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녹농균에 대하여...
♣녹녹균이란??
진정세균류, 슈도모나스과의 세균.
학명 Pseudomonas aeruginosa
♣중이염이란?
☞ 중이의 구조와 기능
☞ 중이염의 원인과 분류
A. 급성 중이염
B. 삼출성 중이염
C. 만성 중이염
D. 진주종성 중이염
E. 유착성 중이염
♣녹녹균이란??
진정세균류, 슈도모나스과의 세균.
학명 Pseudomonas aeruginosa
♣중이염이란?
☞ 중이의 구조와 기능
☞ 중이염의 원인과 분류
A. 급성 중이염
B. 삼출성 중이염
C. 만성 중이염
D. 진주종성 중이염
E. 유착성 중이염
본문내용
하는 것이 보통이나 점차 진행하게 되면 주위 조직을 파괴하며 커지게 된다. 심한 경우에는 청력이 떨어지거나 어지러움증이 생길 수도 있으며 때로는 안면신경 마비가 올 수도 있다.
E. 유착성 중이염
고막이 중이의 구조들과 유착되어있는 모양이다. 정상인의 귀에서는 고막과 그 안쪽에 있는 달팽이관 사이에 적정량의 공기가 포함되어 있는 공간이 존재한다. 이 공기는 아주 조금씩 몸안으로 흡수되며 그 부족량은 이관을 통하여 계속 채워지는 것이 정상이다. 만약 어떤 원인에 의해서 이관의 기능이 떨어지면, 고막 안은 저기압 상태가 되고 이것이 계속되면 결국 고막은 안으로 끌려 들어가 달팽이관에 들러붙게 된다. 이렇게 되면 귀안이 답답하고 청력이 떨어지며 때로는 귀에서 진물이 나오기도 합니다.이것이 유착성 중이염이다.
E. 유착성 중이염
고막이 중이의 구조들과 유착되어있는 모양이다. 정상인의 귀에서는 고막과 그 안쪽에 있는 달팽이관 사이에 적정량의 공기가 포함되어 있는 공간이 존재한다. 이 공기는 아주 조금씩 몸안으로 흡수되며 그 부족량은 이관을 통하여 계속 채워지는 것이 정상이다. 만약 어떤 원인에 의해서 이관의 기능이 떨어지면, 고막 안은 저기압 상태가 되고 이것이 계속되면 결국 고막은 안으로 끌려 들어가 달팽이관에 들러붙게 된다. 이렇게 되면 귀안이 답답하고 청력이 떨어지며 때로는 귀에서 진물이 나오기도 합니다.이것이 유착성 중이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