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경변증(liver cirrhosis, LC)
간성뇌증 (hepatic encephalopathy)
본론
간호사정
간호기록지
검사결과(Lab data)
간성뇌증 (hepatic encephalopathy)
본론
간호사정
간호기록지
검사결과(Lab data)
본문내용
모세 혈관 취약증, 골수기능부전 등이 있다.
@ 생화학검사
①T.protein
총 단백질량을 검사하여 알부민과 글로불린의 비율과 비교하는 것이다. T.protein은 탈수, 용혈, 운동, 스트레스, 간질환 시 증가한다.
②Albumin
간질환의 지표로서 삼투압을 조절하며 호르몬, 빌리루빈, 약물의 운반 기능을 갖는다. Albumin은 탈수 시 증가하고, 간손상, 신증후군, 단백손실, 화상 시 감소한다.
③Glucose
많은 대사질환을 진단하는데 유용하다.
고혈당의 원인은 금성 스트레스 반응, Cushing 증후군, 갈색세포종, 갑상선기능 항진증, 췌장의 선종, 췌장염, 이뇨제 투여, Corticosteroid 치료 등이 있다.
저혈당의 원인으로는 인슐린종, 갑상선 기능 저하증,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Addison 병, 광범위한 간질환 등이 있다.
④T-Bilirubin
적혈구 붕괴속도나 빌리루빈 포합기능의 문제와 관련된다. T-Bilirubin은 후천성 황달, 포합빌리루빈의 배설 장애시 증가하고, 용혈성 빈혈이 있을 때 감소한다.
⑤D-Bilirubin
황달 감염의 진단적 검사 시 쓰인다.
⑥SGOT (AST)
SGOT는 간과 심장에 고농도로 존재하며, 골근육, 신장, 췌장에도 상당량 존재한다. 이 효소는 심근경색증과 같은 심장 상해와 간 상해 후에 높은 혈중 농도가 나타난다. SGOT는 급성 췌장염, 용혈성 빈혈, 심한 화상, 급성 신장질환, 골근육 질환과 상해시에도 증가될 수 있다.
이 효소의 혈 중 농도는 흔히 SGPT농도와 비교하여 판정된다. SGOT가 SGPT보다 높은 경우는 알콜성 간경화증, 간 출혈, 간의 대사성 종양이 있을 때이다.
SGOT가 SGPT보다 낮은 경우는 급성 간염, 바이러스성 간염 등의 경우이다.
⑦SGPT (ALT)
SGPT는 간에 가장 많으며 신장, 심장, 골근육에도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간장애가 있을 때 상승한다. 이 효소는 간세포 질환에 특이하며 예민하게 나타난다.
⑧ALP
Alkaline phosphatase는 뼈, 장, 간, 태반에 분포하는 효소로써 성장기에는 뼈쪽이 증가하고, 폐쇄성 황달 시에는 간쪽이 증가한다.
⑨BUN (혈중 요소 질소)
BUN검사은 혈액 내의 요소 질소 양을 측정하는 것이다. 혈액내 요소 농도는 직접적으로 신장의 배설 기능과 관련이 있으므로 신장 기능의 지표가 된다.
거의 모든 원발성 신장 질환시 요소의 배설이 부적절해지며 혈액내 요소 농도가 정상적으로 높아진다.
요소질소의 배설이 감소되면 혈액 내 이들의 수치가 정상보다 높아진다.
BUN수치가 낮아지는 것은 과수분 상태, 간기능 장애, 음성질소 균형과 관련있다.
마지막으로 요소의 합성은 간에 의존하고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간질환과 신질환이 결합되었을 때 BUN수치는 정상일수 있는데 이는 신기능이 좋아서 그런 것이 아니라 간기능이 나빠서 BUN합성이 감소되었기 때문이다.
⑩Creatinine
BUN과 같이 모두 신장으로 배설된다. 그러므로 신장의 배설 기능과 직접적으로 비례한다. 그러나 BUN과는 달리 탈수, 영양 결핍, 간 기능에는 별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Creatinine은 골격근 수축에 사용되는 크레아틴의 분해산물이다. 그러므로 신장의 기능이 정상이라면 혈청 크리아티닌 수치는 일정하며 정상일 것이다. 정상적 BUN / Creatinine 비율은 약 20 : 1 이다.
Creatinine에 비해 BUN이 상승하면 이는 탈수, 위장관 출혈, 영양결핍을 의미한다.
⑪Uric acid
핵산의 최종대사산물로써 소변으로 배출된다. 신사구체에서 여과된 요산의 90~95%는 재흡수되고, 일부는 원위세뇨관에서 분비된다.
Uric acid는 통풍, 백혈병 같은 세포 파괴가 증가하는 질환에서 증가한다.
⑫In.P
Phosphorus는 세포의 구성성분으로서 에너지 대사, 근수축, 조직으로의 산소공급에 관여한다.
In.P는 신기능 저하, 부갑상선 호르몬의 기능 부전 시에 증가하고, PTH과잉, 비타민 결핍, 감수성 공복 저하, 제산제 복용, 게실이 있을 때 감소한다.
⑬T.Ca
혈청 칼슘이 증가하면 인이 신장 내에 배설되는 과정의 이상 발생한다.
@ ABGA
①pH
②pCO2
혈액 내의 탄산가스 분압으로 산염기 균형으로 유지하는 요소 중 폐와 관련된 요소이다.
③pO2
혈액 내 산소 농도와 관련된다.
④HCO3
병적 대사 시 소비되어 완충계 역할을 한다.
⑤BE
pH조절시 생성되는 산의 양으로 대사성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⑥Sa O2
산소포화도는 산소에 포함되는 헤모글로빈이다.
@ 뇨검사
요 분석은 유용한 비뇨기과적 스크린 검사이다.
① S.G (specfic guavity)
요비중은 소변 내 입자의 농도, 뇨의 농축 정도로 신장 여과력과 농축력을 알 수 있다.
② pH
pH는 산염기 균형에 대한 장애 여부를 판독하기 위한 검사이다.
산성뇨는 산증, 알도스테론증, 선천성 대사이상증 등이 있을 수 있다.
알칼리뇨는 알칼리증, 신장의 H배설 장애, 세균뇨 등이 있을 수 있다.
③ protein
신장에서 요가 만들어질 때 혈중 단백이 세뇨관에서 재 흡수되어 혈중으로 되돌아가는 기정과 관련이 되어 있다.
④ glucose
세뇨관이 고농도의 포도당을 재흡수 할 수 없을 경우 소변에서 포도당이 검출됨을 의미한다.
⑤ ketones
당 대신 지방산의 분해가 일어남에 따라 지방산 대사의 종산물인 케톤이 요중으로 유출되는 것을 확인한다.
⑥ bilirubin
적혈구가 간에서 분해될 때 만들어지는 담즙 색소의 요중 유출을 확인 할 수 있다.
⑦ blood
사구체나 세뇨관의 손상, 요로하부의 출혈 확인을 할 수 있다.
⑧ nitrit
요로 감염증의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양성이면 세균학적 검사가 재 요구된다.
⑨ urobilinogen
십이지장으로 배설된 빌리루빈이 일부는 변으로 배설되고, 일부는 간으로 되돌아갈 때, 신장이나 혈중으로 들어가 용혈이 일어나는지 확인한다.
⑩ RBC
요로 감염이나 신장 및 요로계의 화농성 및 염증성 질환의 지표가 된다.
⑪ WBC
요로 감염이나 신장 및 요로계의 화농성 및 염증성 질환의 지표가 된다.
@ 생화학검사
①T.protein
총 단백질량을 검사하여 알부민과 글로불린의 비율과 비교하는 것이다. T.protein은 탈수, 용혈, 운동, 스트레스, 간질환 시 증가한다.
②Albumin
간질환의 지표로서 삼투압을 조절하며 호르몬, 빌리루빈, 약물의 운반 기능을 갖는다. Albumin은 탈수 시 증가하고, 간손상, 신증후군, 단백손실, 화상 시 감소한다.
③Glucose
많은 대사질환을 진단하는데 유용하다.
고혈당의 원인은 금성 스트레스 반응, Cushing 증후군, 갈색세포종, 갑상선기능 항진증, 췌장의 선종, 췌장염, 이뇨제 투여, Corticosteroid 치료 등이 있다.
저혈당의 원인으로는 인슐린종, 갑상선 기능 저하증,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Addison 병, 광범위한 간질환 등이 있다.
④T-Bilirubin
적혈구 붕괴속도나 빌리루빈 포합기능의 문제와 관련된다. T-Bilirubin은 후천성 황달, 포합빌리루빈의 배설 장애시 증가하고, 용혈성 빈혈이 있을 때 감소한다.
⑤D-Bilirubin
황달 감염의 진단적 검사 시 쓰인다.
⑥SGOT (AST)
SGOT는 간과 심장에 고농도로 존재하며, 골근육, 신장, 췌장에도 상당량 존재한다. 이 효소는 심근경색증과 같은 심장 상해와 간 상해 후에 높은 혈중 농도가 나타난다. SGOT는 급성 췌장염, 용혈성 빈혈, 심한 화상, 급성 신장질환, 골근육 질환과 상해시에도 증가될 수 있다.
이 효소의 혈 중 농도는 흔히 SGPT농도와 비교하여 판정된다. SGOT가 SGPT보다 높은 경우는 알콜성 간경화증, 간 출혈, 간의 대사성 종양이 있을 때이다.
SGOT가 SGPT보다 낮은 경우는 급성 간염, 바이러스성 간염 등의 경우이다.
⑦SGPT (ALT)
SGPT는 간에 가장 많으며 신장, 심장, 골근육에도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간장애가 있을 때 상승한다. 이 효소는 간세포 질환에 특이하며 예민하게 나타난다.
⑧ALP
Alkaline phosphatase는 뼈, 장, 간, 태반에 분포하는 효소로써 성장기에는 뼈쪽이 증가하고, 폐쇄성 황달 시에는 간쪽이 증가한다.
⑨BUN (혈중 요소 질소)
BUN검사은 혈액 내의 요소 질소 양을 측정하는 것이다. 혈액내 요소 농도는 직접적으로 신장의 배설 기능과 관련이 있으므로 신장 기능의 지표가 된다.
거의 모든 원발성 신장 질환시 요소의 배설이 부적절해지며 혈액내 요소 농도가 정상적으로 높아진다.
요소질소의 배설이 감소되면 혈액 내 이들의 수치가 정상보다 높아진다.
BUN수치가 낮아지는 것은 과수분 상태, 간기능 장애, 음성질소 균형과 관련있다.
마지막으로 요소의 합성은 간에 의존하고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간질환과 신질환이 결합되었을 때 BUN수치는 정상일수 있는데 이는 신기능이 좋아서 그런 것이 아니라 간기능이 나빠서 BUN합성이 감소되었기 때문이다.
⑩Creatinine
BUN과 같이 모두 신장으로 배설된다. 그러므로 신장의 배설 기능과 직접적으로 비례한다. 그러나 BUN과는 달리 탈수, 영양 결핍, 간 기능에는 별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Creatinine은 골격근 수축에 사용되는 크레아틴의 분해산물이다. 그러므로 신장의 기능이 정상이라면 혈청 크리아티닌 수치는 일정하며 정상일 것이다. 정상적 BUN / Creatinine 비율은 약 20 : 1 이다.
Creatinine에 비해 BUN이 상승하면 이는 탈수, 위장관 출혈, 영양결핍을 의미한다.
⑪Uric acid
핵산의 최종대사산물로써 소변으로 배출된다. 신사구체에서 여과된 요산의 90~95%는 재흡수되고, 일부는 원위세뇨관에서 분비된다.
Uric acid는 통풍, 백혈병 같은 세포 파괴가 증가하는 질환에서 증가한다.
⑫In.P
Phosphorus는 세포의 구성성분으로서 에너지 대사, 근수축, 조직으로의 산소공급에 관여한다.
In.P는 신기능 저하, 부갑상선 호르몬의 기능 부전 시에 증가하고, PTH과잉, 비타민 결핍, 감수성 공복 저하, 제산제 복용, 게실이 있을 때 감소한다.
⑬T.Ca
혈청 칼슘이 증가하면 인이 신장 내에 배설되는 과정의 이상 발생한다.
@ ABGA
①pH
②pCO2
혈액 내의 탄산가스 분압으로 산염기 균형으로 유지하는 요소 중 폐와 관련된 요소이다.
③pO2
혈액 내 산소 농도와 관련된다.
④HCO3
병적 대사 시 소비되어 완충계 역할을 한다.
⑤BE
pH조절시 생성되는 산의 양으로 대사성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⑥Sa O2
산소포화도는 산소에 포함되는 헤모글로빈이다.
@ 뇨검사
요 분석은 유용한 비뇨기과적 스크린 검사이다.
① S.G (specfic guavity)
요비중은 소변 내 입자의 농도, 뇨의 농축 정도로 신장 여과력과 농축력을 알 수 있다.
② pH
pH는 산염기 균형에 대한 장애 여부를 판독하기 위한 검사이다.
산성뇨는 산증, 알도스테론증, 선천성 대사이상증 등이 있을 수 있다.
알칼리뇨는 알칼리증, 신장의 H배설 장애, 세균뇨 등이 있을 수 있다.
③ protein
신장에서 요가 만들어질 때 혈중 단백이 세뇨관에서 재 흡수되어 혈중으로 되돌아가는 기정과 관련이 되어 있다.
④ glucose
세뇨관이 고농도의 포도당을 재흡수 할 수 없을 경우 소변에서 포도당이 검출됨을 의미한다.
⑤ ketones
당 대신 지방산의 분해가 일어남에 따라 지방산 대사의 종산물인 케톤이 요중으로 유출되는 것을 확인한다.
⑥ bilirubin
적혈구가 간에서 분해될 때 만들어지는 담즙 색소의 요중 유출을 확인 할 수 있다.
⑦ blood
사구체나 세뇨관의 손상, 요로하부의 출혈 확인을 할 수 있다.
⑧ nitrit
요로 감염증의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양성이면 세균학적 검사가 재 요구된다.
⑨ urobilinogen
십이지장으로 배설된 빌리루빈이 일부는 변으로 배설되고, 일부는 간으로 되돌아갈 때, 신장이나 혈중으로 들어가 용혈이 일어나는지 확인한다.
⑩ RBC
요로 감염이나 신장 및 요로계의 화농성 및 염증성 질환의 지표가 된다.
⑪ WBC
요로 감염이나 신장 및 요로계의 화농성 및 염증성 질환의 지표가 된다.
추천자료
간경화 (Liver Cirrhosis)
간염 이야기
B형 간염(hepatitis B)에 대하여
ER사례연구-간경화증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
[간암][간암의 개념][간암의 원인][간암의 임상증상][간암의 진단검사][간암의 예방][간암의 ...
간성혼수 환자 간호
[환자사례 간호과정] 간성뇌증 ; 간성뇌증 (Hepatic encephalopathy) 케이스
[환자사례 간호과정] 위암 (advanced gastric cancer) 케이스
간암 간호 사례 연구 - HCC 원인, 병태생리
[성인간호학][LC][간경화][Liver cirrhosis]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IM Case Study 알콜성 간염 - Alcoholic hepatitis, without ascites
[지역사회간호학] B형간염의 관리와 예방대책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