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목 : 유리 세공
2. 이론/목적
3. 기구/시약 : 유리관(지름6mm), 석면, 세모줄(file), 가스버너, 보오라(borer), 실장갑, 고무관( 6mm), 30cm자, 기타
4. 실험 방법 :
2. 이론/목적
3. 기구/시약 : 유리관(지름6mm), 석면, 세모줄(file), 가스버너, 보오라(borer), 실장갑, 고무관( 6mm), 30cm자, 기타
4. 실험 방법 :
본문내용
에서 입으로 가 볍게 불면서 잡아 당겨서 이음매를 매끄럽 게 한다.
6) 한두번 더 ?번 조작을 반복한다.
- T자 혹은 Y자관 만드는 방법
1) 유리관 한쪽을 마개로 막는다.
2) 날카로운 불꽃 끝으로 접합하고자 하는 유리관의 한쪽부분을 집중적으로 가열하여 그림 3.6에서와 같이 유리가 녹아서 처지게 한다.
그림 6. T자 유리관 만드는 방법
3) 유리관을 불꽃에서 꺼내고 한쪽 끝으로부터 입으로 불어서 가열된 부분에 돌출부가 생기도록 한다.
4) 돌출부를 유리칼로 잘라낸다. 이때 생긴 구멍의 크기는 접합하고자 하는 유리관의 직경보다 작아야 한다.
5) 유리관의 남은 한쪽끝마저 마개로 막고, 구멍이 난 접합부분과 접합하려는 새로운 유리관을 눅눅해질 때까지 가열한다.
6) 불꽃으로부터 두 개의 관을 꺼내서 빨리 접합시킨 다음, 완전히 접합되면 약간 당 겨서 접합부분을 매끄럽게 한다.
7) 접합된 부분을 다시 가열하여 매끄럽게 하고 접합된 가지의 각도를 맞춘다.
- 씻기병 만들기
위에서 배운 방법을 이용하여 그림 3.9와 같은 씻기병을 250㎖ 삼각플라스크로 제조한다. 고무마개에 유리관을 끼우기 위하여 고무마개 면의 좁은 쪽을 위로 하고 유리관보다 약간 굵은 보오러를 선택하여 그 끝을 물에 적신 후 돌리면서 구멍을 뚫는다. 그림 에서 삼각플라스크 내의 굽은 유리관은 고무마개에 유리관을 끼운 후 만든다. 유리관을 고무마개에 끼울 때 손을 손수건으로 보호하고 고무마개와 유리관은 물로 적시고 사용해야 한다.
5. 참고 문헌
- 화학교재 편찬 위원회, 일반화학실험, 탐구당
- 한국사전연구사
6) 한두번 더 ?번 조작을 반복한다.
- T자 혹은 Y자관 만드는 방법
1) 유리관 한쪽을 마개로 막는다.
2) 날카로운 불꽃 끝으로 접합하고자 하는 유리관의 한쪽부분을 집중적으로 가열하여 그림 3.6에서와 같이 유리가 녹아서 처지게 한다.
그림 6. T자 유리관 만드는 방법
3) 유리관을 불꽃에서 꺼내고 한쪽 끝으로부터 입으로 불어서 가열된 부분에 돌출부가 생기도록 한다.
4) 돌출부를 유리칼로 잘라낸다. 이때 생긴 구멍의 크기는 접합하고자 하는 유리관의 직경보다 작아야 한다.
5) 유리관의 남은 한쪽끝마저 마개로 막고, 구멍이 난 접합부분과 접합하려는 새로운 유리관을 눅눅해질 때까지 가열한다.
6) 불꽃으로부터 두 개의 관을 꺼내서 빨리 접합시킨 다음, 완전히 접합되면 약간 당 겨서 접합부분을 매끄럽게 한다.
7) 접합된 부분을 다시 가열하여 매끄럽게 하고 접합된 가지의 각도를 맞춘다.
- 씻기병 만들기
위에서 배운 방법을 이용하여 그림 3.9와 같은 씻기병을 250㎖ 삼각플라스크로 제조한다. 고무마개에 유리관을 끼우기 위하여 고무마개 면의 좁은 쪽을 위로 하고 유리관보다 약간 굵은 보오러를 선택하여 그 끝을 물에 적신 후 돌리면서 구멍을 뚫는다. 그림 에서 삼각플라스크 내의 굽은 유리관은 고무마개에 유리관을 끼운 후 만든다. 유리관을 고무마개에 끼울 때 손을 손수건으로 보호하고 고무마개와 유리관은 물로 적시고 사용해야 한다.
5. 참고 문헌
- 화학교재 편찬 위원회, 일반화학실험, 탐구당
- 한국사전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