. 사회의 예술에 대한 인식의 전환
예술은 다시 대중과 만나야 한다. 대중은 다시 예술이 존재지향적 삶의 한 대표적 상징임을 재인식 해야 한다. 예술 교육 역시 잘 먹고 잘살기 위한 소유지향적 수단으로서의 교육이 아닌 우리에게 필요한 새로운 삶의 방식을 찾게 하는 두 인식(논리적, 직관적)의 방식 가운데 하나임을 재인식해야한다
2. 학원교육의 정상화
프로그램이나 교사의 질이 교육적 기대에 전혀 미치지 못한다.
3. 미술관, 화랑의 사업 개선
박물관, 미술관, 화랑을 찾는 고객들에게 교사로서 좁게는 미술품을 소개하고 넓게는 예술교육을 하는 일, 이를 위해 문화체육부에서는 사업을 체계화하고 일관성 있게 행·재정적으로 선도 지원해야한다. 그래서 이러한 시설들이 학교 미술교육의 공간으로 확대되고 교사의 수업을 도울 수 있도록 각종 자료, 기자재, 전시공간을 빌려 쓸 수 있게 하고, 관련인사의 초빙이 손쉽도록 해야 할 것이다
Ⅸ. 결론
우리는 교육을 하고 받으면서 그 활동을 통해서 어떠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지금 이사회는 기다림을 못 견뎌 하며 즉각적이기 때문에 동기나 과정은 별 의미가 없고 눈에 확연히 드러나는 결과를 최우선으로 여겨 미술교육에 있어서도 내용보다는 실적위주의 교육이 판을 친다. 따라서 학교 내에서는 각종 사생대회나 포스터 공모전, 교내 전시회에서 두드러지는 성과를 못 내면 실력 없는 교사로 낙인찍힌다. 그러다 보니 아직까지 학교 미술 수업이 그것들을 준비하기 위한 시간으로 활용되고 솜씨 있는 몇 명의 아이들을 위해서 다수의 아이들이 희생되고 있다. 그러므로 일반인에게 미술수업시간은 악몽의 시간이고 미술은 솜씨 있는 소수의 사람만 하는 특별한 분야로 자리잡게 된다. 게다가 그리기나 만들기가 미술의 전부인양 생각하는 사람 또한 비일비재하다. 그러니 고등학교를 졸업함과 동시에 미술과는 작별이다. 평소 음악을 듣고, 음악회나 콘서트는 즐겨 찾아다니면서, 무료로 개방된 미술관은 발길이 뜸한 현상은 공교육에서 미술교육이 잘 못 되었다는 것을 말해주는 단적인 예이다.
이제는 무작정 따라하는 미술교육이 아니라 “왜?”라는 의문을 가지고 미술교육의 방향이 새롭게 자리 잡았으면 한다. 그런 의미에서 “공공미술”에서 의의를 두는 대중들에게 얼마만큼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반응하게 하는가는 아주 중요한 핵심이다. 또한 주제를 사회적 이슈, 정치적 이해, 사람들 간의 친교와 소통의 문제, 생태 환경 등등 우리 삶과 밀접한 곳에서 찾는 것은 미술을 위한 미술이 아니라 삶을 위한 미술로 그렇게 전환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 교육부(1992), 미술3, 국정교과서주식회사
○ 김경자(2001), 21가지 테마로 보는 우리 미술, 다른 세상
○ 김재복(1997), 미술과의 수업과 평가, 서울 : 일지사
○ 손병길(2001), ICT활용 교육의 방향
○ 한국교원대학교(1994), 미술교육의 이해와 실제, 한국교원대학교
○ 한국미술교과교육학회(2002), 마음을 여는 미술활동, 예경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10.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90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