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한 인간관계를 떠나서 생활을 즐길 수 있는 여가의 시간도 극히 짧다. 마거리트 미드 여사는 "문화의 발전은 어느 정도 그 여가의 형태에 힘입는다."라고 하였지만, 현대사회에 있어서는 이러한 여가의 형태 자체도 대중화해 버린다. 이들은 짧은 여가에 누적된 생활의 긴장감, 압박감을 풀어 주고, 효과 있게 놀고 즐기고 싶다는 펀 모럴리티를 갖는다. 이러한 대중사회에 있어서는 매스 레저의 형태도 조직화하고 기능화 되어 있다. 이러한 짧은 여가와 시간에 가장 억눌린 자아를 해방해 주고 즐겁게 해 주는 것이 영화이기도 하다. 여기에서 많은 경우 대중의 영화감상은 여가의 소비형태이므로 그러한 오락심리에 의한 욕구가 밑바닥에 깔려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현대사회 독특한 매스레저의 성격으로서 영화의 오락성이 더욱 강조되는 것이다.
이리하여 영화기업은 일부에서는 오락산업이라는 말을 듣게도 만들었다. 그래서 결국 사회와 영화는 야쪽에서 함께 불만을 표시하는 기묘한 모순을 내포하고 있다. 즉 영화제작자나 영화작가, 감독들은 좋은 예술영화를 만들고 싶으면서도 대중의 펀 모럴리티에 영합하게 된다.
한편 사회에는 좋은 영화에 의한 정화가 필요하면서도 매스 소사이어티의 역학적 현상에 의하여 오락성으로 폭주하는 것을 볼 수 있게 된다.
결국 문제 자체는, 영화의 제작 시스템 자체가 현대 사회구조의 한 블럭이라는 점을 포함해서 현대사회 자체가 지닌 대량생산 시대의 맹목적인 폭주와 모순이라고 하겠다.
이와 같은 사실은 영화와 사회가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자칫하면 영화의 존재방식이 현대사회 자체의 심각한 불안과 겉잡을 수 없는 불만으로 인한혼란을 반영하는 듯한 현상을 반증하는 것으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매스 소사이어티에 있어서는 시대의 정신, 세계관, 윤리사상, 미에 의한 정화와 승화를 기대하고 영향을 줄수 있는 예술양식은 상실되어 가고 있다. 포크너나 사르트르를 아는 대중은 얼마나 있을 것인가? 드뷔시나 스트라빈스키를 아는 대중은 얼마나 있을것이가? 그들은 현대의 위대한 예술가들이자만, 그들은 다만 일군의 문학적, 또는 음악적 독자와 청중에게 알려져 잇는 데에 그치는 것이다. 거듭 말해서 영화는 20세기의 예술이며, 20세기의 시라고 하겠다. 영화와 현대사회는 그 시발점에서 하나의 모태를 가진것이다. 그러나 대량화한 현대사회의 컬렉티비즘이 영화예술을 위협한다. 윌리엄 와일러가 만든 <우리들 생애 최고의 해>는 2차대전 후의 미국 사회의 혼란과 복귀한 군인들의 가정, 그 상처와 새로운 희망을 조찰하게 묘파하였다. 쓰라린 상처와 반성, 그리고 새로운 모럴을 제시한 이 작품은 미국 뿐만 아니라, 전세계에 커다란 전후처리의 처방이 되었었다. 이와 같이 영화에서 받은 진실하고 다대한 미적 체험에 의한 승화에도 불구하고 영화는 참된 예술성을 잃게 되는 현대사회 자체의 모순에 의하여 부단한 위협에 놓여 있는 실정이다.
영화가 예술성을 상실하여 버리면 그것은 다만 하나의 오락수단이며, 음주나 나이트클럽이나 성유회나 마찬가지로 여가를 소모하는 것일 뿐이다.
이리하여 영화기업은 일부에서는 오락산업이라는 말을 듣게도 만들었다. 그래서 결국 사회와 영화는 야쪽에서 함께 불만을 표시하는 기묘한 모순을 내포하고 있다. 즉 영화제작자나 영화작가, 감독들은 좋은 예술영화를 만들고 싶으면서도 대중의 펀 모럴리티에 영합하게 된다.
한편 사회에는 좋은 영화에 의한 정화가 필요하면서도 매스 소사이어티의 역학적 현상에 의하여 오락성으로 폭주하는 것을 볼 수 있게 된다.
결국 문제 자체는, 영화의 제작 시스템 자체가 현대 사회구조의 한 블럭이라는 점을 포함해서 현대사회 자체가 지닌 대량생산 시대의 맹목적인 폭주와 모순이라고 하겠다.
이와 같은 사실은 영화와 사회가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자칫하면 영화의 존재방식이 현대사회 자체의 심각한 불안과 겉잡을 수 없는 불만으로 인한혼란을 반영하는 듯한 현상을 반증하는 것으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매스 소사이어티에 있어서는 시대의 정신, 세계관, 윤리사상, 미에 의한 정화와 승화를 기대하고 영향을 줄수 있는 예술양식은 상실되어 가고 있다. 포크너나 사르트르를 아는 대중은 얼마나 있을 것인가? 드뷔시나 스트라빈스키를 아는 대중은 얼마나 있을것이가? 그들은 현대의 위대한 예술가들이자만, 그들은 다만 일군의 문학적, 또는 음악적 독자와 청중에게 알려져 잇는 데에 그치는 것이다. 거듭 말해서 영화는 20세기의 예술이며, 20세기의 시라고 하겠다. 영화와 현대사회는 그 시발점에서 하나의 모태를 가진것이다. 그러나 대량화한 현대사회의 컬렉티비즘이 영화예술을 위협한다. 윌리엄 와일러가 만든 <우리들 생애 최고의 해>는 2차대전 후의 미국 사회의 혼란과 복귀한 군인들의 가정, 그 상처와 새로운 희망을 조찰하게 묘파하였다. 쓰라린 상처와 반성, 그리고 새로운 모럴을 제시한 이 작품은 미국 뿐만 아니라, 전세계에 커다란 전후처리의 처방이 되었었다. 이와 같이 영화에서 받은 진실하고 다대한 미적 체험에 의한 승화에도 불구하고 영화는 참된 예술성을 잃게 되는 현대사회 자체의 모순에 의하여 부단한 위협에 놓여 있는 실정이다.
영화가 예술성을 상실하여 버리면 그것은 다만 하나의 오락수단이며, 음주나 나이트클럽이나 성유회나 마찬가지로 여가를 소모하는 것일 뿐이다.
추천자료
[최신A+우수자료]블랙[블랙 영화감상문][블랙 감상문][블랙 영화감상][영화 블랙][블랙감상문...
[올해최신A+자료]노트북[노트북 영화감상문][노트북 감상문][노트북 영화감상][영화 노트북][...
[올해최신A+자료]집으로[집으로 영화감상문][집으로 감상문][집으로 영화감상][가족영화 집으...
[최신A+자료][아바타 감상문] 영화 아바타[영화감상문 아바타][아바타영화감상문][영화아바타...
[올해최신A+자료]이프온리[이프온리 영화감상문][이프온리 감상문][이프온리 영화감상][영화 ...
[올해최신A+자료]내이름은칸 [내이름은칸 영화감상문][내이름은칸 영화감상][내이름은칸 감상...
[올해최신A+자료]데드맨워킹[데드맨 워킹 영화감상문][데드맨워킹영화감상문][사형제도 영화 ...
[올해최신A+자료]국가대표[국가대표영화감상문][영화감상-국가대표][스포츠영화감상문][국가...
[올해최신A+자료]델마와루이스[델마와 루이스 영화감상문][델마와 루이스 페미니즘영화 감상...
[우수평가자료A+]파워오브원 감상문[파워오브원 영화감상문][인종차별,인종갈등영화 파워오브...
[올해최신자료A+][마이너리티리포트감상문][SF영화 마이너리티리포트 영화감상문][마이너리티...
팍스 아메리카나 역사, 유래, 개념, 영화 300의 역사적 왜곡, 헐리웃 영화의 파급력, 영화 속...
[취미와예술][님아그강을건너지마오][독립영화] [취미로서의 영화: 영화란 무엇인가?]에 나오...
(취미와예술 B형)교재 7장 [취미로서의 영화: 영화란 무엇인가?]에 나오는 독립영화에 대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