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즈를 1cm 폭으로 잘라 연어의 칼집사이에 끼운다.
4. (3)의 연어를 오븐에 넣어 치즈가 녹을 때까지 굽는다.
5. 팬에 버터를 녹여 백포도주와 섞어 버터소스를 만든다.
6. (4)의 연어를 그릇에 담고 버터소스를 뿌리고 연어알을 올려준다.
(4) 유자 화채
▶ 재료 : 유자 3개, 배 1/2개, 석류알 3ts, 물 4컵, 설탕 1과 1/2컵
▶ 요리법
1. 유자는 깨끗이 닦아 물기를 제거하고 4쪽을 내고 속은 빼내어 씨를 제거한다.
2. (1)의 유자 속은 설탕에 재워두어 시럽이 생기게 한다.
3. 유자 껍질은 속껍질과 겉껍질을 포떠서 곱게 채썬다.
4. 배는 껍질을 제거하고 같은 크기로 채썬다.
5. 그릇에 (2)의 유자 속을 담고 그 위에 배 채썬 것, 유자의 속껍질과 겉껍질 채썬것을 번갈아 가며 사이사이에 담는다.
6. 설탕과 물을 섞어 설탕물을 준비한다.
7. (5)가 완성되면 석류알을 넣고 설탕물을 부어낸다.
(5) 전복 영양밥
▶ 재료 : 전복 2개, 밥 1공기, 은행 5알, 대추 3개, 잣 1큰술, 참기름 1큰술, 소금약간
▶ 요리법
1. 전복은 소금물에 씻어 살과 껍질을 분리한다.
낼 때에는 작은 체를 겹쳐서 쓴다.
3. 대추는 돌려깍기하여 마름모 모양으로 썬다.
4. 은행은 팬에 기름을 두르고 은행알이 투명해 질때까지 볶아준 다음 속껍질은 벗긴다.
5. 팬에 참기름을 두르고 (1)의 전복은 볶다가 밥, 은행, 대추, 잣을 넣어 볶는다. 간은 소금간을 한다.
6. 전복껍질에 (5)의 밥을 보기좋게 채워 넣는다.
(6) 찹쌀 경단
▶ 재료 : 찹쌀가루 10C, 소금 3작은술, 뜨거운 물 20큰술, 팥가루 (팥 1C, 소금 약간), 콩가루(콩 1C, 소금 약간), 흑임자가루 (흑임자 1C, 소금 약간), 호박씨가루(호박씨 1C, 소금 약간), 밤, 대추, 시럽(물 2C, 설탕 2C)
▶ 요리법
1. 냄비에 물 2C, 설탕 2C을 넣고 중불에서 반으로 줄 때까지 끓여 시럽을 만든다.
2. 팥을 깨끗이 씻어 냄비에 담아 물이 푹 잠기도록 넣어 팥이 무를 때까지 삶는다.
3. 팥이 익으면 물을 따라 버리고 약불에서 뜸을 들인 후 소금을 넣어 찧어 팬에 보슬보슬하게 볶아 체에 친다.
4. 흑임자, 콩, 호박씨를 각가가 깨끗이 씻어 물기를 빼고 볶아 소금을 넣어 믹서나 맷돌에 갈아 체에 친다.
(7) 낙지 양념구이
▶ 재료 : 낙지 1마리, 청고추 1개, 홍고추 1개, 간장 2큰술, 다진마늘 1큰술, 통깨 1큰술, 나무젓가락(또는 구시), 식용유
▶ 요리법
1. 낙지는 소금에 문질어 씻어 내장을 제거한다.
2. 청(홍)고추는 0.3cm크기의 깍두기 모양으로 썰어준다.
3. 손질한 낙지의 머리부분을 젓가락에 끼우고 다리부분도 나무젓가락에 돌돌 말아준다.
4. 간장에 청(홍)고추를 넣고 다진마늘,통깨도 넣어 양념장을 만든다.
5. 팬에 기름을 두르고 낙지가 분홍색이 날때까지 고루 익힌다.
6. 낙지가 익으면 그릇에 담고 (4)의 앙념장을 낙지위에 고루 뿌려준다.
(8) 아귀찜
▶ 재료 : 아구 300g, 미더덕 50g, 콩나물 200g, 미나리 100g, 고추가루 3T.S, 생강즙 1T.S, 다진마늘 2T.S, 다시마 국물 2컵, 소금·후추·간장·참기름·고추냉이(와사비) * 물녹말 : 녹말 1T.S, 물 2T.S
▶ 요리법
1. 아구는 내장을 빼내고 깨끗이 씻은 후 5cm정도로 뼈채 토막을 낸다.
2. 미더덕은 싱싱한 것으로 깨끗이 씻는다.
3. 콩나물은 머리와 꼬리부분을 떼고 소금을 넣고 살짝 삶는다.
4. 마늘은 다져놓고 생강은 즙을 낸다.
5. 냄비에 아구를 담고 고추가루, 다진마늘, 생강즙, 소금을 넣어 살짝 볶은 후 육수나 물을 자작하게 붓고 뚜껑을 덮어 익힌다.
6. 아구가 충분히 익었으면 콩나물, 미더덕 넣고 미나리도 넣어 익힌다.
7. (6)에 소금간을 하면서 모든 재료들을 끓이면서 물녹말을 조금씩 넣어 농도를 맞춘 후 마지막에 참기름을 넣어 버무린다.
8. 간장에 고추냉이(와사비)를 곁들여 낸다.
(9) 가자미식해
▶ 재료 : 가자미 5마리,무 1/2개,마늘 1통,파 50g,좁쌀 1C,엿기름 2/3C,생강 1쪽,고춧가루 1/2C,소금 1/2C
▶ 요리법
1. 가자미는 비늘을 긁어 내고 머리와 꼬리를 떼고 내장을 뺀 다음 물에 씻어서 소금에 절여 하룻밤정도 재어 놓는다.
2. 무는 깨끗이 씻어서 소금에 절여 놓는다.
3. 파ㆍ마늘ㆍ생강은 각각 곱게 다져 놓는다.
4. 엿기름은 빻아 고운 체에 내려 가루를 만들어 놓는다.
5. 좁쌀은 깨끗이 씻어 잘 일어 된 밥을 짓는다.
6. 절인 가자미는 헹구어 물기를 완전히 빼거나 꾸덕꾸덕하게 말려 놓는다.
7. 절인 무도 소금물에 헹구어 물기를 꼭 짜 놓는다.
8. 가자미는 큼직하게 토막을 내 놓는다.
9. 넓은 그릇에 무를 넣고 고춧가루를 넣어 버무리고, 붉은 물이 들면 조밥ㆍ파ㆍ마늘ㆍ생상ㆍ소금ㆍ가자미를 넣어 고루 섞으면서 엿기름 가루를 넣어 다시 버무린다.
10. 항아리에 버무린 재료를 담아 꼭 눌러서 3~4일간 따뜻한 곳에 두어 삭히는데, 잘 삭으면 물이 생긴다.
(10) 꽃게탕
▶ 재료 : 꽃게 2마리, 고추장 1/2큰술, 된장 2큰술, 두부 반모, 다진 마늘 1큰술, 쇠고기 50g, 숙주나물 50g, 양파 1/2개, 대파 1대
▶ 요리법
1. 게는 살아 있는 꽃게를 선택하여 솔로 문질러 깨끗이 씻은 후 딱지를 떼고 다리 쪽에 있는 너덜너덜한 것을 떼어버리고 딱지는 두 세 쪽으로 자르고 다리도 먹기 좋은 크기로 토막친다.
2. 쇠고기를 납작납작하게 썬다.
3. 두부는 깍두기 크기로 썬다.
4. 양파는 납작납작하게 썬다
5. 숙주나물을 끓는 물에 살짝 데친다.
6. 대파는 어슷어슷하게 놓는다.
7. 찌개 냄비에 샐러드유 1큰술을 넣고 뜨거위지면 쇠고기를 넣어 살짝 볶는다
8. 물 2컵 정도 붓고 한소끔 끓인 후에 양파와 된장, 고추장을 풀어 넣고 한소끔 더 끓인다
9. 쇠고기 맛이 구수하게 우러나면 게를 넣고 푹 끓인다
10. 사이사이에 두부, 대파, 다진마늘을 넣어 다시 한 번 끓여 간장으로 간을 맞춘다
4. (3)의 연어를 오븐에 넣어 치즈가 녹을 때까지 굽는다.
5. 팬에 버터를 녹여 백포도주와 섞어 버터소스를 만든다.
6. (4)의 연어를 그릇에 담고 버터소스를 뿌리고 연어알을 올려준다.
(4) 유자 화채
▶ 재료 : 유자 3개, 배 1/2개, 석류알 3ts, 물 4컵, 설탕 1과 1/2컵
▶ 요리법
1. 유자는 깨끗이 닦아 물기를 제거하고 4쪽을 내고 속은 빼내어 씨를 제거한다.
2. (1)의 유자 속은 설탕에 재워두어 시럽이 생기게 한다.
3. 유자 껍질은 속껍질과 겉껍질을 포떠서 곱게 채썬다.
4. 배는 껍질을 제거하고 같은 크기로 채썬다.
5. 그릇에 (2)의 유자 속을 담고 그 위에 배 채썬 것, 유자의 속껍질과 겉껍질 채썬것을 번갈아 가며 사이사이에 담는다.
6. 설탕과 물을 섞어 설탕물을 준비한다.
7. (5)가 완성되면 석류알을 넣고 설탕물을 부어낸다.
(5) 전복 영양밥
▶ 재료 : 전복 2개, 밥 1공기, 은행 5알, 대추 3개, 잣 1큰술, 참기름 1큰술, 소금약간
▶ 요리법
1. 전복은 소금물에 씻어 살과 껍질을 분리한다.
낼 때에는 작은 체를 겹쳐서 쓴다.
3. 대추는 돌려깍기하여 마름모 모양으로 썬다.
4. 은행은 팬에 기름을 두르고 은행알이 투명해 질때까지 볶아준 다음 속껍질은 벗긴다.
5. 팬에 참기름을 두르고 (1)의 전복은 볶다가 밥, 은행, 대추, 잣을 넣어 볶는다. 간은 소금간을 한다.
6. 전복껍질에 (5)의 밥을 보기좋게 채워 넣는다.
(6) 찹쌀 경단
▶ 재료 : 찹쌀가루 10C, 소금 3작은술, 뜨거운 물 20큰술, 팥가루 (팥 1C, 소금 약간), 콩가루(콩 1C, 소금 약간), 흑임자가루 (흑임자 1C, 소금 약간), 호박씨가루(호박씨 1C, 소금 약간), 밤, 대추, 시럽(물 2C, 설탕 2C)
▶ 요리법
1. 냄비에 물 2C, 설탕 2C을 넣고 중불에서 반으로 줄 때까지 끓여 시럽을 만든다.
2. 팥을 깨끗이 씻어 냄비에 담아 물이 푹 잠기도록 넣어 팥이 무를 때까지 삶는다.
3. 팥이 익으면 물을 따라 버리고 약불에서 뜸을 들인 후 소금을 넣어 찧어 팬에 보슬보슬하게 볶아 체에 친다.
4. 흑임자, 콩, 호박씨를 각가가 깨끗이 씻어 물기를 빼고 볶아 소금을 넣어 믹서나 맷돌에 갈아 체에 친다.
(7) 낙지 양념구이
▶ 재료 : 낙지 1마리, 청고추 1개, 홍고추 1개, 간장 2큰술, 다진마늘 1큰술, 통깨 1큰술, 나무젓가락(또는 구시), 식용유
▶ 요리법
1. 낙지는 소금에 문질어 씻어 내장을 제거한다.
2. 청(홍)고추는 0.3cm크기의 깍두기 모양으로 썰어준다.
3. 손질한 낙지의 머리부분을 젓가락에 끼우고 다리부분도 나무젓가락에 돌돌 말아준다.
4. 간장에 청(홍)고추를 넣고 다진마늘,통깨도 넣어 양념장을 만든다.
5. 팬에 기름을 두르고 낙지가 분홍색이 날때까지 고루 익힌다.
6. 낙지가 익으면 그릇에 담고 (4)의 앙념장을 낙지위에 고루 뿌려준다.
(8) 아귀찜
▶ 재료 : 아구 300g, 미더덕 50g, 콩나물 200g, 미나리 100g, 고추가루 3T.S, 생강즙 1T.S, 다진마늘 2T.S, 다시마 국물 2컵, 소금·후추·간장·참기름·고추냉이(와사비) * 물녹말 : 녹말 1T.S, 물 2T.S
▶ 요리법
1. 아구는 내장을 빼내고 깨끗이 씻은 후 5cm정도로 뼈채 토막을 낸다.
2. 미더덕은 싱싱한 것으로 깨끗이 씻는다.
3. 콩나물은 머리와 꼬리부분을 떼고 소금을 넣고 살짝 삶는다.
4. 마늘은 다져놓고 생강은 즙을 낸다.
5. 냄비에 아구를 담고 고추가루, 다진마늘, 생강즙, 소금을 넣어 살짝 볶은 후 육수나 물을 자작하게 붓고 뚜껑을 덮어 익힌다.
6. 아구가 충분히 익었으면 콩나물, 미더덕 넣고 미나리도 넣어 익힌다.
7. (6)에 소금간을 하면서 모든 재료들을 끓이면서 물녹말을 조금씩 넣어 농도를 맞춘 후 마지막에 참기름을 넣어 버무린다.
8. 간장에 고추냉이(와사비)를 곁들여 낸다.
(9) 가자미식해
▶ 재료 : 가자미 5마리,무 1/2개,마늘 1통,파 50g,좁쌀 1C,엿기름 2/3C,생강 1쪽,고춧가루 1/2C,소금 1/2C
▶ 요리법
1. 가자미는 비늘을 긁어 내고 머리와 꼬리를 떼고 내장을 뺀 다음 물에 씻어서 소금에 절여 하룻밤정도 재어 놓는다.
2. 무는 깨끗이 씻어서 소금에 절여 놓는다.
3. 파ㆍ마늘ㆍ생강은 각각 곱게 다져 놓는다.
4. 엿기름은 빻아 고운 체에 내려 가루를 만들어 놓는다.
5. 좁쌀은 깨끗이 씻어 잘 일어 된 밥을 짓는다.
6. 절인 가자미는 헹구어 물기를 완전히 빼거나 꾸덕꾸덕하게 말려 놓는다.
7. 절인 무도 소금물에 헹구어 물기를 꼭 짜 놓는다.
8. 가자미는 큼직하게 토막을 내 놓는다.
9. 넓은 그릇에 무를 넣고 고춧가루를 넣어 버무리고, 붉은 물이 들면 조밥ㆍ파ㆍ마늘ㆍ생상ㆍ소금ㆍ가자미를 넣어 고루 섞으면서 엿기름 가루를 넣어 다시 버무린다.
10. 항아리에 버무린 재료를 담아 꼭 눌러서 3~4일간 따뜻한 곳에 두어 삭히는데, 잘 삭으면 물이 생긴다.
(10) 꽃게탕
▶ 재료 : 꽃게 2마리, 고추장 1/2큰술, 된장 2큰술, 두부 반모, 다진 마늘 1큰술, 쇠고기 50g, 숙주나물 50g, 양파 1/2개, 대파 1대
▶ 요리법
1. 게는 살아 있는 꽃게를 선택하여 솔로 문질러 깨끗이 씻은 후 딱지를 떼고 다리 쪽에 있는 너덜너덜한 것을 떼어버리고 딱지는 두 세 쪽으로 자르고 다리도 먹기 좋은 크기로 토막친다.
2. 쇠고기를 납작납작하게 썬다.
3. 두부는 깍두기 크기로 썬다.
4. 양파는 납작납작하게 썬다
5. 숙주나물을 끓는 물에 살짝 데친다.
6. 대파는 어슷어슷하게 놓는다.
7. 찌개 냄비에 샐러드유 1큰술을 넣고 뜨거위지면 쇠고기를 넣어 살짝 볶는다
8. 물 2컵 정도 붓고 한소끔 끓인 후에 양파와 된장, 고추장을 풀어 넣고 한소끔 더 끓인다
9. 쇠고기 맛이 구수하게 우러나면 게를 넣고 푹 끓인다
10. 사이사이에 두부, 대파, 다진마늘을 넣어 다시 한 번 끓여 간장으로 간을 맞춘다
키워드
추천자료
우리 음식 ‘젓갈’에 대하여...
한국 퓨전문화의 이해 - 음식을 중심으로
‘음식 한류’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비교연구
한국의 음식문화
슬로우푸드 운동과 전통 음식
프랑스의 음식문화
건강과 식생활 - 제철음식
대한민국의 서양음식 변천사.ppt
[이탈리아음식(이태리음식)]이탈리아음식(이태리음식)의 역사, 이탈리아음식(이태리음식)의 ...
일본의 음식 문화 -일본의 술문화를 중심으로-
음식飮食을 주제로 한 월간활동계획안(1개월), 주제와 주요개념, 주제망, 교수-학습자료(음식...
한국전통음식의 개요 (전통음식 정의. 한국전통음식 특징, 우수성, 종류, 한국전통음식의 상...
한식과 우리문화 [궁중음식][계절 세시풍습에 따른][설][정월대보름][삼복][추석][동지][관례...
소개글