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화용론의 정의
1. 용어 정의
2. 화용론의 정의
3. 화용론의 발달
4. 화용론의 분야
5. 텍스트와 담화의 차이점
Ⅱ상황맥락의 의미
1. 화용론적 활용의 기본개념
2. 화용론적 활용의 구조
3. 화용론적 활용의 유형
Ⅲ화용론의 원리
1.협동원리
2.협동원리의 제고
1. 용어 정의
2. 화용론의 정의
3. 화용론의 발달
4. 화용론의 분야
5. 텍스트와 담화의 차이점
Ⅱ상황맥락의 의미
1. 화용론적 활용의 기본개념
2. 화용론적 활용의 구조
3. 화용론적 활용의 유형
Ⅲ화용론의 원리
1.협동원리
2.협동원리의 제고
본문내용
동이나 관련 성과 같은 결정적인 용어들조차 정의되고 있지 않다는 점과 격률들의 기원도 설명이 안됨.
둘째, Grice의 이론을 보다 설득력있게 만들기 위해서는 다른 격률이나 보충원리가 있어 야 한다.
셋째, 간점화행이나 반어, 은유 등과 같은 격률의 위반과 관련되는 결과들을 충분히 설명 하지 못한다.
넷째, Grice의 이론과 그와 관련된 연구들이 통일된 이론적 체게를 제공하지 못한다.
⇒이 협동원리는 그동안 폭넓은 지지를 받으면서 많은 논저에서 인용되어 왔다. 만일 화자와 청자가 이러한 원리를 지킨다면 대화에서 어떤 오해나 갈등도 생기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협동이론에 이어서 나온 것이 “체면론(face Theory)”이다. 맨처음 Erving Goffman(1976)에 의해 사용된 ‘체면’은 한국어와 일본어의 경어법에서 도출된 이론인데 이는 그 뒤 Levinson(1983), Leech(1983)에 의해 제창된 “존대 원리(Politeness Principle)"
이다. 이들은 협동원리보다 더 중요한 것은 체면이나 ‘존대법’이라는 것이다. 즉 그 언어공동체마다 그 사회에서 요구하는 대화원리가 있는데, 이것은 화자와 청자간에 지켜야 할 존대법이라는 것이다. 즉 그 언어문화에 따라 대화원리가 다르다는 것이다.
한국어의 경우에도 상대방에게 단 한 문장을 발화하려고 해도 경어법에 맞아야한다. 이 경어법은 곧 화자와 청자의 관계와 대화장소와 때에 따라 달라야 하기 때문에 위의 협동원리 이전에 경어법이 결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언어 사용이란 워낙 인간의 창의력이 발휘되는 행위여서 이러한 틀에 맞춰서만 말할 수 없고, 상황에 따라, 혹은 대화자의 대화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전략이 사용되기 때문에 고의적으로 이러한 원리를 위반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위의 협동원리는 여전히 원만한 대화를 위한 매우 유용한 원리도 평가된다.
화용의미론은 최근으로 올수록 주목받고 있는 언어학 분야이다. 순수 언어학이 언어 자체의 구조와 역사에 관한 학문이라면 화용론은 그러한 구조를 가진 언어가 실제로 언중들 사이에서 어떻게 사용되어지고, 이해되는가를 밝혀보려는 언어의 사용면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화용론은 언어가 진공 상태에 단지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언중들 사이에서 ‘사용’됨으로써 언어의 가치와 기능을 발휘한다는 기본 전제에서 출발한다.
*참고문헌
1.책
고영근·남기심 공편(1983), <국어의 통사·의미론>, 서울: 탑출판사.
김종택(1984), <국어화용론>, 서울: 형설출판사.
김태옥·이현호 역(1991), <담화·텍스트언어학 입문>, 서울: 양영각.
김태옥·이현호 역(1993), <인지적 화용론>, 서울: 한신문화사.
장석진(1985), <화용론 연구>, 서울: 탑출판사.
조숙환·이현호 편(1992), <언어학과 인지>, 서울: 한국문화사.
박순영(1999)「한국어 문법 교육론」,박이정
오주영(1998) 「화용론 의미해석」경성대학교출판부
이성영(1995) 「국어교육의 내용 연구」서울대학교출판부
2.논문
유송영(1997), “국어 청자 대우 어미의 교체 사용과 청자 대우법 체계: 힘과 유대의 정 도성에 의한 담화 분석적 접근”, 고려대 박사학위 논문.
(2002년) 국어지식의 화용론적 활용을 위한 지도내용 및 방향 연구
한국학회(1984)국어의 담화와 문장에 특성 비교
학국저널 한국어문학회 화용의미론 방향과 과제
이형직 대화 함축의 화용론적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김하수 언어 행위와 듣는이의 상호에 관한 화용론적 분석
길선영 (2002) 국어 지식의 화용론적 활용을 위한 지도내용 및 방법연구「초등국어교육」
3. 사전
사전- 「국어 교육학 사전」대교출판
둘째, Grice의 이론을 보다 설득력있게 만들기 위해서는 다른 격률이나 보충원리가 있어 야 한다.
셋째, 간점화행이나 반어, 은유 등과 같은 격률의 위반과 관련되는 결과들을 충분히 설명 하지 못한다.
넷째, Grice의 이론과 그와 관련된 연구들이 통일된 이론적 체게를 제공하지 못한다.
⇒이 협동원리는 그동안 폭넓은 지지를 받으면서 많은 논저에서 인용되어 왔다. 만일 화자와 청자가 이러한 원리를 지킨다면 대화에서 어떤 오해나 갈등도 생기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협동이론에 이어서 나온 것이 “체면론(face Theory)”이다. 맨처음 Erving Goffman(1976)에 의해 사용된 ‘체면’은 한국어와 일본어의 경어법에서 도출된 이론인데 이는 그 뒤 Levinson(1983), Leech(1983)에 의해 제창된 “존대 원리(Politeness Principle)"
이다. 이들은 협동원리보다 더 중요한 것은 체면이나 ‘존대법’이라는 것이다. 즉 그 언어공동체마다 그 사회에서 요구하는 대화원리가 있는데, 이것은 화자와 청자간에 지켜야 할 존대법이라는 것이다. 즉 그 언어문화에 따라 대화원리가 다르다는 것이다.
한국어의 경우에도 상대방에게 단 한 문장을 발화하려고 해도 경어법에 맞아야한다. 이 경어법은 곧 화자와 청자의 관계와 대화장소와 때에 따라 달라야 하기 때문에 위의 협동원리 이전에 경어법이 결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언어 사용이란 워낙 인간의 창의력이 발휘되는 행위여서 이러한 틀에 맞춰서만 말할 수 없고, 상황에 따라, 혹은 대화자의 대화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전략이 사용되기 때문에 고의적으로 이러한 원리를 위반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위의 협동원리는 여전히 원만한 대화를 위한 매우 유용한 원리도 평가된다.
화용의미론은 최근으로 올수록 주목받고 있는 언어학 분야이다. 순수 언어학이 언어 자체의 구조와 역사에 관한 학문이라면 화용론은 그러한 구조를 가진 언어가 실제로 언중들 사이에서 어떻게 사용되어지고, 이해되는가를 밝혀보려는 언어의 사용면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화용론은 언어가 진공 상태에 단지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언중들 사이에서 ‘사용’됨으로써 언어의 가치와 기능을 발휘한다는 기본 전제에서 출발한다.
*참고문헌
1.책
고영근·남기심 공편(1983), <국어의 통사·의미론>, 서울: 탑출판사.
김종택(1984), <국어화용론>, 서울: 형설출판사.
김태옥·이현호 역(1991), <담화·텍스트언어학 입문>, 서울: 양영각.
김태옥·이현호 역(1993), <인지적 화용론>, 서울: 한신문화사.
장석진(1985), <화용론 연구>, 서울: 탑출판사.
조숙환·이현호 편(1992), <언어학과 인지>, 서울: 한국문화사.
박순영(1999)「한국어 문법 교육론」,박이정
오주영(1998) 「화용론 의미해석」경성대학교출판부
이성영(1995) 「국어교육의 내용 연구」서울대학교출판부
2.논문
유송영(1997), “국어 청자 대우 어미의 교체 사용과 청자 대우법 체계: 힘과 유대의 정 도성에 의한 담화 분석적 접근”, 고려대 박사학위 논문.
(2002년) 국어지식의 화용론적 활용을 위한 지도내용 및 방향 연구
한국학회(1984)국어의 담화와 문장에 특성 비교
학국저널 한국어문학회 화용의미론 방향과 과제
이형직 대화 함축의 화용론적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김하수 언어 행위와 듣는이의 상호에 관한 화용론적 분석
길선영 (2002) 국어 지식의 화용론적 활용을 위한 지도내용 및 방법연구「초등국어교육」
3. 사전
사전- 「국어 교육학 사전」대교출판
추천자료
[유아사회교육B형]도덕성발달에 관한 이론들을 비교정리하고, 유치원과 가정에서 활용할 수 ...
[구성주의][구성주의 이론][구성주의 교수학습방법][구성주의교육]구성주의의 정의, 구성주의...
사회과 (경제 시장가격의 결정) 협동학습 모형을 통한 연구 수업 지도안
중학교(중등) 도덕과(도덕교육)의 성격과 목표, 중학교(중등) 도덕과(도덕교육)의 지도원리, ...
조정력과 협동력을 기르기 위한 수업
[구성주의이론][구성주의학습이론]구성주의이론(구성주의학습이론) 기본전제, 구성주의이론(...
활동중심학습(수업)프로그램 사례, 통일협동학습(수업)프로그램 사례, 자기주도적학습(수업)...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돕는 협동활동 프로그램
평화적 갈등해결의 이해 (갈등의 개념, 갈등대응방법 및 종류, 평화적 갈등해결의 기본적 관...
[카미 드브리스의 교육과정] 카미-드브리스 교육 목표, 카미 드브리스 교육 내용, 카미 드브...
학습지도안 작성 - 방송 댄스를 통한 협동심과 경쟁심 제고와 다이어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 평생교육 프로그램(Lifelong Education Program)의 기획 (프로그...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B형)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